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RemoteFX & VDI 에 사용되는 그래픽카드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조회 14674   추천 0    

 
질문글에 올릴까 하다가 그래도 가상화 관련질문이라 올려봅니다.
 
게시판의 취지와 맞지 않다는 이야기가 들리면 바로 삭제하겠습니다. ^^;
 
 
 
평소에 윈도우로 가상화를 만드는데 관심이 있어서 이리저리 찔러보고
 
있는 중이었습니다. 그러던중에 RemoteFX 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되게 좋아보이더군요. 일반 그래픽 카드로도 구현된다는 이야기도 많이
 
보이고해서 저도 구축 가능할거라는 생각에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기왕에 하는거면 가상화서버를 한대 구축하고 VDI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어군요. 마침 다른 회원분이 Grid K2로 VDI를
 
구축해서 만드신 것도 보였고 말입니다.
 
이 때 까지는 RemoteFX 나 VDI 가 비슷한 기술인줄 알고 VDI를 구축할 때에도
 
일반 그래픽카드를 사용가능한 줄 알았습니다. 이번에 생각만 하던 가상화
 
서버를 구축할 기회가 되어서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던 중에 아래 링크과 같은 문서도 있었구요...
 
 
위의 링크에 보면 제목에 RemoteFX 가 적혀있기에 RemoteFX = VDI 라는
 
생각에 문제가 없는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RemoteFX 를 설정하는 여러 블로그들에는 VDI 와 같이 다중 클라이언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 일반 컴퓨터에 RDP 를 설정하는 것과 같이 1인 사용만을 전재로
 
하는게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리고 VDI 설치 관련으로 이것저것 찾아봤을 때는
 
일반 그래픽카드로 셋팅해봤다는 자료를 찾아보기가 힘들었습니다.
 
이제는 RemoteFX 와 VDI 가 서로 다른 기술이 아닐까하는 생각에 허우적
 
거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과연 일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제대로 된
 
생각인지도 의심스러워 집니다. ^^;
 
일반 그래픽 카드는 단일 시스템이 사용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을것인데
 
VDI 와 같이 다중 클라이언트를 지원할 수 없는게 아닌가 하는... 그러니
 
VDI 는 Quadro 나 FirePro 시리즈가 아니면 손대지 말아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게다가 위의 링크에 보면 제가 생각하는 RemoteFX 의 기능을 VDI 로 구현
 
하려면 모 회원님께서 사용하시는 Grid 시리즈나 FirePro S 시리즈를 사용해야
 
한다는데, 그 밑의 등급(Better 이하) 그래픽 카드로는 오피스 프로그램과
 
인터넷정도만 원활할 거라는 설명이 저를 주눅들게 하네요.
 
RemoteFX 든 VDI 든 사용해보신 분 계시면 가상화에 사용했던 그래픽카드의
 
모델명과 어떤 환경에서 얼마만큼의 퍼포먼스를 뿜어내 줬는가를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이런 경험도 다 재산이니 자세히는 바라지도 않겠습니다. ^^;;
 
대충 AA모델에 VDI 구축해서 클라이언트 2개 생성후 각각 동영상까지 잘 돌아가더라~
 
정도만이라도 정말 고맙겠습니다. 사용하셨던 그래픽카드가 일반용이면 더할나위
 
없이 큰 도움이 되는 지표가 될 것 같습니다. ^^;
황혼을향해 2014-03
적고나서 한참 있다가 다시보니 제가 뭘 물어보고 싶어하는지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전달하고싶은 내용을 글로 표현한다는게 굉장히 어려운 일이군요... ^^;;
간결하게 질문을 다시하자면...

1. Window Server 기반에서 2명이상의 클라이언트에게 RDP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RemoteFX 나 VDI 서비스를 구축 할 경우 일반 그래픽카드 (Geforce, ATI)계열을 사용해도 괜찮은가?

2. 최신의 일반 그래픽카드(HD7000 or Geforce 600 series 이상)와 구형의 서버용 그래픽카드
    (VDI를 지원한다고 되어있는 Quadro or FirePro) 중 선택을 해야 한다면 어떤것을 골라야 하는가?

이 두가지가 되겠습니다. 궁금한건 더 많지만 그건 실제로 겪어봐야 될 것 같네요. ^^;
정말, 대충쓰려면 상관없는데 좀 제대로 알고 쓰려니 공부할께 많습니다~ 하핫~
김윤술 2014-03
MS의 VDI 와 V사의 VDI 개념은 비슷하다 사용용도는 약간 다릅니다.
MS는 3D 고퀄리티 작업을 위한 RDP VDI 이고 V사의 VDI는 일반 유저 사용자를 위한 타겟이였습니다. 요즘은 분위기가 서로 고퀄리티 작업 위주로 구성이 바뀌고 있습니다. 즉 일반 사용자는 터미널 방식이나 쓰라 이거고 고가의 그래픽 카드로 가상화 기능까지 구현되는 서버/웍스테이션 고급 VGA를 사용하게 됩니다.
1G 이상되는 256Bit 카드라면 구성은 가능합니다. 성능은 기대이하입니다만 2008R2 에서는 조금 성능이 괜찮다는 사용자도 있었습니다. 2012의 remote FX는 권장 그래픽 카드가 V7800 이상이더라구요. 최하 100만원 이상되는 고급 카드라야 된다는 것입니다.
전 ATI 6850 으로 테스트 해봤는데 퀄리티 정말 안나왔습니다.
천만원대 이상되는 고급 카드를 꼽아야 되는걸로 결론냈습니다.
     
황혼을향해 2014-03
친절한 답변 고맙습니다.
Geforce 나 ATI HD 시리즈는 갖다버려야 한다는거군요...
가상화 좀 제대로 해보려고 했다가 다른 시스템 다 처분해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에효~ ^^;;
CIRTIX XENDESKTOP 7.x with QUADRO 4000 or K4000 은 신세계입니다. ^^
     
황혼을향해 2014-03
주머니도 신세계급으로... ^^;;
설영수 2014-03
Grid K2 장착후 RemoteFX 테스트 해봤지만

만족 할만한 수준은 아니였습니다. - Windows Server 2012 기준

2012 R2에서 vram 할당량 증가와 성능개선되었다는데..  시간이 되면 다시 테스트 해봐야겠네요 ~
     
황혼을향해 2014-03
Grid K2를 사용해보신분이 만족할 만한게 아니라고 하실 정도면... 음...
가상화시스템 계획은 전면 수정해야 할 지도 모르겠네요~ 에공~ ^^;
          
gpu를 제대로 쓰시려면 현재는 씨트릭스 젠데스크탑바께 답이 없습니다.
RemoteFX로는 성능을 제대로 못뽑아주는거같습니다. 카드가 후져서 그런게 아니고
프로그램 문제입니다. 하하
그리고 Grid K2는 RemoteFX를 위한 용도의 카드가 아닙니다^^
GPU기능 강력한 가상화를 하시려면 진로를 씨트릭스로 변경하세요^^
젠데스크탑 쿼드로4000정도로도 저는 충분한 퍼포먼스를 느꼈습니다^^
서수봉 2014-03
NVIDIA GRID™ vGPU™는 호환되는 버전의 Citrix XenServer에서만 지원됩니다 <--  이런 글귀가 보이는군요.
강기용 2014-03
http://blogs.msdn.com/b/rds/archive/2013/11/05/gpu-requirements-for-remotefx-on-windows-server-2012-r2.aspx
여기에 보시면 Windows 2012 R2에서 지원되는 GPU모델을 확인하실수 있을 것 같습니다.
넥서스5 2014-04
Remotefx를 테스틀 할려면 RDS CAL이 있어야 테스트를 할 수 있나요?
평가판에서 못하나요?
우기석 2014-04
vm 5.5에 쿼드로4000 vdi로 창모드 디아블로3 800x600 까지는 원활합니다만,
해상도를 높이면, 클라이언트PC 성능도 덩달아 좋아져야  겠더군요.

말씀하시는 용도에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제목Page 120/130
2014-05   5255732   정은준1
2015-12   1780633   백메가
2016-10   17617   행복하세
2016-05   17631   Sunrise
2023-05   17661   포병
2013-06   17710   회원K
2016-08   17767   Midabo
2015-01   17887   파비
2014-09   17892   김운영
2013-07   17929   최승호
2014-12   17996   리베이트
2015-03   18038   슬루프
2013-08   18050   회원K
2023-09   18051   송주환
2013-07   18092   김황중
2023-03   18116   지상최고의…
2013-07   18132   이치로운
2023-05   18177   방랑자7
2013-07   18302   김황중
2013-10   18411   s김종화z
2023-08   18429   네버다이
2013-10   18541   타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