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050 |
0 |
2014-05
5244050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9453 |
25 |
2015-12
1769453
1 백메가
|
2387 |
(VMWare) Window vCenter -> vCenter Server Appliance (1) |
토이스토리 |
2022-05 |
4236 |
0 |
2022-05
4236
1 토이스토리
|
2386 |
(VMWare) vSphere + RTX 3090 CUDA 테스트 (2) |
송주환 |
2021-02 |
4238 |
1 |
2021-02
4238
1 송주환
|
2385 |
(VMWare) 윈도우 하드 디스크 expand 메뉴가 나오질 않습니다. (4) |
osthek83 |
2021-01 |
4242 |
0 |
2021-01
4242
1 osthek83
|
2384 |
(VMWare) ssd 에 윈도우 깔아 쓸때 용량을 어떻게 잡아야 할까요 |
빵든붕어 |
2018-11 |
4260 |
0 |
2018-11
4260
1 빵든붕어
|
2383 |
(VMWare) vmware 6.70 에서 IBM m5015 레이드카드 인식 불가(?) 문… (6) |
메가날백 |
2021-02 |
4269 |
0 |
2021-02
4269
1 메가날백
|
2382 |
(VMWare) vmware esxi 7 라이센스 문의드릴게있는데요. (5) |
짱짱맨 |
2020-07 |
4272 |
0 |
2020-07
4272
1 짱짱맨
|
2381 |
(Virtualbox) 오늘은 28년된 OS를 마지막으로 올려 봅니다. (8) |
지존 |
2021-08 |
4272 |
0 |
2021-08
4272
1 지존
|
2380 |
(VMWare) esxi 6.7에 헤놀.. 잘 쓰고있는데요. 외부접속시 로그인속… (3) |
지존컴퓨터 |
2020-11 |
4273 |
0 |
2020-11
4273
1 지존컴퓨터
|
2379 |
(VMWare) [참고] VMware Fusion과 Workstation, 상업적 사용자도 무… (4) |
송진홍 |
2024-12 |
4288 |
0 |
2024-12
4288
1 송진홍
|
2378 |
(VMWare) pci usb 3.0 카드 패스스루 설정했는데 계속 재부팅 필요… (2) |
강한구 |
2020-03 |
4290 |
0 |
2020-03
4290
1 강한구
|
2377 |
(VMWare) ESXI 에 헤놀6.1 입니다 특정 아이피에서 웹 클라이언트 … |
전진 |
2018-10 |
4291 |
0 |
2018-10
4291
1 전진
|
2376 |
(VMWare) esxi6.5 구성후 해놀로지 설치시 vmware tool 설치해야되… |
행복하세 |
2017-03 |
4303 |
0 |
2017-03
4303
1 행복하세
|
2375 |
(VMWare) vm으로 Oracle rac 설치 중 public, private, virtual, S… (2) |
Sgtsteam |
2021-02 |
4305 |
0 |
2021-02
4305
1 Sgtsteam
|
2374 |
(VMWare) esxi를 USB에 설치했습니다. 이 usb 자체를 백업할 수는 … (3) |
강한구 |
2020-03 |
4307 |
0 |
2020-03
4307
1 강한구
|
2373 |
(VMWare) vm웨어 usb연결시 이름이 똑같아서 헷갈려요.. (3) |
웅빠빠 |
2021-11 |
4307 |
0 |
2021-11
4307
1 웅빠빠
|
2372 |
(VMWare) 간신히 접속했습니다 감사합니다 (3) |
전진 |
2018-10 |
4320 |
0 |
2018-10
4320
1 전진
|
2371 |
(VMWare) 2cpu 회원님들의 도움덕에 많은 발전에 감사드리며..좀더 … (1) |
파이트복서 |
2020-05 |
4320 |
0 |
2020-05
4320
1 파이트복서
|
2370 |
(VMWare) ESXi PSOD가 자주 뜹니다... (7) |
B4TT3RY |
2022-01 |
4323 |
0 |
2022-01
4323
1 B4TT3RY
|
2369 |
(VMWare) ESXi 웹에서 붙여넣기 기능 추가해주는 확장프로그램 (3) |
Ansyncic |
2020-01 |
4333 |
1 |
2020-01
4333
1 Ansyncic
|
2368 |
(Xen) AMD FirePro S7150 x2 사용 문의 (2) |
왕봉구 |
2022-02 |
4337 |
0 |
2022-02
4337
1 왕봉구
|
윈도우에서는 에러메시지가 22갠가 24개부터 뜹니다.
11버전에서 51개까지 만들어진건 잘 모르겠네요. 구버전은 구현이 다른걸수도...
게스트 많이 띄우실거면 호스트os를 무조건 리눅스 쓰셔야 합니다.
VM게스트 구동시 윈도우 내부 함수중에 MsgWaitForMultipleObjects 함수를 사용하는데 이 함수가 윈도우 핸들 대기를 63개까지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VM게스트 1개 구동시 최소 2개의 핸들을 사용하고 오버헤드나 기타 다른 요인으로 핸들이 소진되는걸 합치면 많이 사용해야 25개 정도 수준입니다.
베스트 케이스에서 31개까지 구동이 가능한거죠. 기타 다른 작업이 핸들을 사용하면 개수가 줄어들고,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최대 사용량은 27개 정도...
저런 API적 제약도 있고, 보안 기능을 켜면 성능이 저하되거나 여러모로 애를 먹입니다
대부분의 유포판에 XFCE정도 올리고 램 사용량 보면 3~400메가정도입니다 (윈도 64비트판에서 소프트 호환성 문제 각오하고, 관리랑 설치 귀찮아질 각오까지 해서 딸랑 프롬포트만 한게 뜨는 서버 컨테이너용 버전 돌려도 이거보다 많이 먹습니다) )
거기다 램 사용량만이 문제가 아니라 시퓨 사용량 같은것도 차이가 나고, 나중에 그래픽같은거 패스할려고할때도 (이건 WorkStation쓰면 인연 없겠지만) 덜 피로합니다
이외에 리눅을 대상으로 노리는 악성 소프트보단 윈도를 노리는게 횔씬 많고, 걸릴 확율도 높기땜에 보안이란 측면도 있습니다 (호스트가 걸리면 하위 게스트는 전멸 코스입니다)
본문에서 애기하는 저런 VM 개수 상한 아니라도 API적 측면에서 제약이 커서 다른 서버(하다못해 nginx같은거 받아서 간단한 웹서버 하나만 돌려도) 돌릴때도 윈도용 바이너리 쓰면 기능이 안 되거나, 성능이 떨어지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보니 기본적으로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외에 혹시 서버 버전을 설치할일이 생기면 코어 개수가 일정 숫자 넘어가는 순간 라이센스가 더 필요해지거나해서 비용적으로 꽤 들어가기도 합니다)
똑같은걸 윈도로 서버 돌렸을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안 떠오르네요
그럼 뭐가좋은가요?
구동자첸 GUI 안 올려도 당연히 가능하겠지만, 어차피 저런거 돌리는 서버에는 수십~수백G 많으면 T단위 램이랑 수~수백T의 디스크가 붙어있을껀데, 굳이 수백M의 용량과 램을 아끼기 위해서 관리를 귀찮게 할 필요는 없다는 의미입니다 (서버에 GUI라니!라면서 반론하실분도 계시겠지만, 제 기준으론 현제 수준의 스팩에서 CUI 고집할 필요성은 없다고 봅니다)
KVM을 쓰실꺼면 Proxmox로 가시는걸 추천합니다 (아니면 똑같이 하이퍼 바이저인 ESXi도 있습니다)
제가 하이퍼바이저 = KVM 을 당연시해서 이해가 어려웠던것 같네요.
결국 Docker 컨테이너용같은거 아닌 이상 CUI Only는 멸종해가는것같아요 (아니면 Embedded에서나 볼 수 있음)
거의 터미널밖에 안 써도 터미널 여러개 띄우거나, 웹 브라우저로 소스 받거나, GUI 문서 편집기 쓰거나 할려고 서버에 GUI 올리게 되더군요
원천적으로 안되는 거였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