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2탄 vm에 대한 원격 접속은?

   조회 15752   추천 1    

뭐 가상화 설치 해 보신분이면 다 아시겠지만
설치전 궁금하신 분이 계실까봐 적어봅니다.

가상화.. 말말 가상화지 이vm들도 실제로는 물리서버와 동일합니다.

전체 관리는 하이퍼브이 관리자로 하지만
개별 vm서버들의 경우는
일빈 물리서버 붙듯이
Rdp. Vnc. Ssh등 맞는걸로 붙으면 되더군요.

다들 아시겠지만 설치전 궁금하신 분들이 계실까봐 적어봅니다.

근데 예전글을 보니
Vpn을 설치해야 한다는둥
이런 말들이 있던데 이게 왜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Vpn샬정 할줄몰라 하이퍼브이를 포기하신분이 계실까가
이 글을 적게된 이유입니다.

참고로..... 저도 vpn은 지금까지 사용해본적도
셋팅해본적도 없다보니 그때 이야기가 생각나서 이굴을 적게 되었네요...흑흑
- by inoree.com -
노리 2013-07
아 글고보니.....
원격접속 포트를 vnc야 찾기 힘들겠지만
윈도 rdp의 경우 3389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겠죠?

이럴경우 해킹 프로그램은 비번 뚤고 들올수 있습니다.

서핑해 보시면 간단하게
원하는 포트로 레지스트리로 변경해서 사용하는것이
윈도 서버의 24시간 구동의 기본이므로 참고들하세요.

윈 서버 보안로그 확인해보면
Administrator 에 패스 생성기로 3.4시간씩 계속 접속해 벌려고 용쓰는 외국인들 많이 보입니다.
또한 이렇게 해서 뚤릴경우 들온 이후는 합법이 되기 때문에 로그에도 남지 않습니다.

윈서버 원격접속 포트 변경. 기본적인 administrator 아이디의 사용은 가급적 자재해 주세요...^^


제목Page 128/130
2015-12   1768636   백메가
2014-05   5243343   정은준1
2013-07   15172   김황중
2013-07   14379   김황중
2013-07   15753   김황중
2013-07   18267   김황중
2013-06   9286   박성만
2013-06   10214   황진우
2013-06   9990   회원K
2013-06   9459   회원K
2013-06   28457   SkyBase
2013-06   13712   회원K
2013-06   25597   회원K
2013-06   12472   회원K
2013-06   14101   회원K
2013-06   13838   회원K
2013-06   11118   유리같은사랑
2013-06   19676   회원K
2013-06   19142   회원K
2013-06   17454   김윤술
2013-06   20631   회원K
2013-06   19453   회원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