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티브 헤놀 6.2.3만 쭉쓴 섭린이인데요...
네이티브만 쓰기엔 아까운 사양인것같아 좀더 자원을 활용해보려고 하는데요...
새롭게 시작할려고 기존쓰던 NAS자료들 싹다 날리고 새로 구축하려합니다.
포럼에있는 강좌보면서 어떻게 구축할지 고민하고있는데 모르는것도 아주많고 공부해야할것도 많은데...
어떻게 스타트를 끊어야 시스템을 잘 활용한다는 소리?를 들을까요...^^;;
처음에는 esxi시작하려고생각중이다 활용면은 proxmox가 낫다고 해서 이걸로 시작하려고 하구요...ZFS라는게 정확히 뭔진모르겠지만 esxi에선 이게 없다고...
사용 용도는 윈도우10 가상화 사용(Windows 365 클라우드 PC처럼?), 미디어 서버(트랜스코딩 되야하며 여기서 필요할지 모르겠지만 타오바오에서 시놀로지 정품시리얼를 구매해서 보유중입니다.), 그외 자료 보관입니다...
좋은 정보와 조언점 부탁드리옵니다...
일단은 윈도우와 헤놀부터 설치를 시작해보려합니다...
사양은 이렇씁니다.
인텔 코어i3-8세대 8100 (커피레이크) | |
외장그래픽 없음 델H310 | H310 레이드 카드 IT모드 적용 |
[ASRock] B365M Phantom Gaming 4 에즈윈 (인텔B365/M-ATX) 인텔(소켓1151v2) / 인텔 B365 / M-ATX (24.4x24.4cm) / 전원부: 8페이즈 / 메모리 DDR4 / 2666MHz (PC4-21300) / 4개 / 메모리 용량: 최대 64GB / XMP / 옵테인 / VGA 연결: PCIe3.0 x16 / PCIe버전: PCIe3.0 / PCIex16: 2개 / PCIex1: 1개 / CrossFire X / 저장장치 SATA3: 6개 / M.2: 2개 / SATA / PCIe / NVMe / 후면단자 D-SUB / DVI / HDMI / USB 3.0 / USB 2.0 / RJ-45 / S/PDIF / 오디오잭 / PS/2 / 랜/오디오 Intel I219V / 최대 기가비트 / RJ-45: 1개 / M.2 Key-E(모듈별매) / Realtek ALC1200 / 7.1채널(8ch) / 특징 UEFI / LED 라이트 / LED 헤더 / M.2 히트싱크 |
|
삼성전자 860 EVO 250GB * 1, WD Elements 14TB*1, WD Elements 8TB*2, HGST NAS용 하드 3TB*1, 4TB*1
적출안한 WD 10TB 두개 보유...
삼성 DDR4 8GB*4
ZFS 제성능 낼려면 케쉬 디스크랑 넉넉한 램 필요해서 나름 사항 요구하고, Synology 자체 SSD Cache성능도 그렇게 나쁘진 않습니다
어떤 가상화 솔루션을 써도 그정도 용도는 달성 가능할껀데, 일단 디스크를 어떻게 RAID 구성해서 어떻게 할당할지 구조부터 결정해보세요 (지금 디스크 용량 구성으론 RAID 좀 곤란하니 통일 좀 하시던지, 구성 안 하고 돌리셔야 할듯합니다)
그리고 모든 VM의 OS파티션은 SSD에 생성하는걸 추천합니다 (체감 성능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6.2.3이라면 이번에 새로 설치할떄 최신인 6.2.4나 7.1.1 가보세요 (아마 Jun일꺼라 생각되는데, 이번 기회에 Redpill계열로 가보세요)
윈10 돌릴꺼라면 시퓨가 좀 낮아보입니다 (가상화 오버헤드는 그닥 안 커도 8100자체가 현제 기준으로 높은 사항이 아닙니다) (돌리게 되는 모든 VM이 시퓨를 나누어서 쓴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해가 가실껍니다)
특히 내장 그래픽을 시놀쪽에 줘버리면 윈도는 시퓨 갈궈서 가상 그래픽으로 떄워야하는데, 영상 재생같은거 시키면 시퓨 꽤 먹어치웁니다 (까딱하면 4k정도 돌리면 끈키거나 7~80%쯤 먹어버릴지도 모릅니다)
x4쪽에 H310물리고 남아있는 x16쪽에 적당한 그래픽이라도 하나 물려서 윈도쪽에 패스해주세요 (가상 그래픽만 쓰면 영상 재생만이 아니라 브라우저를 포함해서 그래픽 가속 먹는 모든것들이 시퓨를 갈구기땜에 차이가 커요)
2. RAID구성하려다가 데이터살리기도 어렵고 해야해도 기존 데이터 날리고해야하는지라 이젯껏 단일로 셋팅해서 사용해왔었는데 하나로 싹 RAID0으로 묶으면 파일관리하긴 좋을꺼같긴한데 권장하는 방식있을까요???
3. OS는 모두 SSD에 모두 설치...알겠습니다. 헤놀은 아마 7.1.1로 갈듯하고...
제가 윈10은 하드하게 쓸생각은 아직없어서 문서작업이나 FHD영상정도로만 돌려도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4. 그렇다면 저렴한 외장그래픽이라면 LP형 그래픽카드 구해서 하면 될까요???
애초에 ZFS 제대로 구성하고프면 디스크 용량부터 좀 통일해서 어떻게 묶을지 궁리해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Cache SSD 추가)
2. 개인적으로 RAID0=자살행위라고 봅니다 (1개 죽는 순간 묶어둔거 다 날아갈껍니다)
14 + 8*2 + 3 + 4=37테라니 5개중 1개라도 죽는 순간 최악의 경우 데이터 37테라 날리시겠네요
3. 윈10 은근히 무거워서 HDD에 가상 디스크 올려서 돌려보면 부트나 프로그램 실행속도부터 거슬리고, 업데이트할때마다 짜증나서 하기 싫어질껍니다
시놀이랑 10 1개만 딸랑 올리신다면 괜찮지만, 32기가 제대로 다 써먹을려면 1~2개정도 더 올리실꺼같은데, 그럼 3~4개가 그걸 나누어서 쓰고, 가상 그래픽의 연산 부하도 그대로 시퓨가 감당합니다
4. 영상 디코딩해주고, 최저한도의 그래픽 가속만 처리해줘도 없는거랑 차이 크기땜에 겜 안 돌리실꺼면 싼거 사면 됩니다 (추천은 저전력 + 소형 + 적당한 성능의 쿼드로 하위 모델 (3~4만인 K620 추천) 중고)
조금 신형 가실꺼면 T600 장터에 19만짤 매물 있었으니 그런거 사세요 (P시리즈는 현 시점에서 저렴한 매물 없는한 1030 대비 가성비가 너무 나쁨)
그래픽작업을 거창할게 할게없어서 K620로 생각해봐야겠네요...
K620이나 1030정도 달면 간단한 겜 돌리거나, 일반적 용도로 쓰는데 지장 없을껍니다 (1030이 코덱 지원 더 낫긴한데, 중고가 좀 더 비쌈)
사양을 보니 그냥 네이티브로 헤놀만 깔고 시놀로지에 내장된 VMM 으로 윈도우 10 가상머신 1개만 돌릴만한 사양 입니다.
램이 좀 넉넉한 (그조차 요즘 OS 여러개 돌리기엔 넘 적음)거 빼면 다 미묘합니다
지금 직접 돌리는 호스트중 가장 낮은 사항이 코멧 6코어랑 커피 8코어인데, 둘 다 램 128기가 채웠고, 테라급 AIC SSD를 달았고, HDD는 백업용빼고 달지도 않았습니다 (가장 부족한 램 더 늘리고픈데 못 늘리는게 성능의 상한이 되고 있습니다)
물른 몇개 안 돌릴 호스트에 여기까지 하라고 하진 않겠지만, 참조는 해주세요
지금 컴에서 돌리는거라면 일단 3, 4 테라 뽑아버리시고, 10테라 예비 2개 달아서 14 / 8*2+10*2@5(=8*4=24) 이렇게라도 구성하시고, NVMe SSD (컨슈머용이라면 호환성 고려해서 WD/Sandisk 추천하고, 삼벯이랑 하이닉스는 절대 금지)라도 하나 단다음, 돌려보시고 답답하면 시퓨 업글이랑 10용 그래픽 추가해주세요
네이티브 헤놀로 쓰기에는 넘치는 사양인것같고 가상화OS로 돌리기엔 모자른가보네요...
VM를 많이 쓸것도 아니라서요... 지금 당장만 계획만해도 윈도우와 헤놀 두가지뿐이라서요...
만일 어떻게든 만족스럽게 구축을 원한다면
3TB, 4TB 분리, WD샌디스크 NVme SSD 추가, K620 카드 추가하면 어느정도 만족스럽게 쓸수잇는걸까요?
리소스 남는게 아쉽다면 Docker, VM같은걸 활용해서 좀 더 갈구면 됩니다
시놀이랑 윈10 딸랑 2개만 돌리실꺼라면 그정도만 해도 평범한 사무용으로 아주 원활하게 돌릴 수준의 성능 (스카이 레이크 이하에 직접 OS 설치하는거보다 빠를껍니다만 스카이가 5년도 넘은 구형이라 이넘을 기준으로 삼아도...)은 나옵니다 (그리고 SSD 500기가 + VGA 각각 사봤자 10만정도밖에 안 듭니다만, 제대로 다 구성할려면 돈 많이 깰껍니다)
디스크 재구성은 RAID5 구현시 현제 디스크 구성으론 답이 안 나오고, 1으로 돌릴경우 용량 효율이 나빠서 애기하는겁니다
어제 ESXI OS를 설치까진 하였는데 HDD구성을 어찌할지 아직도 고민중이네요...3TB 4TB HDD는 버리고 RAID뭘로 묶어야할지...
이거 아니면 8+8=8 + 10+10=10으로 각각 1 묶어서 합계 18테라를 만들거나, 데이터 다 날릴 각오하고 0으로 묶는정도밖에 선택지가 없어요
메인보드에 전부 연결할려해도 사타케이블이 4개뿐이고... 여분이 없어서 당장은 할순 없군요...
IT Mode로 하지말고 RAID로 바꾸신후 RAID를 구성해서 다시 진행해보세요 (다만 IT Mode 되는 카드들은 대체로 RAID 성능이 좀 나쁘니 감안해주세요)
https://www.2cpu.co.kr/data/froala/vm/220908/220908_vm_cc46858b227e744fd5f212212359b6004229ad7f.png
https://www.2cpu.co.kr/data/froala/vm/220908/220908_vm_e66dc77615ba108a233f3c43312ee827dbed53be.png
RAID는...USB부팅디스크만들어서 했던거같은데 원복은 어떻게 하는질 모르겠네요...
라고 구글링해보세요
씌운 펌을 다시 원본으로 씌우면 복구됩니다
패스쓰루로 윈도우10설치된 VM에 적용하니 인식은 합니다만 esxi에선 패스쓰루만 되고 데이터스토어에서 감지는 안되네요...
아니면 다른 컨트롤러 구하시거나, 다른 하이퍼바이저 고려해보셔야 할껍니다
추출하고 적용하는게 될지 모르겠네요...
이렇게하면 되는걸까요?
아...드라이버명도 잘 몰라서 다른 하이퍼바이저 찾는게 더 빠를거같기도 하네요...
예를 들어 국내에서 흔히 쓰이는 삼벯제 NVMe를 달 수 없고 (SATA는 무관), 최신 버전 기준으로 컨슈머 라인업 보드에서 젤 흔한 온보드인 꽃게 못 써요
시놀 내장 가상도 그래픽 가속이 안 되는거빼면 평범하게 쓰기엔 그럭저럭 괜찮긴해요
하드웨어 트랜스코딩 지원하는 Jellyfin 같은 무료 미디어 서버를 윈도우에서 운영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