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vm이 무겁고 뚝뚝 끊기는데.. 원인이 뭘까요?

Gate   
   조회 12208   추천 0    

안녕하세요, vmware이 무겁고 뚝뚝 끊기는 현상이 있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우선 사양을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

cpu- ryzen 3700x

mb- asus x570 (AMD-V ON)

ram- g.skill 16gb x2 (현재 오버 OFF 상태)

ssd- 삼성 nvme ssd 500gb(host) / ssd 256gb(vm guest)

hdd- wd 500gb / 2tb

gpu- 1660 super 6gb


host(Win10 pro)에서는 별 문제없는데, vm guest(Win7 pro) 들어가면,

바탕화면에 아무것도 안켰는데 전체적으로 무겁고 느린 느낌이 있고, 게임(2D 온라인게임) 키면 뚝뚝 끊깁니다.. (화면이동 로딩+마우스 클릭 끊김,딜레이 0.5초~1초)

게임외에 설치한거 없고, 윈도우 최적화만 하고 실행 시켰습니다.


vm 리소스 할당 설정은:

ram- 2gb~5gb 까지 시도 (오버 ON & OFF 둘 다 시도)

cpu- processor 1~2, cores per processor 2개 까지 시도 (~최대 4cores)

ssd- 30gb~60gb 까지 시도

3D graphics- accelerate ON, 1~2gb memory 까지 시도

vmware tools 설치 완료


혹시나 부품 이상인가 싶어 이런저런 검사를 해봤습니다:

cpu- intel burn test 100회 - 이상 무, 최고온도 78도

ram- mdsched.exe/ memtest86 이상 무

hdd- chkdsk/ crystaldisk info/ hddscan 이상 무

gpu- Superposition 1080p medium/ furmark - 최고온도 63, 이상증상 없었음

CINEBENCH R23: CPU multi=11133, CPU single=1263, MP Ratio=8.82


드라이버는 bios 제외 나머지 최신으로 업데이트 했습니다. (컴쪽에 지식이 풍부하지 못해, bios는 아직 건드리지 않았습니다.)

vm버전은 workstation pro 15.5.7 입니다.


국내와 해외 포럼에 비슷한 증상으로 해결한 사례들을 검색해 봤습니다. "3700x 스터터링" 혹은 "ryzen 스터터링"에 관련된 내용을 주로 찾아 보았고, 몇가지 시도:

1. 모니터 스피커 끄기

2. MSI mode utility 에서 그래픽카드 MSI check ON

3. 장치 관리자> IDE ATA/ATAPI controllers 에서 amd 써있는게 있는지 확인, (있으면 삭제하고 재부팅해야 하지만 저는 standard controller 들만 있었습니다)


이 상태에서 어떤 검사나 시도를 더 해보면 좋을까요?

만약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니라면, vmware 설정과 관련된 문제일까요? 아니면 과연 버전이 안맞는걸까요?

더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질문 해주시고,

어떤 시도를 더 해보면 좋을지 아이디어, 조언 부탁드립니다.

이이크 2021-02
vm에서 작업관리자 띄우셔서 disk 사용량 한 번 봐보세요..
전 조금만해도 ssd가 100%가 돼서 엄청 느려지더라구요
해결 못해서 그냥 참고 사용 중입니다 ㅠㅠ
     
Gate 2021-02
음.. 우선 host win10 pro 에서는 vmware 디스크 사용량이 0 MB/s 이고, 메모리는 45~48 MB 입니다.
vm guest 에는 win7 pro가 설치 되있는데, 여기서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네요.
도움이 될지 모르겠지만, 작업관리자 스샷입니다:
https://imgur.com/a/dyoLnGh
DarknessAng… 2021-02
애초에 WorkStation처럼 오버헤드 큰걸 게임용으로 기대하는게 좀... (특히 디스크 성능이 쓰레기가 되버림)

그리고 램 2기가 주면 거기서 비됴램이 1기가 빠지니 실재 OS가 쓸 수 있는건 겨우 1기가입니다

일단 호스트에서 HWInfo등으로 SVM 켜져있나 보세요 (디팬더나 기타 백신의 보호 기능 켜면 가상화 기능 선점해버리는 경우 있습니다)

이어서 VM돌린 상태에서 게스트랑 호스트의 리소스 사용량도 확인해보세요
     
Gate 2021-02
오버헤드에 관한 내용은 동의 합니다.
하지만 cpu 4, ram 5gb 까지 할당해도 변화가 없습니다..
제가 하는 게임에서 vmware로 구축한 유저들이 있는 것 같아 시도해 봤습니다.

HWinfo 다운받아서 확인해봤는데, 조금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습니다.
hwinfo에서는 amd-v가 회색으로 표시되있고 (지원되지 않음)
host 작업 관리자에는 virtualization enabled 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부분이 말씀하신 SVM 맞죠?

그리고 host/guest 리소스 사용량은 큰 문제 없어보이지만, 혹시 모르니 스샷으로 남기겠습니다:
https://imgur.com/a/OGVDGvp
          
DarknessAng… 2021-02
AMD-V가 회색이란건 선점되거나, 지원 안 되는 플렛폼이란 의미입니다 (바이오스 옵션에서 끄면 빨간색)

혹시 Hyper-V나 백신의 가상화계열 보호 기능이나 디팬더의 센드박스가 켜져있다면 반드시 꺼주세요

가상화 기능이 제대로 안 되면 VM 기어다닙니다
               
Gate 2021-02
몇가지 시도해봤습니다:
1. 다른 포럼에서 Hyper-V 를 키라고 해서 잠시 켰었는데, 다시 끄고 시도 → 변함없음
2. 백신프로그램에서 가상화 보호기능 (HAV) 켜져있어서, 끄고 다시 시도 → 변함없음
3. 윈도우 안 gpedit 가상화 보호기능 (VBS) 끄고 다시 시도 → 변함없음

윈도우 샌드박스는 기본으로 꺼져있다고 하는데, 윈도우 기능(hyper-v 키고 끄는 곳) 에 있는 샌드박스 맞나요?
비활성화 되어있는걸로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현재도 hwinfo에서는 amd-v가 회색이고, 작업관리자에서는 활성화 되어있습니다.
                    
DarknessAng… 2021-03
일단 느린 원인은 가상화 기능이 안 되서 그런거니 누가 쓰고있는지 찾아내서 못 쓰게 뻇을 수 밖에 없습니다
아레스08 2021-02
Win10 가상화는 Hyper V 가 훨씬 쾌적합니다.
Hyper V 로 가시면 신세계를 맛 보실 검니다.
     
Gate 2021-02
처음부터 Hyper-V 사용하려고 win10 pro 설치했었습니다.
하지만 제 지식이 부족한 탓인지 네트워크나 vGPU 구성하는데에 어려움이 생겼습니다.
remoteFX 3d를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는 소식에 nvidia grid, tesla를 알아봤던게 마지막 이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금액적인 부분에 걸렸습니다.

그리고 vmware을 시도해 보게 됐습니다. 제가 하는 게임을 vmware로 다중실행하는 유저들이 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면서 '가능성은 있구나' 라는 생각으로 시도하게 되었지만, 또 다른 문제점들이 생겼고, 그에 대한 정보 검색, 부품 테스트, 드라이버 업데이트 등등.. 이해하면서 하려다보니 벌써 1년정도 시간이 흘렀습니다..
maronet 2021-02
정확히 어떤 게임인가요? 제 노트북 VMware Workstation에서 한번 돌려보려구요.
     
Gate 2021-02
ㄴ슨에서 서비스하는 ca.exe입니다.
          
maronet 2021-02
제가 게임을 할줄 몰라서 제대로 플레이는 못해봤습니다.
테스트 삼아 몇판 해본바로는 말씀하신 증상은 없었습니다.
사용해본 내용 정리해보면~
- i5-7200U (2core 4thread)
- VMware Workstation 16.1.0
- Guest OS : Windows 10
- 게임용 VM메모리는 4GB면 충분해 보임. 게임시작시 3GB 정도 수준.
- 2D 게임이라 VRAM 과 연관된 메모리도 크게 신경 안써도 될 것으로 보임
- 게임 시작되고 나면 디스크입출력도 거의 없어서, 디스크 성능과도 관계 없어 보임
- FRAPS 돌려보니, 대기실에서 110~120 정도 나오고 게임 중에도 60이상 꾸준히 나옴
- CPU 성능 또한 그리 많이 요구 안함. 제 노트북 기준으로 2개 동시에  돌려도 될 정도.
               
Gate 2021-03
먼저 직접 테스트 해주신점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버벅거리는게 이상할정도로) 저사양 게임인건 맞습니다..

테스트하신 조건이, 제가 시도해왔던 조건과는 조금 다른점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비슷하게 맞춰서 다시 시도 해봤습니다.
vmware 버전을 15.5.7 사용했었는데, 16.1.0으로 업그레이드 했고,
Guest OS를 Win7 Pro & Win10 Pro 두 가지 OS 테스트 했습니다:

1. FRAPS 수치를 나열하려 했습니다만, 처음 써봐서 제가 잘 못보는건지, 테스트 할 때 마다 범위가 조금씩 바뀌는 것 같습니다. 특히 Win7은 오차범위 최소 10~20까지 있다는 점 참고하시고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Win7 Pro - 대기실&게임중 90~100 (오차범위 10~20)
Win10 Pro(정품 미인증) - 대기실&게임중 25~30 (거의 고정 + 마우스가 무겁습니다)
흥미롭게도 대기실과 게임중의 프레임이 비슷했습니다. (오히려 게임중이 더 높을 때도 있었습니다)
2. Guest기준, 램은 기분탓인지 조금 많이 먹는다는 느낌이 있습니다만, 일단은 정상범위 인 것 같습니다. (Win7 vm 2G 할당해도 거의 꽉 차긴하지만 돌아갑니다)
3. Host기준, 디스크와 CPU는 운동량이 거의 없거나 적게 있습니다.
4. Host기준, GPU 3D는 20~30%정도 운동량이 있고, 메모리는 0.6GB 정도 먹습니다. 온도 40~45도.

vmware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서 그런지 몰라도, 끊김거림이 조금 나아진 감이 있지만, 아직은 불안정한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maronet 2021-03
저는 cpu상의 그래픽을 쓴거라 저정도 프레임나온 것이고,
CPU와 그래픽카드 모두 gate님 스펙이 좋아서 더 나와야 정상인 것 같거든요.
웍스테이션 프로의 버전도 어쨋거나 16이 15보다 3D 가속에서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는 상황이라,
크아의 경우에도 16에서 돌리는 편이 나을 것 같기는 합니다.
게스트 OS가 윈7과 윈10이 저리 성능차가 나는게 좀 묘합니다.
지금 아마 차이가 날 수 있는 부분은 Win10 버전이 하나 있는 것 같구요. 전 그냥 편의상 엔터프라이즈 버전 평가판 받아서 했었습니다.

VM의 메모리는 일단 정상동작하고 난 이후에 조이는(줄여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
여러개 돌리는 상황이라면 Preferences > Memory > Additional memory 에서 Fit all... 항목 선택하고 사용하는거 추천드립니다.
RedJacob 2021-02
mainMem.useNamedFile = FALSE 설정해서 한번 테스트 해 보세요
     
Gate 2021-03
여차저차 찾아서 수정했습니다만, 체감상 변화는 없는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 바로 밑에는 이런게 생겼습니다:
usb:0.present = "TRUE"
usb:0.deviceType = "hid"
usb:0.port = "0"
usb:0.parent = "-1"
turtlmac 2021-03
Workstation 쓰시면 게스트에 Vmware Tools 설치하셨는지요 ?
     
Gate 2021-03
네 설치했습니다(본문)


제목Page 29/130
2014-05   5262392   정은준1
2015-12   1787174   백메가
2015-05   8378   s김종화z
2015-06   5883   테돌아이
2015-10   13142   너의남자
2016-08   8567   izegtob
2019-03   7415   도뤼
2019-11   4555   ioscanknfc
2020-12   5229   rollover
2023-01   14453   준14
2023-10   11128   회상2
2024-10   3542   sdlfkjwer
2016-08   6438   제라드TN
2016-12   9817   s김종화z
2017-03   4329   행복하세
2017-09   9221   고기농부
2020-10   4793   그린
2013-10   39017   황진우
2014-06   9113   재시작
2015-02   8408   엠브리오
2018-01   7771   영산회상
2019-06   8820   소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