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636 |
25 |
2015-12
176863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343 |
0 |
2014-05
5243343
1 정은준1
|
47 |
(Hyper-V) 마지막 4탄.. 난 프로그램 없는데...흑흑 (4) |
김황중 |
2013-07 |
15172 |
1 |
2013-07
15172
1 김황중
|
46 |
(Hyper-V) 3탄..센트오에스 리눅스 올리면서 생겼던 난관..쩝 (2) |
김황중 |
2013-07 |
14379 |
1 |
2013-07
14379
1 김황중
|
45 |
(Hyper-V) 2탄 vm에 대한 원격 접속은? (1) |
김황중 |
2013-07 |
15753 |
1 |
2013-07
15753
1 김황중
|
44 |
(Hyper-V) 윈도 가상화 결코 어렵지 않아요...몇일동안 삽질한후 느… (2) |
김황중 |
2013-07 |
18267 |
1 |
2013-07
18267
1 김황중
|
43 |
(VMWare) 일단 T620에 USB로 esxi 설치 (3) |
박성만 |
2013-06 |
9286 |
1 |
2013-06
9286
1 박성만
|
42 |
(VMWare) ESXi 5 사진한장 올림. (5) |
황진우 |
2013-06 |
10214 |
1 |
2013-06
10214
1 황진우
|
41 |
(VMWare) HP ML 110 G7 설치오류 (5) |
회원K |
2013-06 |
9990 |
1 |
2013-06
9990
1 회원K
|
40 |
(VMWare) HP 서버를 위한 vmware 다운로드 링크 (2) |
회원K |
2013-06 |
9459 |
1 |
2013-06
9459
1 회원K
|
39 |
(VMWare) ESXI 가상화 XPenology, 2008R2 설치 (14) |
SkyBase |
2013-06 |
28457 |
12 |
2013-06
28457
1 SkyBase
|
38 |
(etc) VIRTUALIZATION PERFORMANCE: VMWARE VSPHERE 5 VS. MICRO… (5) |
회원K |
2013-06 |
13712 |
1 |
2013-06
13712
1 회원K
|
37 |
(etc) VMware와 KVM의 성능차이 (2) |
회원K |
2013-06 |
25597 |
3 |
2013-06
25597
1 회원K
|
36 |
(VMWare) 유튜브 교육정보 (7) |
회원K |
2013-06 |
12472 |
9 |
2013-06
12472
1 회원K
|
35 |
(VMWare) Vmware ESxi 5 hung on loading with message “cnic_Regis… (21) |
회원K |
2013-06 |
14101 |
1 |
2013-06
14101
1 회원K
|
34 |
(VMWare) 후지쯔 ESXi 5.1로 HP에 설치를 했더니 잘 됩니다 (14) |
회원K |
2013-06 |
13838 |
1 |
2013-06
13838
1 회원K
|
33 |
(VMWare) vCenter 어플라이언스 설치 (5) |
유리같은사랑 |
2013-06 |
11118 |
1 |
2013-06
11118
1 유리같은사랑
|
32 |
(etc) i5 760 CPU 가상화 반쪽만 지원하네요 (6) |
회원K |
2013-06 |
19676 |
0 |
2013-06
19676
1 회원K
|
31 |
(Hyper-V) 윈도우8에서 Hyper-v 관리자 active 하기 (2) |
회원K |
2013-06 |
19142 |
0 |
2013-06
19142
1 회원K
|
30 |
(Hyper-V) Hyper-V 2012 R2 (1) |
김윤술 |
2013-06 |
17454 |
0 |
2013-06
17454
1 김윤술
|
29 |
(Hyper-V) hyper-v 2012 server 설치 (6) |
회원K |
2013-06 |
20631 |
0 |
2013-06
20631
1 회원K
|
28 |
(Hyper-V) Hyper-V와 가상화 세미나 (4) |
회원K |
2013-06 |
19453 |
1 |
2013-06
19453
1 회원K
|
원격접속 포트를 vnc야 찾기 힘들겠지만
윈도 rdp의 경우 3389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겠죠?
이럴경우 해킹 프로그램은 비번 뚤고 들올수 있습니다.
서핑해 보시면 간단하게
원하는 포트로 레지스트리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것이
윈도 서버의 24시간 구동의 기본이므로 참고들하세요.
윈 서버 보안로그 확인해보면
Administrator 에 패스 생성기로 3.4시간씩 계속 접속해 벌려고 용쓰는 외국인들 많이 보입니다.
또한 이렇게 해서 뚤릴경우 들온 이후는 합법이 되기 때문에 로그에도 남지 않습니다.
윈서버 원격접속 포트 변경. 기본적인 administrator 아이디의 사용은 가급적 자재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