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 Grid 및 스트리밍 관련 질문

   조회 8387   추천 0    

안녕하세요,

Nvidia Grid GPU의 스팩에 보면 스트림용 H264 인코딩엔진이 있다고 나와있는데요.

기존의 가상 PC에서의 원격의 경우에는 CPU로 화면을 에뮬레이션하고 CPU로 화면을 인코딩을 해서 보내주었다면,

질문1.
Grid의 경우에는 비디오 드라이버로 보여지는 화면을 바로 H264로 하드웨어적으로 인코딩하여 원격 데스크탑쪽으로 쏴준다는 이야기인가요?

질문2.
이 경우에 CPU에 걸리는 인코딩 부하를 GPU쪽으로 돌리기 때문에 CPU 부하가 적다는게 맞는 건지요?

질문3.
H264를 쓰는 경우, 기존 RDP의 프로토콜류(ZRLE, Hextile)등에 비교해서 대역폭이 적은게 맞는 것인지요?


.
maronet 2016-11
데스크탑 가상화 솔루션 중에 클라이언트 화면 전송용으로 H.264를 사용하는 것은 없습니다.
1. 네. 그걸 지원합니다. 하지만 모니터 연결 단자가 없기 때문에, Horizon view (VDI)나 원격 접속 툴이 필요합니다만, VNC류 (그래픽카드에서 나오는 화면을 캡쳐해서 쏴주는 류) 혹은 자체 프로토콜로 모니터를 쏴주는 류의 원격 데스크탑(ex. teamviewer, hp RGS, 기타등등) 만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RDP는 안됩니다. 참고로 스팀 스트리밍도 아주 잘됩니다 :)

2. 적습니다만, 인코딩 부하를 돌린다는 표현 보다는.. 3D 가속이나 하드웨어 인코딩시 CPU보다 성능이 월등히 GPU가 높습니다.

3. 흠. 원격 프로그램마다 다르고 무슨 프로토콜을 썼는지 모르겠지만 1280 x1024 기준으로 최저 화질 조절시 전체 화면에서 15Mbit/s 정도까지도 먹더군요. 팀뷰어가 제일 적게 먹었던걸로 기억합니다 (4~5Mbit/s)

nvidia 홈페이지에서 grid K2 드라이버를 다운 받으면, 안에 pdf 파일로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쿰척쿰척 2016-11
답변 감사합니다^^
제온프로 2016-11
Grid 한번 빌려쓰고 싶군요.. 얄미운 Xen server에서 한번 돌려보고 싶어지네요...
가격이 넘사벽이라...
사용기좀 올려 주세요..
젠서버7 에서.


제목Page 75/130
2014-05   5259955   정은준1
2015-12   1784730   백메가
2016-02   8178   yexxnoah
2017-02   9192   김현린
2018-10   4309   전진
2020-11   4688   dateno1
2021-03   4448   코카콜라
2022-09   12280   토이스토리
2023-05   18193   방랑자7
2023-08   9598   서버같은인생
2016-05   7533   송주환
2016-12   7572   질문학생
2018-03   6147   MnkRed
2018-10   8427   하늘색꿈
2021-04   3517   mineroller
2024-06   13837   맑음
2015-02   20825   송주환
2015-09   7039   호야리1
2019-04   7814   제이레빗
2019-08   10253   chotws
2019-12   4482   왕봉구
2021-04   5259   l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