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esxi에 USB Ethernet을 사용하기.

지인환   
   조회 7974   추천 2    

 안녕하세요.

부품을 모아 NAS에 esxi를 설치하였으나 내장랜이 10/100Mbps라서 방법을 찾아 테스트 해보고 잘되어 글을 올려봅니다.

내장랜을 Management 포트로 사용하고 기가랜을 PCI-ex에 사용하여도 되나 ITX보드에 PCI-ex가 1개 이고 거기에는 레이드카드가 꼽혀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차분히 보면서 따라오시면 쉽게 가능하십니다.


1. USB Ethernet 확보

https://flings.vmware.com/usb-network-native-driver-for-esxi#requirements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USB Ethernet이 지원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벤더사와 칩셋만 갖고는 VID, PID값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구글로 몇시간을 검색하였지만 나오지 않아서 해외 사례를 보고 같은제품을 구입하였습니다.

제가 구매한 제품은 [TP-LINK UE300] 입니다

VendorChipsetVendorIDProductID
ASIXAX881790x0b950x1790
ASIXAX88178a0x0b950x178a
CISCO LINKSYSRTL81530x13b10x0041
DLINKAX881790x20010x4a00
INSYDE SOFTWARE CORPInsyde Software Corp.0x0b1f0x03ee
LENOVOAX881790x17ef0x304b
LENOVORTL81530x17ef0x7205
LENOVORTL81530x17ef0x3069
LENOVORTL81530x17ef0x720a
LENOVORTL81530x17ef0x3062
NVIDIARTL81530x09550x09ff
REALTEKRTL81530x0bda0x8153
REALTEKRTL81520x0bda0x8152
SITECOMEUAX881790x0df60x0072
SUPERMICROSupermicro computer Inc0x15d90x1b83
TP-LINKRTL81530x23570x0601

공식 지원되는 제품은 위의 표와 같습니다.


2. Driver 확보

https://flings.vmware.com/usb-network-native-driver-for-esxi#summary  방문하셔서 드라이버를 내려받으면 됩니다.


3. 설치 이미지 만들기

https://www.v-front.de/p/esxi-customizer-ps.html  해당 링크를 접속하시면

3-1 ESXi-Customizer-PS Download latest version 을 다운로드

3-2 VMware PowerCLI 설치

3-3 PowerShell 실행(관리자모드)

ESXi-Customizer-PS-v2.6.0.ps1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ex) .\ESXi-Customizer-PS-v2.6.0.ps1 -v67 -vft -load sata-xahci,net55-r8168 -pkgDir E:\Download\esxi_customizer\drv

위와 같이 실행.

위 옵션들을 간략히 설명 드립니다.

-v67 esxi 6.7을 base로 이미지 생성 (-v60, esxi 6.0, -v65 esxi 6.5)

-vft -load V-Front Online Depot 에서 해당 드라이버 다운로드 이후 설치이미지에 병합

-pkgDir offline 드라이버가 있는 디렉토리 지정하여 여러개의 드라이버를 설치이미지에 병합


저는 위의 옵션으로 사용하였고 \drv폴더에 USB Ethernet 드라이버, Raid카드 드라이버 넣었습니다.


4. 설치

이 글을 보시면서 따라하시는 분은 설치까지는 문제 없으리라 보여지므로 넘어갑니다.


5. 트러블슈팅

위와 같이 설치한 이후 IP설정도 마쳤지만 분명 리부팅하면 연결이 되지 않을껍니다.


해결방법-1

부팅 완료 이후 F2로 Customize System으로 진입

Configure Management Network 진입

Network Adapters에 진입하여 vusb0을 x표서(선택)

이렇게 하면 다시 네트워크가 잘 되실껍니다.

하시만 리부팅하고 난뒤 계속 이짓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지요.


해결방법-2

해결방법-1을 하고난뒤 SSH를 enable하여줍니다.

ssh 접속하여 vim 에디터로 vi /etc/rc.local.d/local.sh를 수정하여줍니다.

exit 0 문장 위에

esxcfg-vswitch -U vusb0 vSwitch1

sleep 2

esxcfg-vswitch -L vusb0 vSwitch1

sleep 2

/bin/vim-cmd internalsvc/refresh_network

5줄 추가하여 줍니다.


여기서 vusb0은 반드시 0이 아닐수도 있습니다.

해결방법-1에서 자신의 USB Ethernet명을 확인가능합니다.

리부팅하여 네트웍이 잘 붙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위와같이 하시면 USB로 esxi에서 Ethernet을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Ps. 이렇게까지 했는데 보드문제인지 속도가 풀로 나오지 않고 대략 6~700Mbps 나옵니다 ^^

김제연 2020-02
보드는 어떤거 사용하시나요 ? USB 3.0포트에 꼽으신건가요?
     
지인환 2020-02
중국제 ITX(soyo) 보드 입니다.
싼맛에 샀지만 내장랜에서 낭패를 봤네요.
보드 후면 usb 3.0에 꼽았습니다.
          
김제연 2020-02
허허.. USB 3.0 달린 보드가 100MB라고 하셔서 .. 어떤보드인지 궁금했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나중에 보드 구입시 꼼꼼히 봐야 하겠네요 .
          
행복하세 2020-02
허~~ 역시 중꿜러인가요 이런걸 낚시를하다니
               
지인환 2020-02
속여서 판매하진 않았구요...
제가 지레짐작 당연 기가랜이겠거니 하고 구매한거죠...^^
요즘 내장랜중에 기가랜 아닌게 더 찾기 힘든 시대라서
                    
행복하세 2020-02
그게 낚~~시죠 ㅎㅎ
maronet 2020-02
저 드라이버는 NUC 사용하는 직원들이 답답해서 만들었다는 썰도 있고... ㅎ
검은콩 2020-02
와드좀 박겠습니다. 나중에 요긴하게 잘 써먹을 듯 하네요 감사합니다 ㅎ
불타는김C 2020-0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제목Page 39/130
2014-05   5264311   정은준1
2015-12   1789260   백메가
2018-04   5954   쿨보이
2020-01   13676   하늘하늘
2020-11   4301   지존컴퓨터
2023-07   24273   아하부장
2014-02   16934   readytoact
2015-03   12952   전설속의미…
2017-01   5539   깜박깜박가
2019-11   4007   송주환
2021-01   4044   스텔러
2021-12   3818   K007
2022-05   7858   키큰난쟁이
2023-01   16354   25엔지니어
2024-03   5001   율은커
2013-07   18101   김황중
2015-09   5597   smartnation
2016-03   9159   김치와김밥
2016-04   6206   미나리나물
2020-09   4257   Bebhioon
2021-01   7989   유령E정해준
2022-05   9061   좋은하루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