알리셀러가 보내준 마이크로sd -> 미니PCIe, CF 컨버터

   조회 3206   추천 2    


스크린샷1, 2에 보이는 것은 알리셀러가 보내준 마이크로sd -> 미니PCIe, CF 컨버터 입니다. 둘다 SDXC대응으로 이론상으론 128GB 대응입니다만 중국답게 QC를 믿을 수는 없기에 직접 해보아야만 작동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특이하게 둘다 듀얼 입니다. 니치마켓 특성상 국내 유통가의 1/3정도입니다.

애시당초 둘의 목적이 Response Piccolo의 메인보드 특성을 살리고자 가성비나 성능을 무시하고 특이한 구성으로 가보려 한 것입니다. 저같이 법적인 그지가 보답을 하려해도 실상 택배비에도 벌벌떠는 현실에 경제력 차이가 워낙 나기에 고성능이라고 만들어 보아야 아무 의미 없을 것 같고 마침 있는 것을 활용하자는 의미로 이런 구성이 된 것이죠. 가성비만 따지면 차라리 256GB SSD 저가형을 구입하는 것이 더 저렴할 것이나 그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었기 때문입니다. 처음엔 그래서 메인보드에 CF가 있는 김에 CF 128GB를 알아보았는데 아뿔사.. 미친 가격입니다. 저같이 가난한 그지는 접근하기 힘든 가격이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방향을 선회 MLC든 TLC든 128GB 마이크로sd를 알아보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 것이죠.

상기 CF는 IDE, 미니PCIe는 PCIe입니다. 개인적으로 미니PCIe가 빨라지길 기대합니다. 실상 이 것은 해당 메인보드를 게시물로 작성하였을때..

http://www.2cpu.co.kr/freeboard_2011/472916

상기 링크에 댓글로 김주영the촌놈님께서 제가 mSATA로 알고있던 슬롯에 대해 "mSATA는 아니고 그냥 mini pci-e 입니다. 켜켜~"라는 정보를 주셨기에 애시당초 mSATA는 예정에 없었지만 추가로 미니PCIe 컨버터도 구매하게 됩니다. SSD도 사타3보다 PCIe컨버터에서 더 성능이 올라갔기에 유사한 것을 기대하면서 말이죠. 물론 될지 안될지는 해보아야 합니다. 5월말까지 마무리하고 6월초 발송예정입니다. 

그러니까 Response Piccolo는 마이크로sd를 CF, 미니PCIe 양쪽에서 모두 사용가능하게 되는 셈입니다. 위아래로 컨버터를 달고있는 셈이니까요. 아무리 운이 없더라도 둘중 하나는 되길 바랍니다.

스크린샷 3는..

http://www.2cpu.co.kr/unbox/7729

상기 링크와 관계된 것으로 아무래도 딸기맛 CD는 집에 있던 것이 아닌 마땅한 포장용 케이스가 없기에 구입하신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하는 부분입니다. 저 잉여스럽게 긴 유통기한을 보십시요. 기분탓이려나요. ㅋㅋ


배병렬 2016-05
음.. 저 하나 주시면 안될까요???  소니 A700에 CF카드가 없어서...
     
박명근TN 2016-05
나머지 하나는 제가 쓰려고 구입한 것입니다. 무려 EOS 350D라는 800만 화소짜리 DSLR에 말이죠. Only CF에 8기가까지는 되는데 16기가는 싼디스크 특정 CF만 된다는 서양애들 이야기가 있기에 그냥 마이크로sd 끼워 사용하려는 용도입니다. 현재 8g 끼워서 테스트 준비중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CF도 8g거든요. 나중에 잉여로 16g 마이크로sd 생기면 이도 테스트 해 볼 예정입니다. 이에 양해 부탁드립니다. 잉여였으면 하나 드렸을 것입니다.

알리에서도 10일 정도만에 도착하고 한국에서도 가격은 2만원대 후반으로 알리보다 비싼 가격이지만 판매중인 제품입니다.
gmltj 2016-05
개인적으로 마이크로SD 는 크기가 작다보니 너무 고밀도 고집적이라서 수명 문제가 있어서 좀 그렇더군요..... 게다가 자체에 캐쉬가 없어서 은근히 느립니다....
     
박명근TN 2016-05
그거 감안한 겁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메인보드 특성을 살리기 위한 것이지 애시당초 가성비와는 거리가 먼 구성입니다. 그리고 마이크로sd도 제가 제공하는 것이기에 수명이 짧아도 돈아깝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공의 장점이잖아요.
          
gmltj 2016-05
그런데 원 링크의 보드를 보니, sd 카드를 넣어서 미니pci-e 가 작동할지는 모르겠네요. 어차피 슬롯 모양은 msata 나 mini pci-e 나 같은건데 (배선만 틀린거라)... 사진의 sd 카드 mini pci-e 컨버터 모양을 보니 sd를 읽고 쓰는데 필요한 콘트롤러 칩셋이 안 보이네요. 샌디브릿지 이후의 모델은 msata 를 지원하는게 보드 칩셋에서 콘트롤이 되는거라서 따로 칩셋이 없어도 되는건데 위 보드는 잘 모르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구형 아수스 eee 넷북이 그런 스타일이였습니다. 900 번대를 보면 하드가 mini pci-e 형태인데 보드에 콘트롤러 칩셋이 없어서 콘트롤러 칩을 아예 mini pci-e 카드에다가 넣어버린 스타일로.... 나왔었네요.

그리고 보드 아래쪽의 cf 슬롯으로 네이티브 부팅이 지원될지도 미지수이고... 어렵네요.
               
박명근TN 2016-05
하드웨어에 무지한 저에게 조언 감사합니다.

제 수준에서 할 수 있는 대답은 단 하나입니다. 해보면 알겠죠.. 무지하기에 고민도 안되고 어려울 것도 없습니다. 아닌 말로 뭘 알아야 어렵죠.

귀차니즘 때문에 컨버터 앞, 뒤 사진 다 찍어가며 자세하게 사진 찍는 것은 회피중입니다. 나중에 시스템 조립시나 기회되면 찍어보도록 하죠.

개인적으론 둘중 하나만 되기를 바랄뿐입니다. 애시당초 Response Piccolo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은 그 것이 전부 였으니까요.

mSATA를 제외한 어지간한 인터페이스는 다 있는 변태 보드인지라 실상 이도저도 안되면 사타 기반의 SSD, 하드등을 사용하면 됩니다. ide도 있습니다. 다만 개인적으론 이게 맘에 안들 뿐이죠. 이를 받을 분이 SSD 정도는 손쉽게 장착이 가능한 경제력의 소유자이신지라 굳이 저같이 가난한 그지가 이에 돈을 투자할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없는 놈이 있는 척 하는 것이 되버리기 때문이죠. 그래서 상대방이 돈을 투자하지 않을 곳에 제가 돈을 투자하면 아깝지 않기에 그 부분을 노리는 것입니다. 암튼 신경써주심에 감사합니다.


제목Page 266/406
2014-05   5231846   정은준1
2015-12   1758540   백메가
2016-05   2632   이건희
2016-05   2280   철슈
2016-05   2478   아스란
2016-05   2364   대전김형운
2016-05   2320   인천I베리
2016-05   2161   monan
2016-05   2233   시도니
2016-05   2228   새총
2016-05   2306   동탄l이준원
2016-05   2533   모스월드
2016-05   2529   SkyBase
2016-05   2692   차넷컴퓨터
2016-05   3047   박명근TN
2016-05   2298   새총
2016-05   3207   박명근TN
2016-05   2138   TimeMaster
2016-05   2184   TimeMaster
2016-05   1914   리카라바
2016-05   1833   배병렬
2016-05   1871   배병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