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V] 네부 네트워크 구축 질문 드려요..

isaiah   
   조회 6705   추천 0    

 

 이번에 smb 멀티채널을 써 보고 싶어서 windows로 갈아 타게 되었는데요

 windows용 afp 서버 어플리캐이션을 구하기가 어려워서 위와 같이 구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기능을 차용하기 위해서 ubuntu를 가상으로 넣었지만 내트워크 상에서 동일 IP로 잡히기를 바랏기 때문에 가상으로 내부 내트워크를 잡고 nat으로 연결해 주려고 했습니다.

 딱히 네트워크 관련 지식이 없기 떄문에 그냥 튜토리얼 몇개 보고 어줍잖게 따라 했는데요.

여기서 궁금한것 몇가지가 있습니다.

 nat으로 내부를 분리해 버려린 afp서버의 경우 IP를 치면 인식하지만 동일 네트워크에 있는것 처럼 자동인식은 되지 않습니다.

 서버측의 브로드캐스트가 내부 네트워크 안내서 막혔기 때문인것 같은데요...

동일 내트워크 안에 두되 가상머신의 서버 기능과 windows server 자체의 서버 기능에 같은 IP로 접속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nat으로 분리하되 afp 서버가 자신의 존재를 알려 줄 수 있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두번째로는 WOL에 관련된 질문이 있는데요.

wake on match partten 기능을 사용한 s3에서 복귀에 관한 부분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windows server 가 nic에 프로그램 하는 패턴은

-NETBIOS 이름 쿼리

-TCP SYN v4

-TCP SYN v6

이런것 이라고 들었습니다.

윈도우즈 클라이언트에서 잠자기 중인 nas의 ip로 smb 접속을 시도하거나 원격 제어를 시도하면 s3가 해제 되는데요

osx에서 smb로 접속을 시도 하거나 RDP 클라이언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그냥 쿨쿨 계속 잡니다.

위 패턴중 같은 작업을 해도 윈도우즈만 반응하는 패턴이 있는걸까요?

osx에서도 깨어나면 좋을것 같은데 이걸 어떻게 검색을 해 봐야할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NETBIOS 이름 쿼리

-TCP SYN v4

위 2중 어떤것이 잠을 깨우는 것인지 혹시 알수 있을까요.. 그걸 확인하면 중점적으로 구글링을 할 수 있을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ubuntu/afp 서버를 바로 네트워크에 연결하시면 원하시는 기능(broadcast)이 될 것 같은데요. NAT로 구성하신 이유가 따로 있으신지요?
hyper-v virtual switch 는 단순 L2 확장 스위치기 때문에 Hyper-V 쪽에서 따로 세팅해줄 일은 없습니다.
     
isaiah 2016-01
별다른 이유가 있었던것은 아니고 데스크탑 쪽에서 접근할때 하나의 IP로 접근할 수 있었으면 하고 생각해서 였습니다.

이게 s3상태에서의 wake on match pattern 기능이 정확하게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몰라서 ip에 따라서 패턴 대조를 하는 것 이라면

실재 nic의 메모리에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는 가상머신의 ip로 가는 패킷은 s3에서 s3 상태에 있는 호스트 PC의 nic에서 인식을 못할 거라고 생각을 했거든요..

근데.. 막상 실재로 해 보니 afp 프로토콜로 접속을 하게 되는 osx 클라이언트 쪽에서는 무슨짓을 해도 nas가 일어나질 않습니다
windows 클라이언트에서는 하게 되면 nas 를 깨우게 되는 작업들.. 그러니까 원격데스크탑 접속 시도라거나. smb 접속시도 같은걸 해도요.
문재가 2개가 된거죠...

원하는 대로 작동하게 하고 싶긴 한데 어디서 부터 찾아 봐야 할지 모르겠네요...

방법이 없으면 그냥 포기하고 IP 하나 더 빼서 내부에 host 파일을 고치던 내부에 DNS를 돌리던 해 봐야겠네요..


제목Page 88/130
2014-05   5260207   정은준1
2015-12   1784996   백메가
2024-07   7516   Gpusp
2024-12   3737   Papi
2013-06   19696   회원K
2016-05   6904   ggg345
2020-12   4185   whitestar88
2021-05   3927   방랑자7
2021-11   5285   gean백승환
2022-10   11693   토이스토리
2024-01   6924   간장피클
2014-03   10566   mhlee
2016-05   6680   초보탈출
2017-06   7141   nukking
2018-07   6448   우럭아왜우럭
2021-03   4422   코카콜라
2022-04   5073   송주환
2022-07   6532   뮤노
2013-09   19290   남성룡
2016-04   6870   미나리나물
2018-10   5363   하양까망
2020-08   5670   유적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