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네트워크쪽 질문드립니다.

짱짱맨   
   조회 12160   추천 2    

메뉴얼을 봐도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목적: nic 1port 가 100M 이며 이것을 합처서 200M으로 만드려고하니다.

그럼 이제 티밍 구성시에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스위치에서는 2개의 포트에 대해서 LACP로 채널링 할 것입니다.

리눅스나 윈도우였으면 라운드로빈방식으로 본딩 했을텐데 VMWARE EXI에서는 어떻게 하는게 맞는것 인지요

사진 첨부드립니다.

남상현 2014-12
무엇을 어떻게 하시더라도 1개의 VM에 대해서 대역폭을 200M으로 만드는건 불가능합니다.
ESXi에서 제공하는 로드밸런싱 기능은 옵션에 따라 말 그대로 "로드밸런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한 일례로 지금 선택하신 옵션은 가상머신이 켜지는 순서대로 활성화된 어댑터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나머지 옵션도 마찬가지로 IP hash 혹은 MAC hash 등으로 결국엔 로드밸런싱 기능만을 제공합니다.
차라리 어댑터를 각각 1개의 스위치로 만드신 후 Guest OS상에서 본딩 혹은 티밍 등을 하시는게 목적에 더 맞다고 봅니다.
     
류덕규1 2015-01
제가 생각했던 의도를 잘못 이해 하신거 같아요

vmnic1,2는 서버에 있는 실레 리얼 닉이이고 이것을 티밍로드벨런싱으로 해서 200m의 대역을 쓰려고합니다
즉 vSwitch1은 200매가 의 스위치를 만들려고하는 것이고 vm에서 보면 200m의 닉이 만들어 질거에요

윈도우나 리눅스에서는 라운드로빈으로하면되는데 vmware에서는 라운드로빈이 어떻게 설정하느냐를 여쭈어본거 거든요 제가 vmware 초보라서요 ...
ITES 2015-01
남상현 님 답변이 맞습니다.
vSwitch에서 제공해주는 로드 밸런싱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는 조금 다릅니다.
vSwitch 입장에서의 로드밸런싱은 ESXi 서버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에 대해서만 관여합니다.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해서 대역폭을 늘리려면 외부의 물리적인 스위치(시스코의 이더채널 등)의 도움을 받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받는 트래픽은 절대 로드밸런싱이 되지 않습니다.
(PC에 듀얼랜카드 장착 후 팀 구성한 후 케이블을 일반 허브에 연결하는것과 같은것이죠. PC에서 팀 구성을 했다 하더라도 LACP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1개의 대역폭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라우팅 기반, 해시 기반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NIC 2개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분산해주는 것이죠.
어찌보면 200Mbps 대역폭을 쓰는것 같지만 엄밀히 따지면 100Mbps로 봐야합니다.

만약 LACP를 지원하는 관리형 L2 스위치를 구입하셔서 사용하시면 말씀하신대로 200Mbps의 대역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vSwitch 만으로는 할 수 없습니다.
Inbusiness 2015-01
LACP를 사용하실려면 ESXi 단독으로는 불가능하고 dvSwitch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vSphere Client에서는 구성이 불가능하며 vSphere Web Client에서만 구성이 가능합니다.
(물론 구동되는 스위치도 LACP를 지원해야 합니다)
새로 추가된 기능은 모두 vSphere Web Client에서만 가능하며 올해 출시될 vSphere 6.0에서는
vSphere Web Client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제목Page 112/130
2015-12   1789201   백메가
2014-05   5264257   정은준1
2016-07   8102   찰리찰
2015-11   5429   너의남자
2016-01   8067   보라솔이
2015-03   6711   EdH
2016-07   16115   exflyout
2017-06   5269   볼프
2017-10   7575   일리케
2022-01   4140   드리데이
2016-01   6154   회원K
2016-10   23987   perls
2014-07   15298   에라뇽
2015-07   7801   전설속의미…
2016-01   7292   신우섭
2022-06   17432   소푸
2015-05   9651   왕봉구
2017-05   8081   스린
2018-08   10693   송주환
2014-12   15518   서울사람
2023-05   19619   흐으음
2016-12   17432   왕머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