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윈도우서버2008 R2 + vmware 10.0 ( centos 5.3 32bit )에서의 설정조합의 최적값은?

   조회 12895   추천 0    

안녕하세요, 열심히 눈팅하며, 또한 중고 장터와 공구를 들락날락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하려는 셋팅값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기본동접자는 100-180명 정도 예상합니다. 그렇게 많은사람이 접속할거라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 최악의 경우 100명정도 )


[윈도우서버 2008 R2 64bit 안에 vmware를 이용하여, centos 5.3~4 32bit 를 운영할 생각입니다.)

윈도우서버에서 A P M 을 설치하여, 웹페이지와, 게임서버 1 ( A게임 )

리눅스 32bit 서버에서 게임서버 2 ( B게임 ) # 게임종류가 서로 틀립니다.


이때, 서버보드는, 티밍으로 묶고 싶습니다. (T20에 2포트 기가랜카드를 장착할예정은 있습니다.) 

집에서 운영할 예정이기때문에, 100m광랜을 이용할 예정이며, WAN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거나, 공유기에 물려서, 2ran을 연결해주고 싶습니다.

IPMI가 지원되는 보드를 살지는 아직 미정이라...(T20 공구 구매예정)

(사실 공구 T20 1ran 이기때문에 그냥 바로 물려도 관계없지 않을까...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질문 1 .

윈도우 서버에서 wan랜을 받아, 공인IP를 받아오게 됩니다.

포트는 틀리지만 A서버와 B서버는 같은 아이피를 이용하게 될텐데요, 예전에 셋팅했을때는, vmware에서 포트포워딩을

잡아주어도, 외부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있더라고요.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지만요.


질문 2 .

게임서버 1, 2 전부 아주 예전의 소스로 작성된거라, X86 기반입니다.

저에게는 X64로 컨버팅할 재주가 없기에, 리눅스서버는 무조건 써야하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웹이나, (개인적인 스트리밍 서버+FTP서버) 를 관리하기는 윈도우가 편한것 같기때문에,

윈도우 서버에 APM을 올려서 VM웨어 안의 2번 게임서버의 db를 윈도우서버에 넣고 불러와서 쓰고싶습니다.

사실, 질문 1의 부분에서 문제가 되서 조금 꺼림찍한 경우입니다.


질문 3.

대체적으로 저정도 사양이라면, T20으로 충분할것같은데, 다들 가상화서버를 이용할때는, 서버의 램이 중요하다고 하셔서

ECC8G X 2 16G로 운영한다면 충분할까 걱정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의 사양으로써는 충분할까 질문이 있습니다.

vm웨어 설치할때 CPU설정하는부분이 있는데 T20공구품은 4C/4T 제품입니다.

4 /4 다 줘도 문제가 안생길까요? 아니면 절반의 2/2 로 줘야할까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리


질문1. 공인IP를 윈도우서버에서 먼저 받고, vm웨어 안의 리눅스에서도 이용하는 방법

질문2. 윈도우서버의 APM을 리눅스에서 연동할때의 문제점?!

질문3. vm웨어 설치시의 CPU셋팅방법과 하드웨어의 적절성?


감사합니다 !



아아아
류덕규1 2015-01
질문 1 .
공유기 써버 포트 포워딩 하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제일 쉽구요



질문 2 .

가상머신으로 하는건 어떨까요?
서비스 접근시에는 공인아이피로 접근하게하고 내부 끼리 연결할댄 내부lan으로 연결시키면 좋을거라 봅니다.


질문 3.

메모리는 좀 낮아 보이기는 합니다만 나중에 증설해도 될거같습니다
cpu는 대부분의 서버가상화 기준으로 봣을대 cpu 사용률이 높아봐야 30% 미만입니다.
물론 회원님께서 얼마나 사향을 먹는 게임서버인지는 모르겠지만요? 일단 해보세용





정리..
전 지금 구성을 전용 가상화 소프트웨어인
xenserver 을 써서 게임서버1 vm 게임서버vm2,ftp겸web 서버 3개의 가상머신으로 이용하는게 좋아보입니다.

젠써버는 꽁짜이며. 단순하고 편하게 쓸수있습니다.
     
스모모군 2015-02
지금 현재 셋팅해서 사용하던게 2가지 버젼이 있어요.

1. win7 + 버츄얼박스 (centos)
2. win 8.1 + vmware (centos)

1번의 문제점은 시간이 오래되면, 자동으로 느려진다는것과, 가장 큰 문제점은 버츄얼박스에 연결된
네트워크가 일정시간이 되면 떨어졌다가 다시 붙어요... 진짜 이것때문에 다 튕기고 들어오면 다튕기고가 반복되서
실패.
2번의 문제점은 8.1의 쓰기 애매모호한...느낌과 vmware를 사용하다보면 너무 느려져서 뭐라고 할까요..
그냥 막...내부 -> 내부 3306 mysql 접속하는것도 40초 이상 걸린다는것....

지금 포멧하려고 준비중인데 가장큰 문제는 ...윈도우와 리눅스를 같이써야하는데
어떤방법이 가장 좋은지 잘 모르겠어요 ....

윈도우에선 80포트 3306 포트 를 사용하고 리눅스에선 89포트 3316 포트를 사용할 예정이거든요 .
이미 공유기에서 메인선으로 twinip로 받아오기때문에 기본 랜카드가 메인ip로 읽는데 ,
내부 포워딩이 이상하게....;;; 안되네요
버츄얼박스는 포워딩이 잘되는데 네트워트가 자꾸 떨어졌다 붙었다를 반복하고
vmware는 포워딩을 하는데 연결시간이 너무 길고.....

지금 진퇴양난입니다.


제목Page 111/130
2014-05   5252553   정은준1
2015-12   1777540   백메가
2022-12   13434   울트라파이퍼
2023-06   13459   osthek83
2019-07   13465   작은악마
2015-04   13475   메로니
2022-07   13501   범이님
2023-01   13516   뚜비는뚠뚠
2014-05   13549   김상일
2023-05   13550   호야리1
2022-12   13577   구구콘조아용
2015-05   13586   환타
2019-06   13611   Booraltak
2014-06   13638   FOXBI
2023-10   13639   메탈릭
2020-01   13639   하늘하늘
2016-11   13666   구명서
2017-03   13671   네이스터
2014-12   13708   프로키온
2013-06   13714   회원K
2013-06   13721   회원K
2016-01   13740   권오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