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8722 |
0 |
2014-05
5258722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3538 |
25 |
2015-12
1783538
1 백메가
|
2290 |
(Xen) xenserver 가상머신에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8) |
jhonlee |
2016-01 |
11488 |
0 |
2016-01
11488
1 jhonlee
|
2289 |
(VMWare) ESXi 서버 이전 방법 문의 드립니다 (5) |
guest1 |
2016-02 |
6115 |
0 |
2016-02
6115
1 guest1
|
2288 |
(VMWare) 스토리지를 따로 분리하는게 좋을까요? (19) |
철이님 |
2016-04 |
7687 |
0 |
2016-04
7687
1 철이님
|
2287 |
(Hyper-V) Hyper-V 내부용 네트워크 2개 구성하여 서로통신이 가능할… (2) |
눈누난냐 |
2017-12 |
9679 |
0 |
2017-12
9679
1 눈누난냐
|
2286 |
(etc) [VPS] 설치된 Virtual DISK 하드용량 증설 |
딥러닝서버 |
2019-10 |
9888 |
0 |
2019-10
9888
1 딥러닝서버
|
2285 |
(VMWare) 가상윈도우를 한번에 볼수 있는방법이 있나요?? (2) |
브라더 |
2020-05 |
3796 |
0 |
2020-05
3796
1 브라더
|
2284 |
(VMWare) vmware cpu 램 좀 봐주세요.. (8) |
타임투리브 |
2021-02 |
3947 |
0 |
2021-02
3947
1 타임투리브
|
2283 |
(VMWare) SD 카드에 ESXI 를 설치..질문 (3) |
jack33 |
2021-03 |
4521 |
0 |
2021-03
4521
1 jack33
|
2282 |
(VMWare) pf exception14 라는 퍼플스크린이 뜹니다. (5) |
Afvcf |
2018-10 |
6828 |
0 |
2018-10
6828
1 Afvcf
|
2281 |
(VMWare) esxi 헤드리스로 운영하기 위한 ddns 세팅방법 질문 (13) |
김태근 |
2019-06 |
9140 |
0 |
2019-06
9140
1 김태근
|
2280 |
(VMWare) 가상화에서 vt-d가 안되면 패쓰스루 못쓰는거죠? (2) |
행복하세 |
2020-05 |
4209 |
0 |
2020-05
4209
1 행복하세
|
2279 |
(VMWare) 무선 랜카드는 passthrough 안되나요? (2) |
osthek83 |
2020-12 |
4538 |
0 |
2020-12
4538
1 osthek83
|
2278 |
(VMWare) esxi 6.5 root 패스워드 분실 (5) |
닌칸춍 |
2021-02 |
9554 |
0 |
2021-02
9554
1 닌칸춍
|
2277 |
(VMWare) 기가바이트 서버 esxi 커스텀 이미지 (4) |
토이스토리 |
2022-11 |
14848 |
0 |
2022-11
14848
1 토이스토리
|
2276 |
(VMWare) 공유기 연결된 esxi 6.0에 외부에서 접속하려고 하는데 어… (4) |
메탈릭 |
2023-01 |
13258 |
0 |
2023-01
13258
1 메탈릭
|
2275 |
(VMWare) 부팅 에러날때 해결법을 알려주십시오. (3) |
motu |
2014-01 |
13910 |
0 |
2014-01
13910
1 motu
|
2274 |
(Hyper-V) 그냥 한 번 만들어본 Step by Step ~ 설치편 ~ (2) |
황혼을향해 |
2014-03 |
14547 |
0 |
2014-03
14547
1 황혼을향해
|
2273 |
(VMWare) vmotion 진행을 위한 방법 문의 (3) |
chotws |
2015-08 |
7229 |
0 |
2015-08
7229
1 chotws
|
2272 |
(VMWare) [질문] esxi 데이터스토어 용량 확장 방법 (1) |
yzzeee |
2019-10 |
8376 |
0 |
2019-10
8376
1 yzzeee
|
2271 |
(VMWare) 뭔가 뿌듯 합니다. (15) |
김현린 |
2020-03 |
4968 |
0 |
2020-03
4968
1 김현린
|
그냥 포기하고 HDD는 느린거라고 생각하고 참아야겠네요
성능 향상이 있을까해서 삽질해보는데, 결론은 범용적 방법 없어보이네요
disk가 4096 형식으로 포멧되어 있으면 esxi에서 자동으로 4k로 vmfs6 생성됩니다.
제조사 하드디스크 포멧툴을 사용해야하며 가장 쉬운 방법은 sata 컨트롤러 패스스루해서 윈도우에서 제조사 유틸로 포멧한다음 다시 패스스루 전환하는 방법입니다.
새 디스크 꽃은후 생성하니 저런식으로 4k 디스크를 512b로 포맷해서 생성해놨네요
참고로 오후에 디스크 백업및 호스트 1대 종료후 Windows로 부트시킨후 돌리고 변환후 망해서 다시 512로 되돌렸습니다 (황당하게 터미널로 붙어보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디스크가 GUI 목록에 올라오질 않고, VMFS 생성자체가 안 되네요)
분명히 6대 이상은 4k 지원이라고 되어있는데 이러니 당황스럽네요 (지금 백업해둔 데이터 다시 복사중입니다)
결론은 변환이 안 되는건 아니지만, 변환하면 VSpehere 호환이 안 됩니다 (Windows랑 Linux로 부트해보면 정상적으로 파티션 생성및 더미 파일 생성 성공)
이외에 NVMe중 1개도 저런 상태인넘 있어서 같이 변환했는데, Adaptors에는 뜨는데, Devices에는 안 뜨고, 동일하게 VMFS 생성도 안 됩니다
저는 4K 지원 HDD는 2TB 초과되는 용량의 HDD에서만 지원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입니다..
근데 실제 팔리는 고용량하드에서는 4K 도 있고 512도 지원하더군요.. 같은 페밀리 같은용량이지만 뒤의 세부 모델명은 달랐습니다..
윈도우즈 에서 하드 추가시 포맷할때 블럭사이즈인가 클러스터 사이즈를 바꿀수 있는데 4K 포맷이 이것을 말하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4K 포맷은 520 섹터를 512섹터로 바꾸는 방법을 응용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요..
https://www.2cpu.co.kr/lec/3077?&sfl=wr_subject&stx=520&sop=and
문제는 고용랭 HDD의 섹터를 바꾸는데 시간이 굉장히 많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https://namu.wiki/w/%EC%96%B4%EB%93%9C%EB%B0%B4%EC%8A%A4%EB%93%9C%20%ED%8F%AC%EB%A7%B7
여기 재정렬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네요..
https://docs.microsoft.com/ko-kr/troubleshoot/windows-server/backup-and-storage/support-policy-4k-sector-hard-drives
황당하게 장치는 잡히는데, VMFS 생성할 장치가 없는 (비호환 장치란 애기)걸로 취급하더군요
6대부터 된다는게 7에서 이러는걸 보면 8될떄까진 시도도 안 해볼작정입니다
결론은 잘 돌아가는걸 너무 욕심부리는게 아니란 진리에 가까운 결론에 도달해버렸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