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VMware 초보입니다. ESXi 구축 구성도 만들고있는데 도움 좀 주십시요..

   조회 5397   추천 0    

VMware 초보입니다. 많은 분들이 홈LAB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여 테스트도 하시고, 공부도 병행하시는 것 같아서 저도 한번 따라해볼려고 합니다.

그런데 아직 IT 쪽 경험이 많지 않아 구성도 만드는것부터 어려워서요.

너무 초보라서 말도 안되는 질문이 있을 수 있는데... ㅠㅠ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제 질문을 보고 수준을 고려해 상세한 답변 부탁드려요!선배님들!


보유 장비 : 서버 2대 (X3550, X3650), 스토리지 1대 (G200), 네트워크 스위치 1대 (Catalyst 2960-C)

하고 싶은 구성 : WEB서버 2대와 WAS 서버 그리고 DB서버 등 여러가지를 구축하고 싶습니다.

Q1) X3550과 X3650 물리적인 서버 2대에 ESXi 6.7를 각각 설치하고 난다음에 web서버 2대와 was, DB서버를 ESXi1에 설치하느냐? ESXi2에 설치하느냐? 어떤식으로 나누어서 VM을 올려야 하는게 이상적인 구성인가요? 그냥 나누고싶은대로 (ex. web 1대 + was는 ESXi1에,  web 1대 + DB는 ESXi2에 설치하고) 나누면 되는걸까요??

Q2) vCenter 를 설치하고 싶은데 ESXi1이나 2 중 한 곳에 VM으로 OS를 Windows 10올려서 vCenter 설치한다음에 ESXi1과 2를 추가해주면 되는건가요?

Q3) WEB - WAS - DB - Storage 이런식으로 연결해도 클라이언트 요청에 WEB이 WAS를 통해서 DB로 가서 DB가 스토리지에서 정보를 땡겨와서 다시 역순으로 WEB까지 데이터 전달 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하는 구조가 이게 맞는건가요?


maronet 2020-12
Q1) 웹서버 앞에 로드발란서가 있고, 2대의 웹서버를 로드발란싱하는 상황이라면.
각각의 Web 서버는 서로 다른 호스트에 위치하는게 고가용성 측면에서 좋습니다.
was와 db 처럼 상호 연관성이 높은(통신이 많은) 것들은 같은 서버에 위치하는게 좋습니다.
전반적으로는 서버 부하량, 시스템 사양, 요구사항 등 고려해서 정하게 됩니다.

Q2) vcenter는 현재는 VCSA가 일반적이라 windows 10 설치할 필요 없습니다.
바로 둘중하나의 esxi 호스트에 설치하면 됩니다.
     
가상화린이 2020-12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Q1) 로드밸런싱하기 위한 L4 제품이 없습니다만, 이 부분은 모양만 그럴싸하게 그려보려 합니다. 혹시 로드발란싱이 가능하다면 HA 측면에서 ESXi1에 WEB1 설치, ESXi2에 WEB2 설치하는게 맞다는 말씀이신거죠!?
보통 웹 서비스 구축이라면 가장 부하를 많이 받는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내는 WEB서버인거죠? 그래서 로드발란싱이 필요한거죠??

Q2) 감사합니다.!! VCSA
          
maronet 2020-12
- 로드밸런싱하기 위한 L4 제품이 없습니다만, 이 부분은 모양만 그럴싸하게 그려보려 합니다.
<- 논리적인 구현만 하면되니 haproxy, nginx등 sw로 로드발란서의 역할만 구현하면 됩니다. 모두 HW 장비로하려하지 않는게 여러모로 좋습니다.

- 혹시 로드발란싱이 가능하다면 HA 측면에서 ESXi1에 WEB1 설치, ESXi2에 WEB2 설치하는게 맞다는 말씀이신거죠!?
<- 네 맞습니다.

- 보통 웹 서비스 구축이라면 가장 부하를 많이 받는 서버는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내는 WEB서버인거죠? 그래서 로드발란싱이 필요한거죠??
<- 일반적으로는 그렇지만,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정확한 부하는 서비스해봐야 알아요. 운영은 선입견으로 예단하지 말고, 잘 관찰/대응하는게 중요합니다.

메뉴얼, Design Guide 문서들 꼭 보세요.
               
가상화린이 2020-12
Q1) 웹서버에 nginx가 아니라 apache 설치하려고 했는데 혹시 nginx 추천하신 이유가 로드발란서 역할 때문인가요? (1클라이언트 : 1쓰레드의 단점인 apache 보완?)

감사합니다!!
                    
maronet 2020-12
네~ 로드발란서 역할로 많이 사용해서, 자료 찾기가 쉬운편입니다.
DarknessAng… 2020-12
1. 돌릴 VM의 규모랑 서버 사항에 달린 문제입니다

가장 이상적인건 2군데에 동일하게 모든 VM을 올려서 안정성을 높이는겁니다

가상화의 주의 사항중 하나로 모든걸 가상화 안 하는게 바람직하므로 외부에 연결된 NGINX를 돌릴 서버정돈 별도의 머신을 두시던지, 혹시 ip가 여러개 있다면 각각의 ESXi에 있는 웹서버에 각각 연동후 도메인 설정으로 두개 다 되게 해주세요 (결국 둘중 하나가 죽더라도 버틸 수 있게 하는게 이상적이란것뿐입니다)

2. vCenter Server ~6대는 Windows Server에 올리는거고, 7(VCSA)은 VM 통쨰로 되어있습니다 (6.7이니 둘 다 연동됩니다)

다만 vCenter Server 의외로 디스크 용량 소비하고, 램은 퍼먹으니 주의해주세요 (7기준으로 최저 규모인 Tiny가 415 + 12기가 소비하는데, 램 12기가 주면 맨날 모잘라다고 경고 뜸)

3. 리얼 머신일때랑 아무 차이 없습니다
     
가상화린이 2020-12
Q1) nginx가 apache보다 자원을 적게 써서 nginx를 언급해주신건가요? 기본적으로 웹서버하면 apache밖에 생각안했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apache는 언급하지 않고 nginx 언급하셔서요. 혹시 대세가 그러해서 그런건지 그냥 이유가 궁금해서요 ㅎㅎ

Q2) 2번 답변을 제대로 이해 못했습니다. ㅠㅠ 0~6대까지는 vCenter Server를 쓰고 7대 부터는 VCSA를 써서 관리하라는 말씀이신건가요?

Q3) 감사합니다.!
          
DarknessAng… 2020-12
1. 구조상 리버스 프록시등으로 돌리게될 로드 밸랜서등의 용도에선 NGINX가 압도적입니다 (랄까 애초에 대부분의 용도에서 동일 이상의 수준으로 작업이 가능하므로 apache를 쓸일 별로 없음)

2. vCenter Server ~6대의 버전은 Windows Server에 까는 플러그인같은거지만, 7(=VCSA)는 애초에 자체가 OS입니다

7써도 ESXi 7만 관리 가능한것 아닙니다 (6.7이라도 잘 됨) (단 일부 기능은 7에만 적용 가능)

애초에 NIC 문제나 HPE의 지원 문제만 아니라면 7 쓰세요 (성능과 관리 다 편함)
epowergate 2020-12
어차피 배우시는 거면 이것저것 다 해보세요


제목Page 31/130
2015-12   1788890   백메가
2014-05   5263921   정은준1
2015-12   5590   회원K
2023-04   5590   Global09
2018-03   5592   MnkRed
2015-09   5597   smartnation
2016-01   5608   소푸
2015-07   5615   하얀고니
2014-06   5616   김명준a
2019-02   5616   주태형
2021-05   5625   파간희
2015-10   5625   chotws
2022-03   5625   나라사랑
2015-12   5633   노노치킨
2021-06   5633   VM왕초보
2016-09   5634   마녀
2015-03   5634   agegold
2016-04   5636   오봉이
2020-06   5636   하늘색꿈
2018-03   5638   formtecpad
2014-07   5643   빠시온
2015-05   5643   테돌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