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To 를 다 적기에는 분량이 좀 많아서...우선 간략하게 소개만 드리겠습니다.
ESXi 의 최대 단점은...기존 디스크 마운트가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5.5 기준...6.0 은 안 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데이터스토어를 붙이려면...무조건 포맷을 하더군요.
그래서 이전에 사용하던 VM 이 들어있는 디스크를 그냥 가져와서 붙일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NFS 데이터스토어를 사용하면...이 문제가 해결됩니다.
NFS 로 연결하면 기존 데이터가 그대로 올라오고 이걸 등록하면 되거든요.
그래서...사무실에 10G 네트웍을 구축하고...스토리지도 만들고...여차저차해서 메인 가상화머신은 잘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간혹...메인스토리지를 내리더라도 돌아가야하는 장비가 있는 경우 조금 머리가 아프더군요.
처음에는 단일 SSD 에 설치해봤었는데...SSD 돌연사 해버리면...대책이 없을듯하더군요.
물론...veam 같은 걸로 백업을 떠두는 방법도 있긴 합니다만.........
어쨌거나...고민하다 결국 찾은 방법은 ESXi 의 로컬에 스토리지용 OS 를 설치하고...
해당 스토리지에 NFS 데이터스토어를 생성하면 되더라...하는 겁니다.
간단한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ESXi 설치
2. 데이터스토어 설정
3. vm 으로 NFS 지원 가능한 OS 설치 및 NFS 설정 ==> 저는 ZFS 사용 가능한 OS 를 올렸습니다.
4. ESXi 에 스토리지용 vmkernel 추가 및 방화벽 조정
5. ESXi 에서 NFS 데이터스토어 생성
6. NFS 데이터스토어에 vm 생성
이렇게 하면 됩니다.
단점은...ESXi 를 처음 부팅하면...NFS 용 OS 가 부팅되어서 올라온 후...NFS 데이터스토어가 로딩 되기 전까지는...NFS 데이터스토어에 등록된 vm 들이 보이지 않는다...라는 것과...
ESXi 가 NFS 데이터스토어를 사용하는 경우...쓰기 기능이 동기화 기능을 이용하기 때문에...쓰기 속도는 느리다...는 정도입니다.
자동 부팅을 시킬 때도...NFS 용 OS 가 부팅이 끝난 다음에 부팅 시켜야하구요.
장점은...역시나...ESXi 를 지지고 볶아도...vm 은 절대 안전하며...원하면 언제든 재 등록이 가능하다...라는 점입니다.
더블어...NFS 용 OS 에...ZFS 같은 걸 사용하면...스토리지 용량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구요. 고가의 캐쉬 달린 레이드컨트롤러가 없어도 레이드 구성이 가능해지구요.
기타 등등.....
관련된 자료는 구글링 해보시면 많이 나옵니다.
저는 일단 단초만 드리는 것으로 만족하겠습니다. ^^
참고로...현재 설정된 시스템의 테스트 벤치입니다. ZFS 이기 때문에 ARC 의 영향으로 읽기에서 상당량 뻥벤치인 것은 감안하시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시스템의 zfs 용 OS 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HDD : HGST 트레블스타 Z7K500 : 2.5" SATA3 500G 4개 - mirror stripe
ZIL 용 SSD : 삼성 SATA2 SLC SSD 100G 2개 => 델 OEM 이고, SATA2 라 속도는 느립니다. 특히 시퀀셜은 극악한 속도(100MB/s 가 안 나옵니다 ㅠㅠ)가 나옵니다만...현재 시스템이 쓰기 속도가 중요하지 않은 시스템이라...노는 녀석으로 넣었습니다.
메모리 : 16GB
이렇게 설정된 상태에서 윈도우 8.1 설치 후 CDM 돌려보았습니다.
읽기 속도가 워낙 좋아서...만족입니다. ^^
덧붙여...ZIL 용 SSD 를 변경하면 쓰기 속도도 많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저번에 disk i/o 문제로 7번 정도 재설치 했는데 기존 디스크 잘 붙던데요?
물론 vm을 보려면 인포트 해야했고요.
아무튼 그것과는 별도로 zfs는 끌리네요~
필요하다면 zfs 단에서 스냅샷도 가능하구요. 스냅샷을 리모트 zfs 장비로 전송할 수도 있고...등등...zfs 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나름 메리트가 있는 방식입니다.
좀 더 부연하자면...esxi 가 인식할 수 있는 디스크는 SATA 에 연결해서...여기에 zfs 를 설치하고...
m1015 같은 레이드컨트롤러를 하나 장착하고...PCIe pass through 로 zfs 에 붙여준 후에 zfs 쪽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레이드 + 읽기 가속...정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쓰기보다 읽기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라면 나름 좋습니다. ^^
Thin-Provision 으로 하다보면, 다수의 VM 에서 다량의 데이터 생성/삭제 를 발생시킬 떄, VM 이미지의 단편화 이슈가 의외의 지점에서 발목을 잡는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도움 말씀 감사드립니다.
가끔 ESXi 자체 에러가 나서 NFS나 iSCSI가 먹통이 되어 뻗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긴 합니다만,
6.0버전이후로 안정이 되었습니다.
다만 저는 그때 기억이 있어서 그냥 로컬 잡고 씁니다 ^^
vCenter 때문에 계속 망설이는 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