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8519 |
0 |
2014-05
5268519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3542 |
25 |
2015-12
1793542
1 백메가
|
950 |
(Hyper-V) SR-IOV 사용해봤습니다. (3) |
황혼을향해 |
2016-02 |
8589 |
0 |
2016-02
8589
1 황혼을향해
|
949 |
(VMWare) ESXi 5.5 vSphere Client 접속해서 실수로 가상머신을 삭… (3) |
s김종화z |
2014-01 |
8591 |
0 |
2014-01
8591
1 s김종화z
|
948 |
(VMWare) 소소한 제 개인(가정)용 ESXi (무료라이센스) 서버 사양입… (2) |
민사장 |
2015-03 |
8596 |
0 |
2015-03
8596
1 민사장
|
947 |
(VMWare) 앱플레이어 브릿지 모드 관련... 냉유 (21) |
삼선동고니 |
2020-07 |
8602 |
0 |
2020-07
8602
1 삼선동고니
|
946 |
(VMWare) 6.5가 릴리즈 되었네요.. (8) |
우야노 |
2016-11 |
8607 |
1 |
2016-11
8607
1 우야노
|
945 |
(VMWare) VMware vSphere ESXi 및 vCenter Server 6.0 설명서 |
황진우 |
2016-07 |
8611 |
2 |
2016-07
8611
1 황진우
|
944 |
(VMWare) Ryzen System PCIE Passthrough 문제 해결되었네요. (1) |
작은악마 |
2019-05 |
8612 |
0 |
2019-05
8612
1 작은악마
|
943 |
(VMWare) ESXi 5.5 에서 지원되는 USB3.0 어댑터를 찾습니다. (2) |
readytoact |
2014-02 |
8619 |
0 |
2014-02
8619
1 readytoact
|
942 |
(VMWare) ESXi 5.5 에 아답텍 ASR-6405E 호환성 문제가 있는지.. 일… (5) |
에라뇽 |
2014-03 |
8624 |
1 |
2014-03
8624
1 에라뇽
|
941 |
(Xen) 웹인터페이스 접속 사용해서 외부네트웍에서 접속, 실행시… (3) |
QS왕통키손… |
2013-09 |
8637 |
0 |
2013-09
8637
1 QS왕통키손…
|
940 |
(Xen) xenserver 호스트 , 호스트 내의 vm을 snmp 로 정보를 읽… (2) |
chotws |
2014-07 |
8637 |
1 |
2014-07
8637
1 chotws
|
939 |
(VMWare) 우습지도 않은 바보 짓. 메모리. (6) |
에라뇽 |
2014-07 |
8638 |
1 |
2014-07
8638
1 에라뇽
|
938 |
(VMWare) ESXi 를 윈도우랑 듀얼 부팅시 팁 (No hyperviser found) (4) |
Wyse |
2017-05 |
8647 |
3 |
2017-05
8647
1 Wyse
|
937 |
(VMWare) [요약]VMWare ESXi의 무료사용자로서의 문제점 보고 (5) |
김황중 |
2014-03 |
8659 |
0 |
2014-03
8659
1 김황중
|
936 |
(VMWare) ESXi 6.5 로그 반출 (1) |
토이스토리 |
2022-09 |
8661 |
0 |
2022-09
8661
1 토이스토리
|
935 |
(VMWare) 가상화 서버 구성 문의드립니다. (4) |
judeivan |
2015-05 |
8663 |
0 |
2015-05
8663
1 judeivan
|
934 |
(VMWare) gen8 최신 esxi가 어떻게 되나요? (8) |
킵고잉 |
2017-12 |
8670 |
0 |
2017-12
8670
1 킵고잉
|
933 |
(VMWare) ESXI 구축하려고 합니다. 메인보드 추천좀 부탁드려요! (5) |
노인님 |
2015-09 |
8680 |
0 |
2015-09
8680
1 노인님
|
932 |
(VMWare) esxi embeded web client !!!!!! (5) |
DDAYs |
2016-03 |
8685 |
2 |
2016-03
8685
1 DDAYs
|
931 |
(KVM) VT-d가 적용된 게스트를 강종시켰더니... (2) |
izegtob |
2016-04 |
8688 |
0 |
2016-04
8688
1 izegtob
|
VT-d하면 호스트쪽의 Pcie는 없어질줄알았는데
그대로있네요..
SR-IOV의 경우 VT-D라고 통칭하는 기술의 하위기능 중 하나라고 들었기 때문에 VT-D가 된다고해서
SR-IOV가 된다고 하기에는 좀 이른 판단이 아닌가 싶네요. ^_^);;
죄송합니다 ㅠ
저는 아직 VT-d와 SR-IOV의 차이도 잘몰라서...
VT-d가 하는일이 SR-IOV가 하는일과 같지 않나요? VT-d도 위에 댓글에 써뒀지만 host에 그대로 남아있더군요
Host와 여러 게스트가 한 NIC를 하드웨어적으로 공유해서 쓴다가 SR IOV아닌가요?
기존에 사용되던 큐 방식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겠지요.
SR-IOV는 VM에 할당 가능한 물리 NIC이 한개인데 좀 더 많은 VM에 Hypervisor가 제공해주는
가상NIC보다 더 좋은 성능을 얻기위해 도입한 기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좀 과장을 넣어) Hyperviosr Vitrual NIC << SR-IOV < Physical NIC 으로 성능이 증가한다고 합니다.
성능이 물리NIC보다 떨어지는대 왜 비싼돈 주고 쓰느냐?
Intel i350 랜카드의 경우 한 포트당 6개의 가상NIC을 제공해줍니다.
보통 듀얼 랜을 많이 사용하시니 총 12개의 VM에 성능좋은 가상NIC을 제공할 수 있는것이죠.
잘 기억은 안나지만 제가 파악한 바로는 인텔의 ET 듀얼, ET2 듀얼, ET2 쿼드 이렇게 3종류가
SR-IOV를 지원하는 걸로 기억합니다. ET 쿼드는 지원 안하는 신기한 모델이니 참고하세요~
더 자세한건 구글이나 인텔 홈페이지 혹은 예전에 제가 어딘가 적어놓은 글 찾아보시면 됩니다.
i350을 빠드리신건지.. 갑자기 헷갈리네요.
그리고 뱀발을 붙이자면 SR-IOV 지원 유무로 1Gbps 환경에서 의미 있는 수준의 차이를 보이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예전에 한참 찾아보니 ET 시리즈와 i350이 같은(혹은 비슷한) 세대의 칩셋을 쓴다는 글을 본 것 같습니다.
성능쪽은... 제 개인적인 체감이었지만 반응 속도가 좀 빨라지는 것 같았습니다.
찾아본 다른 자료에서는 SR-IOV의 도입이 VM의 자체 성능을 높이는 것보다 하이퍼바이저가 네트워크에 투자하는
리소스를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성능이 좋아진다고 하더군요.
뭐... 저도 최근 시스템들에게 뭐가 좋니 나쁘니 하는건 별 의미없다고 생각은 하고있습니다.
다만, 좀 더 좋다는 소리가 있길래 팔랑귀인 저로써는... ^_^);;
오늘도 많이 배워갑니다...
제가 저번에 VT-D로 카드 자체를 할당하는것 대신 이것을 추천하여 헷갈리신거 같습니다(분명하게 차이점을 설명하지 않은거에 대해 죄송합니다).
성능은 황혼을향해님께서 적어주신 것처럼 하이퍼바이저 Virtual NIC <<< SR-IOV ≤ Physical NIC 입니다.
SR-IOV와 Physical NIC사이가 ≤ 인 이유는 일부 지표는 제한적 조건하에 사실상 동등한 성능을, 다른 지표는 조금 떨어지는 성능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당장 전체 대역폭만 보아도 NIC의 물리적 대역폭에 제한을 받게 되니, 제공되는 vNIC가 온전한 Physical NIC의 성능을 내는건 당연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emulation된 Virtual NIC와의 비교는, 하이퍼바이져가 에뮬레이션한 vGPU와 Nvidia GRID K series같은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vGPU 차이만큼 큽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고급기능들을 온전히 가속을 받으면서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마치 NVIDIA GRID K의 vGPU가 CUDA가속을 지원하는 것처럼).
즉 SR-IOV는 하드웨어가 제공하는 vNIC만큼, 마치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각 VM에 붙은것처럼 동작합니다.
시스템의 VT-D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CPU 오버헤드가 전혀 없는건 아니지만, 당연 순수 CPU emulation보다는 탁월하게 뛰어난 성능을 보입니다.
그리고 또 다른 큰 장점은 Hypervisor에 의해 관리되면서 동작하기 때문에 VT-D로 카드를 직접 붙인거에 비해 매우 안정적이고(적어도 리붓했다고 가끔 도로 떨어져나가거나, guest에서 아예 인식불가가 되는 pcie vt-d랑은 차원이 다릅니다), 직접 붙인거에 가까운 완전한 하드웨어 기능과, 거의 비슷한 퍼포먼스를 제공하면서도,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자원관리가 제대로 된다는 것에 있겠습니다(VT-D로 PCIe장비를 direct로 붙이면 hypervisor는 해당장비를 더이상 못건드리는거에 비하면 매우 큰 차이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