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2763 |
0 |
2014-05
525276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7723 |
25 |
2015-12
1777723
1 백메가
|
2108 |
(VMWare) 아크로닉스에서 esxi백업이가능한가요?? (6) |
행복하세 |
2019-01 |
5273 |
0 |
2019-01
5273
1 행복하세
|
2107 |
(VMWare) ESXI 와 guest os 간에 하드웨어 호환성 차이 문의 (2) |
체이스 |
2015-09 |
5275 |
0 |
2015-09
5275
1 체이스
|
2106 |
(VMWare) 매크로기능이 들어있는 마우스를 사용하기위해 connect시 … (3) |
KRooT |
2020-04 |
5275 |
0 |
2020-04
5275
1 KRooT
|
2105 |
(VMWare) 라이선스에 1year라고 써 있는데... (6) |
gean백승환 |
2021-11 |
5275 |
0 |
2021-11
5275
1 gean백승환
|
2104 |
(Xen) xenserver 질문입니다. (3) |
하파엘 |
2017-06 |
5277 |
1 |
2017-06
5277
1 하파엘
|
2103 |
(VMWare) Farewell, VMware (1) |
송주환 |
2023-11 |
5278 |
0 |
2023-11
5278
1 송주환
|
2102 |
(VMWare) win10 업데이트 이후 VMWare 실행불가 (3) |
jhoon24 |
2019-11 |
5279 |
0 |
2019-11
5279
1 jhoon24
|
2101 |
(VMWare) grid 가 좀 바뀌었네요. |
김현린 |
2017-04 |
5281 |
2 |
2017-04
5281
1 김현린
|
2100 |
(VMWare) 가상화...를 포기해야하나 고민되네요 ㅠㅠㅠㅠ (8) |
우루리루 |
2020-05 |
5281 |
0 |
2020-05
5281
1 우루리루
|
2099 |
(Hyper-V) 라이센스 관련 (1) |
ViewFinder |
2018-11 |
5283 |
0 |
2018-11
5283
1 ViewFinder
|
2098 |
(VMWare) ESXI 에 헤놀6.1 입니다 프린터 설치하고 싶어요 (2) |
전진 |
2018-10 |
5287 |
0 |
2018-10
5287
1 전진
|
2097 |
(etc) M10 Grid 2.0 무료 라이센스 발급 문의 (1) |
kino0924 |
2020-09 |
5293 |
0 |
2020-09
5293
1 kino0924
|
2096 |
(VMWare) vsphere 테스트중에 질문 있습니다 (2) |
AI입니다 |
2015-12 |
5294 |
0 |
2015-12
5294
1 AI입니다
|
2095 |
(KVM) 제대로 배워보자 (2) |
응무소주 |
2020-06 |
5296 |
3 |
2020-06
5296
1 응무소주
|
2094 |
(VMWare) [ 다수의 VM port group to 다수의 uplink port group ] … (2) |
전설속의미… |
2015-11 |
5297 |
1 |
2015-11
5297
1 전설속의미…
|
2093 |
(VMWare) SD Card를 VMWare OS로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이슈(6.0 … (2) |
FOXBI |
2022-02 |
5304 |
1 |
2022-02
5304
1 FOXBI
|
2092 |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 Data Teleporter (2) |
limitless |
2018-10 |
5305 |
0 |
2018-10
5305
1 limitless
|
2091 |
(Hyper-V) 리눅스 p2v관련 문의 (1) |
뚠뚠어니 |
2024-01 |
5310 |
1 |
2024-01
5310
1 뚠뚠어니
|
2090 |
(etc) GRID K2에 쿨링팬 붙이기 (2) |
송주환 |
2019-03 |
5312 |
0 |
2019-03
5312
1 송주환
|
2089 |
(VMWare) ESxi에 USB확장카드를 써야되나요 USB허브를 써야되나요? (3) |
봉봉이 |
2017-03 |
5314 |
0 |
2017-03
5314
1 봉봉이
|
cpu 부하가 높으면 cpu나 메모리가 불량나서 죽는 경우를 종종 봤습니다.
당연히 vm들은 느려질거구요.
cpu 증설이 답이긴 한데..
cpu 증설 한다는것은 cpu 교체를 한다는 것이고..
노드 5대, cpu 10개 갈이 하시는거보다 노드를 추가하는게 싸게 먹힐거 같네요..
그래서 결국 VDI의 CPU 코어를 줄여서 CPU 사용량을 줄이겠다는건데...
분명 느려졌다고 컴플레인이 올거 생각하면... ㅠㅠ
윈7 때는 2core에 4gb로도 운영이 가능했는데
윈10은 4core 8gb가 미니멈 이더라구요..
일부 고객사는 2core로도 운영 하긴 하는데
vdi 화면 인코딩 하구 하는것두 vm 내부에서 하기에..
상당히 느리더라구요..
걱정이 많습니다.. 그냥 노드 하나를 사는게 가장 베스트인데..ㅠㅠ
어지간한 구형이나 저전력 시퓨 아닌 이상 4~5개정도면 10 64비트 사무용으로 지장 없는 수준으로 돌아갑니다
일반 사무용도 VDI에 10core 면 엄청 많은겁니다..
당연히 물리노드 cpu가 부족할수 있습니다..
vdi쪽에는 코어를 타이트하게 줘야 합니다.
발열 문제등은 이미 대책이 필요할만큼 부하가 높으니 지금 당장 점검을 추천합니다
참고로 코어 개수를 단체로 다 줄여버리면 게스트가 쓸 수 있는 리소스의 상한은 내려가도 우선 순위는 그대로입니다 (4개 준다고 물리 코어 4개를 할당하는게 아니라 전체 할당된 게스트의 코어 개수 합계랑 설정된 최저치랑 우선순위등으로 판단해서 스케줄러가 리소스 할당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구조입니다) (물른 사용 가능한 최대 상한은 입력한 코어 개수랑 클럭 제한에 의해 정해집니다)
하드웨어 증설이 힘들다면 부서나 역활에 맞추어서 리소스를 제한하거나 최저치를 설정해서 할당을 재배분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못 늘리면 배분을 바꾸어야하니까요)
서비스 죽을수 있다는 협박(?)으로라도
증설하시는게 낫지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