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Hyper-V가 VMware Workstation에 비해 어떠한 장단점이 있을까요?

5620SAM   
   조회 11136   추천 0    

VM을 돌리는 홈서버를 구축해볼 예정입니다. VM은 우선 윈도우 1개,  헤놀로지나 NAS OS 1개정도 생각중입니다.

처음에는 TYPE 1 하이퍼바이저인 ESXi를 생각하다가 여러 이유로 인해 윈도우 위에 TYPE 2 하이퍼바이저를 올리는 방향 혹은 Hyper-V를 이용하는 방향으로 생각중입니다.

Hyper-V가 TYPE 1 하이퍼바이저라서 다른 TYPE 2 하이퍼바이저에 비해 성능이 더 잘 나온다고 해서 약간 고민중인데, Hyper-V가 VMware Workstation이랑 비교했을때 어떠한 장단점이 있을까요?

A
dateno1 2023-12
개인적으론 공짜인것뺴고 나은것 없다고 봅니다 (피로하기만 함)
     
CW33300 2023-12
그렇다면 그냥 VMware를 쓰는쪽이 관리하기가 더 편할까요?
          
dateno1 2023-12
몇대의 호스트로 연동해서 돌리거나, vGPU관련 쓰거나 기타 사유가 있다면 당연히 Hyper-V 써야 합니다

그냥 단순히 가상 몇개 돌릴꺼라면 VMWare 쓰세요
     
제온프로 2024-01
VSwitch 설정이라는 것이 있어
이게 좀 좋은 것 같고
나머지는 VMware 가 더 좋은 것 같습니다.
          
dateno1 2024-01
가상 스위치 기능이라면 WorkStation도 있습니다

기본으로 2개던가 잡히는데, 더 늘릴 수 있습니다

물른 세세한 설정은 못하는데, 그냥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능용으로 쓰는데는 지장 없습니다
정의석 2023-12
복잡한 기능 사용할거 아니면 VM Player도 괜찮지 않을까 싶습니다.
양시열 2023-12
개인적으로 경험이 VMware가 Hyper-V보다 많아서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사용자OS가 무조건 윈도우인 경우에 서버 OS가 Windows Server가 아니라면 저는 VMware Workstation한표입니다.
관리편의성이랑 사용자 접근성이 너무 편했습니다.

윈도우 클린 설치 후 복제한다음. 각각 세팅 후 백업하고 Share기능 사용해보시면 접근성 동시접속 전부 끝내줍니다.

참고로 가상머신 host os가 윈도우일 필요가 없으시면 proxmox도 추천드립니다. (가상머신으로 만들 os가 아니라 가상머신을 돌리는 서버 os가 윈도우일 필요가 없는경우)
무료이기도하고 가상머신만들때 디스플레이 옵션이였나 한개를 spice로해서 만드시고 계정 여러개 만들고서 실사용자한테 웹주소 전달해가지고 접속법이랑 spice로 여는법 설명하면 끝입니다.
접속자 입장에서 VMware보다 설치되는 프로그램이 더 가볍다?고 볼수있습니다.

돈없다 컴터 한대인데 윈도우 Pro이상이다 Hyper-V도 ok
돈없다 컴터 한대인데 윈도우 Home이다 VMware Player
돈있다 컴터 한대인데 편리성을 느껴보고싶다 VMware workstation
돈없는데 컴터 두대고 서버로 한대를 쓸수있다면 개인적으로 proxmox 그 다음은 esxi 순으로 개인적 추천
컴터는 두대고 둘다 윈도우에 접근편하고 싶다면 VMware workstation
을 추천합니다
     
SOGm 2023-12
+1 proxmox는 자체 컨테이너 기능도 지원하여서 고성능이 필요치 않은 가상머신 굴리기에도 좋습니다, 물론 상업적 이용은 유료 라이센스 쓰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dateno1 2024-01
본문에 애초에 타입1 안 갈려고 저런다고 하시는것 보면 proxmox는 선택지가 아닌것같습니다
          
양시열 2024-01
다시 읽어보니 타입1 전체가 아닌 esxi만 제외하신거같은데
제외한 사유가 안써져있어서 다루는 편의성인지 esxi 무료버전 성능제한인지 모르겠네요;;;
               
dateno1 2024-01
ESXi 무료 버전 스팩 상한 있지만, 아직까지 제온/에픽이라도 안 쓰는한 그걸 넘길 수 없습니다

아마 서버 전용컴을 따로 두기 힘든 상황이라 생각됩니다
               
CW33300 2024-01
본문에 자세한 이유를 적지 않아서 본의아니게 혼동을 드렸네요;;;
우선 Hyper-V나 VMware Workstation을 고려한 이유는 원격 제어시에 호스트가 Windows인것이 관리하는데 더 편하게 느껴져서 그렇습니다. ESXi는 만약 서버로 쓸 PC에 2번쨰 NIC를 넣으려면 리얼텍 칩셋말고는 딱히 다른 대안이 없어서(PCI-E 방식의 랜카드가 아닙니다.)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기에 일단 제외했었습니다.

서버로 사용할 PC는 본 컴과는 별도로 있어서 호스트가 “반드시” Windows일 필요는 없기에 Type 1 하이퍼바이저도 고려 중입니다.
네온7 2024-01
개인용이고 전용 H/W 가 있으면 vmware esxi 8 강추

기업용이고 전용 H/W 가 있다.
- 비용 0월: 리눅스도 알고 있고, IT 기술력도 나름 있다. --> KVM, PROMOX  사용하면 됩니다.
- 그냥 가성비를 따진다: Windows server에 탑제된 Hyper-V 를 사용하면 윈도우 서버 패키지만 구입하면 됩니다.
윈도우서버를 운영많이 한다면 data center 에디션 사용하면 비용에 유리 합니다.
- 그냥 쉽고 성능 좋은거: vmware esxi를 사용합니다. 단점이라면 브로드컴에서 인수하여 매년 구독료를 지불해야 합니다.  기존에 해자였던, 에센셜, 에센셜 플러스 패키지가 없어졌습니다.


제목Page 1/17
01-18   3472   c63s
01-04   5039   냐미냐미
2024-07   7492   Gpusp
2024-05   10207   하입브이
2024-05   4637   하입브이
2024-05   6286   우우씨씨씨
2024-04   4636   씨디공장
2024-03   4961   율은커
2024-02   5178   이하늘
2024-01   5302   뚠뚠어니
2023-12   11137   5620SAM
2023-12   4359   풀글래머
2023-10   24223   슈퍼유망주
2023-10   24829   블루린가
2023-10   8784   dadami
2023-08   11823   서버같은인생
2023-08   9586   서버같은인생
2023-08   11512   Zerr
2023-07   24248   아하부장
2023-05   22952   개발자는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