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proxmox 는 구독없이 사용시 제한이있나요?

히소카   
   조회 7547   추천 0    

 https://www.proxmox.com/en/downloads/item/proxmox-ve-subscription-agreement


문서를 읽어보니

구독 없이 사용시 아래와 같은 제한이 있다고하는데 잘 이해를 못하겠네요


------------------


3.16. 구독없이 Proxmox VE를 사용할 수 있습니까?

Proxmox VE는 GNU Affero GPL, v3에 따라 배포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이며 개인 또는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다운로드, 사용 및 수정할 수 있습니다. 네, 가능합니다. Enterprise Repository없이 Proxmox VE를 실행하도록 선택한 경우 항상 많은 테스트를 거친 패키지가있을 수 있습니다. Proxmox는 프로덕션 서버에서 비 구독 저장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pve.proxmox.com/wiki/Package_repositories를 참조하십시오.


----------------


https://pve.proxmox.com/wiki/Package_Repositories 


위의 링크에 들어가서 읽어봐도 뭐인지 감을 잘 못잡겠습니다..


결국에는 Proxmox VE No-Subscription Repository  만 사용가능한 것같은데

Proxmox VE No-Subscription Repository 사용시 제한 되는내용이 무엇이있을까요?


그리고 잠깐 만져봤을때 http GUI세션이 주기적으로 끊기더라고요 끊길시 구독하라고 안내문이 나오는걸봐서


세션 접속할수있는 시간이 정해져있긴한데 요런내용은

proxmox-ve-subscription-agreement 문서에 전혀 없던데...


proxmox가 좋다고해서 써보려고하는데 어렵네요...




히소카 2019-12
그리고 버전은 현재 최신버전인 6.1버전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행복하세 2019-12
저도 어제다운받아서 설치까지만하고 있습니다~ 공부할게많네요
일단 패쓰스루가 안되서 난감ㅁ
https://www.proxmox.com/en/downloads/item/proxmox-ve-subscription-agreement

3.15에 나와있네요.
구독없이 사용하면 제한이 있다기보다는....
구독을 하면 추가적인 혜택이 있다고 봐야될듯 합니다. AGPL3 라이선스라서...
     
구독을 해야만 VE Enterprise Repository를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저걸 사용해야만 되는건 아닌가봅니다.

구독을 안하면 VE No-Subscription Repository만 쓸 수 있는데
엔터 레포가 더 안정적이니까 프로덕션에는 엔터 레포를 사용하라네요.
          
히소카 2019-12
네 저도 문서를 읽어보니 VE No-Subscription Repository사용가능하다는데

Repository라는 개념이 좀 생소해서..

원래 apt-get을 이용해서 뭔가 인스톨하려고할때 실패했었는데 (아마 구독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도해서 그런것이겠지요?)

https://pve.proxmox.com/wiki/Package_Repositories 링크

Proxmox VE No-Subscription Repository

/etc/apt/sources.list 부분을 싸이트와 같이 수정해주니

설치가 되더라고요..

제가 생각하기로는 proxmox에서 호환되는  여러 패키지들을 다운받아 이용하기위해서는

Proxmox VE Enterprise Repository (구독해야만 사용가능)을 이용해야하고 proxmox와 호환성이 좋아 별탈 없이 동작한다.. 라고생각하면되고

VE No-Subscription Repository 제공하는 패키지는 기존 데비안 리눅스용이라 커스텀마이징된 proxmox에서는 호환이 안될수 있다.

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건가요??
               
레파지토리는 패키지매니저(proxmox에서는 apt)로 install 할때 패키지를 다운받아올 주소를 말합니다.

윈도우에서는 보통 설치파일을 다운받아서 그걸로 설치를 하는데..
리눅스에서는 대부분 패키지매니저를 사용하죠

리눅스에서도 바이너리를 받아다가 dpkg -i(데비안)로 직접 깔 수도 있지만
패키지매니저 사용하면 업데이트가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냥 apt update/upgrade 하면 업데이트가 됩니다.

레포가 하나도 등록이 되어있지 않다면 패키지를 검색/다운할 서버가 없기 때문에 install 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패키지는 버전이 하나만 있는게 아니니 패키지 버전에 따라 proxmox와 충돌하는지 테스트를 해봐야 합니다.

VE No-Subscription는 돈을 안내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개발자들이 패키지가 proxmox와 충돌하는지 테스트해보지 않은 버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부 베타 버전이 섞여 있을 수 도 이겠죠.. 아마도..)
=> these packages are not always heavily tested and validated.

반대로 VE Enterprise는 개발자들이 proxmox와 충돌이 없는지 철저하게 테스트해서
통과한 버전만 있는 레포인것 같습니다.
=> It contains the most stable packages, and is suitable for production use.

VE Test Repository는 더 불안안 패키지(검증이 더 안된 최신 베타 등등)들이 있는 레포라네요.
               
만약 안정성이 중요한 프로덕션 서버에 사용하실 거라면
구독을 하고 VE Enterprise Repository를 사용하세요.

프로덕션에서 패키지 깔다가 충돌이라도 일어나면
더 귀찮아질 수 있습니다....
                    
히소카 2019-12
답변감사합니다.
행복하세 2019-12
그 소프트웨어 구독이란걸 해본적이 없는데
어떤식으로 하는건가요?
달마다 정기적인 입금해야 하는건가요?
강물처럼 2019-12
상용 서비스 아니시면 no subscription repository 쓰시면 되고, 안정화 패키지 말고 다른 특별한 제한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가끔씩 최신 업데이트해보면 버그로 일부 패키지들이 동작이 안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 (docker-ce등) 참고로 subscription alert 무력화 스크립트입니다.. (업데이트 하실때마다 실행 필요합니다)

sed -i.bak 's/NotFound/Active/g' /usr/share/perl5/PVE/API2/Subscription.pm && systemctl restart pveproxy.service
     
히소카 2019-12
답변 감사합니다.
김동자맨 2020-02
좋은정보 얻어갑니다 감사합니다


제목Page 41/130
2015-12   1783908   백메가
2014-05   5259086   정은준1
2018-06   7544   jhking
2018-10   5023   전진
2022-09   7730   RHNS
2023-04   11178   송주환
2023-07   25693   유쾌한남자
2014-02   15649   니포
2014-04   7061   스톤콜드
2020-06   6845   오늘도치킨
2022-09   8283   osthek83
2013-05   23694   이갑부
2013-07   17250   잔혹한마법사
2015-02   7318   서울사람
2015-05   6150   테돌아이
2016-04   7667   izegtob
2018-04   7563   YODA34
2022-01   3692   moriss
2023-04   14011   송주환
2023-10   25127   EYESSHOT
2024-11   2089   sdlfkjwer
2015-03   8535   박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