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게임 및 단순 매크로, 방송, 기타 테스트용으로 컴퓨터를 새롭게 구매하려고 하는데
VMWARE 설정 관련 질문드립니다.
1.
Number of processors ==> 실제 CPU 갯수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 ==> CPU의 코어(쓰레드포함)
이것이 맞나요? 듀얼구성의 CPU가 아닌
단순 CPU 1개 장착 컴의 경우 첫 번째 메뉴에서는 1이 맞는 건가요?
2.
메모리 램을 2기가를 주었을 때에도 해당 게스트 OS에서 작업관리자를 통해
메모리가 15-20% 가량 남아있는 상황일 때 메모리램을 3기가로 올린다고 이론상
성능이 향상 되나요?
3.
호스트에서 CPU점유율 및 메모리가 충분히 남아있으나
게스트 OS별 이동시 멈춤 등의 렉 현상이 발생됩니다.
이것을 병목 현상이라고 하는 것인가요?
CPU 설정을 2코어에서 4코어로 설정해주고(호스트컴 cpu 6코어) 메모리램을 올려주니 좀 더 나아지긴 했습니다만.
하드디스크 탓인지 CPU, 램 탓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있나요?
4.
E5-2630 모델로 듀얼구성한 컴퓨터 구매를 고민중인 상태입니다.
원래 SSD에 운영체제를 설치후 VM 게스트는 하드로 돌리려 했습니다만
SSD에 가상윈도우 돌리는 것이 성능 향상이 크다고 하여 SSD를 활용할 생각입니다.
SSD 512기가 하나에 VM 6개를 설치하는 것과 SSD 256기가 2개에 VM 3개씩 나눠 설치하는 것 중
어느쪽이 성능에 더 도움이 되나요? 후자쪽인가요?
5.
SSD나 HDD를 컴퓨터에 많이 연결할 경우 성능 저하에 영향이 있나요?
6.
호스트 컴은 윈도우7 64비트 이며
게스트 OS는 윈도우7 32비트 입니다.
CPU설정 메뉴에서 Virtualize intel vt-x/EPT or AMD-V/RVI 체크 후 실행시와 미체크시에 성능 차이가 있나요?
기본적으로 vt-x 지원되야 가상화가 가능한 걸로 알고있었는데 저것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체크한 상태로 시작하려고 하면 64비트 이상의 게스트 운영체제에서 가능하다고 하던데
이것에 대해 잘 아시는분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모르는 부분들이 너무많아 너무 많은 질문을 드렸네요.
답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2. 캐시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성능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3. 성능 모니터를 보고 응답속도가 느려지는 요소가 무엇인지 보고 판단합니다.
4. VM별 부하가 비슷하다면 당연히 후자가 좋겠죠.
5. 수백개 연결할거 아니면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6. VM에 하드웨어가상화 기능을 제공할 것인가 아닌가를 위한 옵션입니다.
vmware workstation에서 여러개의 VM을 운영할 경우는 디스크 입출력이 생각만큼 성능이 안나옵니다. SSD를 달아도 생각보다 그다지...
정말 빡빡한 시스템이 아니라면 물리 실제코어 상관없이 vm 마다 적당히 크게 주어도 VM이 활동하는 만큼에 따라 물리 CPU의 활동량을 하이퍼바이저가 케어해 주니 크게 상관 없습니다.
2. 가상화 성능의 첫 지름길은 많은 램입니다. 많을수록 좋습니다.
3. 가늠하기 어려운 문제입니다. 해당 VM들의 리소스 모니터링을 주시하며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아야 합니다.
VM의 지연현상은 보통 디스크 I/O 처리에서 많이 발생합니다만 구성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전가상화가 아닌 Workstation 같은 에뮬레이션에 가까운 시스템이라면 아무리 높게 주어도 완벽한 빠릿함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 됩니다.
4. 실사용이 목적이라면 권장은 VM마다 개별적인 물리 디스크를 할당하는 것이 최선입니다만 보드의 SATA 슬롯 등으로 인해 제약이 있을 것입니다.
( 제가 SSD에 하이퍼바이저와 윈10VM(씬 프로비저닝 동적디스크로)을 같이 구겨넣었는데, 게임 등 평상시에는 문제가 없으나
윈10이 내부망 FTP 기가빗 대용량 다운로드 등의 작업을 할 때 VM이 밀리는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
단일디스크에 다수의 vm운용 시 병목이 발생한다면 I/O Limit 라던지, 작업량 조절이라던지... 자신의 구성에 맞는 방안을 강구해야 합니다.
5. 일반적인 관점에서 크게 상관 없습니다
6. workstation 에서는 잘 모르겠으나 vt-x 의 체크 유무는 기본적으로 Nested Virtualization 의 지원 여부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성능의 차이에 관계되는 옵션이 아닙니다)
하지만 가상화 안에서의 가상화가 제 퍼포먼스를 내려면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ESXi는 VT-x 비활성화시 동작하지 않습니다.
하드웨어 기반 가상화 명령어 사용은 드롭다운 박스에 있네요.
제가 씨피유를 듀얼구성 하더라도 소켓수는 1로 해놓고 코어수만 조절해도 두개의 씨피유를 다 사용할 수 있는건가요?
코어수는 여유롭게 vm별로 각 4개쎅 할당해두려 합니다
하드디스크 설정을 president로 해놨는데 하드설정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