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OS에 포함된 Hyper-V와 Hyper-V Core 와 성능차이가 많이 나나요?

캐릭터   
   조회 20698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윈도우 8.1에 있는 하이퍼브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게스트OS를 여러개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GUEST OS에서 가상메모리를 사용하게 되어 Paging이 될때

엄청나게 버벅거리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구글에서 찾아보고 paging파일을 물리적으로 다른 disk에 세팅도 해봤는데요.

(호스트의 c드라이브에 게스트os vhd 위치, 호스트의 d드라이브에 페이징용 vhd파일 위치)

별반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아래글을 읽다보니 host os에 있는 hyper-v는 80% 이상 손해를 본다고 말씀하신 글을 보았습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vm&wr_id=2126  <- 첫번째 댓글)


원래 성능의 80% 밖에 못쓴다는 뜻으로 쓰신건지....

아니면 글 그대로 원래 성능의 20% 정도밖에 안된다는 뜻으로 쓰신건지 모르겠습니다.

아무리 os에 올라와있다고 해도 80% 이상을 손해볼수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그래서, hyper-v r2 버젼을 다운받아 설치를 했는데...

온보드 리얼텍 랜카드를 인식 못합니다. ㅠㅠ

드라이버 이것저것 깔아봐도 안되네요.


1. OS에 달려있는 hyper-v 와 hyper-v r2 의 성능차이가 정말 많이 나나요?

2. hyper-v r2 설치시 바로 인식하는 랜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박병국 2015-02
성능의 차이가 많다고 보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R2라고 하면 2012와 2012 R2를 말씀하시는건지요?
Hyper-V 2012 와 2012 R2의 차이라고 해봐야 엄청나게 큰 차이는 없습니다. 개인적인 용도로 쓰시는데는
큰 차이 없습니다.
다만 SystemCenter와 연동해서 쓰신다면 기능상으로 몇가지 개선되거나 추가된 것들은 있습니다.

OS에서는 인식되는 NIC가 Hyper-V 상에서는 안보인다는 뜻인가요? OS에서 보인다면 Hyper-V에서 혹시
가상스위치 부분 설정을 다시 확인해보세요
아니면 Windows 8.1 쓰신다고 그러셨죠? 거기에도 티밍 기능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OS에서 1개의 NIC만 가지고
티밍을 잡아보세요 그상태에서 Hyper-V로 한번 제대로 보이는지 해보세요...

그리고 Guest OS의 위치는 Host OS의 시스템파티션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별도의 디스크 아니면 최소한 파티션이라도 나눠서 구성하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김윤술 2015-02
호스트에서 뭐 돌리지 않으면 그냥 같습니다. 똑같은 커널버젼이면 똑같은거죠.
리얼텍 제품이 안잡힐리 없습니다. 제가 온보드 리얼텍으로 잘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목Page 110/130
2015-12   1780265   백메가
2014-05   5255346   정은준1
2015-02   15936   빠시온
2013-12   82740   빠시온
2015-08   14030   빠시온
2015-11   6481   전설속의미…
2014-02   9510   니포
2015-02   44579   찌루
2013-06   9730   박민혁A
2014-07   12579   마녀
2015-11   6721   회원K
2014-12   8762   머고
2016-07   15610   민섭79
2014-07   11582   Smile
2015-11   5352   철이님
2024-12   3084   냐미냐미
2013-06   9813   회원K
2016-01   10432   보라솔이
2013-06   12665   크루호스트
2013-08   39340   회원K
2015-07   12246   Park영권
2013-08   50991   es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