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SAS/SATA에 연결된 HDD를 4k로 포맷할 방법이 있을까요?

dateno1   
   조회 15316   추천 0    

 ESXi 7 최신 버전 사용중입니다


esxcli storage core device capacity list

를 줘보니

Physical Blocksize  Logical Blocksize  Logical Block Count         Size           Format Type

4096                   512                   3907029168                   1907729 MiB  512e

이렇게 나옵니다


NVMe는 esxcli nvme device namespace format -A로 포맷해서 이미 4k로 쓰고 있지만, SATA/SAS에 연결된 디스크를 nvme타입 명령으로 재포맷할 수 는 없을테니 다른 명령이 있나해서 글 남겨봅니다


현제 해당 디스크는 Intel 온보드 컨트롤러에 SATA로 연결된 HDD고, 통으로 vmfs6를 생성한 상태입니다 (백업 완료했으니 포맷하거나 삭제후 재생성해도 됨)


맨날 삽질만 하고 삽니다

http://www.2cpu.co.kr/hardware_2014/44147
컴 케이스 작다고 불타거나 하지 않아요

송주환 2022-07
하드디스크 제조사별 전용 유틸리티를 사용해야 합니다.
     
dateno1 2022-07
NVMe는 리눅스에서 NVMe-CLI를 쓰면 변경 가능한데, SAS/SATA는 안 되나보네요
          
송주환 2022-07
nvme는 표준에 namespace의 block size를 설정할 수 있는 command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nvme-cli를 통해 벤더 독립적으로 block size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maronet 2022-07
덕분에 오늘 또 하나 배워갑니다!
               
dateno1 2022-07
혹시나해서 글 올려보긴했는데, 검색해서 안 뜨는 이유가 있긴하네요

그냥 포기하고 HDD는 느린거라고 생각하고 참아야겠네요
                    
송주환 2022-07
VMFS 환경에서 4Kn/512e 성능 차이는 미미할텐데요. ESXi/Guest OS 지원을 고려하면 일반적으로 512e의 성능이 더 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dateno1 2022-07
어차피 4kn을 골라도 게스트에는 512e로 제공된다고 문서에 되어져 있습니다

성능 향상이 있을까해서 삽질해보는데, 결론은 범용적 방법 없어보이네요
댕댕이 2022-07
하드디스크가 4kn을 지원한다는 가정하에
disk가 4096 형식으로 포멧되어 있으면 esxi에서 자동으로 4k로 vmfs6 생성됩니다.
제조사 하드디스크 포멧툴을 사용해야하며 가장 쉬운 방법은 sata 컨트롤러 패스스루해서 윈도우에서 제조사 유틸로 포멧한다음 다시 패스스루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dateno1 2022-07
용량은 적어도 구매한지 1년도 안 되는 디스크라 4kn 지원은 됩니다

새 디스크 꽃은후 생성하니 저런식으로 4k 디스크를 512b로 포맷해서 생성해놨네요

참고로 오후에 디스크 백업및 호스트 1대 종료후 Windows로 부트시킨후 돌리고 변환후 망해서 다시 512로 되돌렸습니다 (황당하게 터미널로 붙어보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디스크가 GUI 목록에 올라오질 않고, VMFS 생성자체가 안 되네요)

분명히 6대 이상은 4k 지원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러니 당황스럽네요 (지금 백업해둔 데이터 다시 복사중입니다)

결론은 변환이 안 되는건 아니지만, 변환하면 VSpehere 호환이 안 됩니다 (Windows랑 Linux로 부트해보면 정상적으로 파티션 생성및 더미 파일 생성 성공)

이외에 NVMe중 1개도 저런 상태인넘 있어서 같이 변환했는데, Adaptors에는 뜨는데, Devices에는 안 뜨고, 동일하게 VMFS 생성도 안 됩니다
박문형 2022-07
4K 포맷 HDD는 디스크 라벨에 4K 혹은 ADVENCED 4K 라고 딱지가 붙어 있습니다..

저는 4K 지원 HDD는 2TB 초과되는 용량의 HDD에서만 지원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근데 실제 팔리는 고용량하드에서는 4K 도 있고 512도 지원하더군요.. 같은 페밀리 같은용량이지만 뒤의 세부 모델명은 달랐습니다..

윈도우즈 에서 하드 추가시 포맷할때 블럭사이즈인가 클러스터 사이즈를 바꿀수 있는데 4K 포맷이 이것을 말하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4K 포맷은 520 섹터를 512섹터로 바꾸는 방법을 응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요..

https://www.2cpu.co.kr/lec/3077?&sfl=wr_subject&stx=520&sop=and

문제는 고용랭 HDD의 섹터를 바꾸는데 시간이 굉장히 많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https://namu.wiki/w/%EC%96%B4%EB%93%9C%EB%B0%B4%EC%8A%A4%EB%93%9C%20%ED%8F%AC%EB%A7%B7

여기 재정렬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네요..

https://docs.microsoft.com/ko-kr/troubleshoot/windows-server/backup-and-storage/support-policy-4k-sector-hard-drives
     
dateno1 2022-07
변환은 되었는데, NVMe랑 둘 다 변환후 VMFS 생성 안 되서 원복했습니다

황당하게 장치는 잡히는데, VMFS 생성할 장치가 없는 (비호환 장치란 애기)걸로 취급하더군요

6대부터 된다는게 7에서 이러는걸 보면 8될떄까진 시도도 안 해볼작정입니다

결론은 잘 돌아가는걸 너무 욕심부리는게 아니란 진리에 가까운 결론에 도달해버렸네요


제목Page 16/130
2014-05   5258722   정은준1
2015-12   1783538   백메가
2016-01   11488   jhonlee
2016-02   6115   guest1
2016-04   7687   철이님
2017-12   9679   눈누난냐
2019-10   9888   딥러닝서버
2020-05   3796   브라더
2021-02   3947   타임투리브
2021-03   4521   jack33
2018-10   6828   Afvcf
2019-06   9140   김태근
2020-05   4209   행복하세
2020-12   4538   osthek83
2021-02   9554   닌칸춍
2022-11   14848   토이스토리
2023-01   13258   메탈릭
2014-01   13910   motu
2014-03   14547   황혼을향해
2015-08   7229   chotws
2019-10   8376   yzzeee
2020-03   4968   김현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