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
(Xen) xenserver 설치시 하드 용량에 관해 문의 드려요 (1) |
다크마인 |
2017-09 |
10694 |
0 |
2017-09
10694
1 다크마인
|
109 |
(Xen) (Xen)아주초보적인질문입니다. ㅠ죄송합니다. (6) |
wdm42 |
2017-08 |
6227 |
0 |
2017-08
6227
1 wdm42
|
108 |
(Xen) xen grid 인식이 안됩니다 (2) |
슬러그 |
2017-08 |
5952 |
0 |
2017-08
5952
1 슬러그
|
107 |
(Xen) xen gpu관련해서 질문이요 (3) |
달인 |
2017-08 |
5528 |
1 |
2017-08
5528
1 달인
|
106 |
(Xen) xpenology 6.1.2 부팅이미지 설치 질문드립니다. (2) |
kakei |
2017-07 |
6608 |
1 |
2017-07
6608
1 kakei
|
105 |
(Xen) 젠서버 VM 들 아이피 쉽게 넣을수있는방법? DHCP 말구요... (4) |
페르세우스 |
2017-07 |
6660 |
3 |
2017-07
6660
1 페르세우스
|
104 |
(Xen) Xenserver 수동의 업데이트나 패치후 정말 서버를 리부팅 … (4) |
일리케 |
2017-07 |
6072 |
1 |
2017-07
6072
1 일리케
|
103 |
(Xen) xenserver 질문입니다. (3) |
하파엘 |
2017-06 |
5272 |
1 |
2017-06
5272
1 하파엘
|
102 |
(Xen) 내장 그래픽카드 패스스루 됩니다. (4) |
스린 |
2017-06 |
6717 |
0 |
2017-06
6717
1 스린
|
101 |
(Xen) xenserver에서 내장그래픽 패스스루 해보신 분 계신가요? (10) |
스린 |
2017-06 |
10978 |
1 |
2017-06
10978
1 스린
|
100 |
(Xen) 젠서버 테더링 관련 질문드립니다 (2) |
KNMi |
2017-06 |
7344 |
1 |
2017-06
7344
1 KNMi
|
99 |
(Xen) xenserver 6.5에서 windows10 설치 가능한가요? (2) |
권태성 |
2017-06 |
6106 |
1 |
2017-06
6106
1 권태성
|
98 |
(Xen) hyper-v vmware 충돌 (3) |
무등산날파리 |
2017-06 |
10173 |
1 |
2017-06
10173
1 무등산날파리
|
97 |
(Xen) cpu점유율때문에 성능저하가 생기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1) |
KNMi |
2017-06 |
7067 |
0 |
2017-06
7067
1 KNMi
|
96 |
(Xen) Xenserver 에서 게스트 OS에 usb 마우스,키보드를 할당하… (2) |
아름드리소… |
2017-05 |
7047 |
0 |
2017-05
7047
1 아름드리소…
|
95 |
(Xen) XenServer 에서 pfSense 를 이용한 가상화 방화벽이 가능… (2) |
아름드리소… |
2017-04 |
6536 |
1 |
2017-04
6536
1 아름드리소…
|
94 |
(Xen) [해결]라이젠 설치 실패 (5) |
홍그림 |
2017-03 |
10992 |
3 |
2017-03
10992
1 홍그림
|
93 |
(Xen) XenServer에 알고싶은 학부생입니다!! 고수님들의 답변 부… (1) |
팬도라 |
2017-03 |
6643 |
0 |
2017-03
6643
1 팬도라
|
92 |
(Xen) xen 으로 N사 뿅뿅 실행하기는? |
페르세우스 |
2017-02 |
8122 |
0 |
2017-02
8122
1 페르세우스
|
91 |
(Xen) XenServer 저장소 이전방법? (4) |
이준서 |
2017-01 |
8441 |
0 |
2017-01
8441
1 이준서
|
시스템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CPU : 인텔 펜티엄 G4560
RAM : 8GB DDR4 x 1
메인보드 : ECS H110M4-C2H
PCI-E : Intel Pro 1000 PT Quad (쿼드포트 랜카드) x 2
저장장치1 : 삼성 ssd 840 evo 128GB x 1
저장장치2 : WD 2TB x 1
구성된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xenserver 7.2 설치, 관리용으로 메인보드 랜포트를 임시로 다른 공유기에 물려서 제어 중
VM 1번 : pfSense 설치, PCI-E 쿼드포트 랜카드 2개를 패스스루하여 사용, 1포트는 WAN, 나머지 7포트는 bridge 하여 라우팅 중
VM 2번 : 윈도우 10, 인텔 내장 그래픽카드 HD 610을 패스스루하여 사용하려고 함, 에러로 인해 사용할 수 없음
바이오스 세팅은
VT-d, VT-x 와 같은 것들이 어디에 있는지 보이지 않고
가상화 관련해서는 VMM(혹은 VMX)라는 것만 보이는 것 같습니다만
이게 메인보드에서 VT-d, VT-x를 지원을 안 하는건지,
아니면 VMX라는 것이 VT-d, VT-x와 같은 것보다 더 상위 지원인지 모르겠습니다.
인텔 홈페이지에서 검색한 바로는 G4560 CPU는 VT-x를 지원한다고 확인하였습니다.
VMM 혹은 VMX라고 쓴 이유는, 메뉴 상에는 VMM인데
해당 메뉴를 키보드로 선택해서 나오는 설명 중에는 VMX라고 언급되어 있네요.
또한 부팅 방식은 ESXi 설치했을 땐 레거시였으나,
xenserver 설치한 지금은 EFI 방식입니다.
xenserver를 레거시 부팅 방식으로도 설치해봤었습니다만 동일한 에러가 있었습니다.
또한 윈도우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서 자동으로 잡히는 드라이버는 Code 43을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인텔 홈페이지의 전용 드라이버를 사용하시는지도 확인해야합니다.
일단 다른 사람들은 GPU 탭에 그래픽카드가 나오는 것 같은데
저는 그 탭에 아무것도 나오질 않습니다.
제 생각이지만 아마 카비레이크는 아직 드라이버가 없어서 인식을 못 하는 건가 싶네요.
PCI 패스스루는 다음 링크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xenserver.org/blog/entry/pci-pass-through-on-xenserver-7-0.html
여기에 나오는 패스스루를 통해 쿼드포트 랜카드를 정상적으로 패스스루한 것을 보면
VT-d는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 같습니다.
인텔 홈페이지에서 받은 드라이버로 설치했었습니다.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이나 XenDesktop을 사셔서 GVT-g 기능을 사용하셔야합니다.
얼마전 시트릭스 코리아에 문의한 결과로는 XenDesktop을 구매할 경우 XenServer Enterprise의 모든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https://www.citrix.com/content/dam/citrix/en_us/documents/product-overview/citrix-xenserver-feature-matrix.pdf
일부기능을 제외하면인데 VDI 자체에서는 필요가 없는 기능입니다.
GPU 목록에 아무것도 없다면 Dom0 (하이퍼바이저 호스트)가 해당 PCI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이 경우 Passthrough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만약 Dom0 가 내장그래픽을 점유하지 않게하려면 XenCenter 상에서 해당 서버의 Properties 메뉴로 들어가
Dom0가 내장그래픽을 사용하지 않음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부팅 후 모니터가 연결된 화면에 아무것도 뜨지 않습니다. 또한 잘하면 서버 설정이 뒤틀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의하셔야 합니다.)
젠서버는 ESXi에 비해 무료 라이센스에서 그래픽 가상화(vGPU)와 메모리 캐싱을 제외하고는 제약사항이 거의 없습니다.
저 또한 젠서버를 사용하므로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 게시판에 글을 올려주세요 :D
아무래도 vt-d 메뉴가 없는 게 찝찝해서
해당 메인보드 제조사에 문의를 해 봤습니다마는
vt-d를 지원하지 않는 보드인 것 같습니다..
보드를 교체한 후 다시 한 번 테스트를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산 너머 산이네요.
다시 한 번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CPU가 직접 인코딩을 하면 너무 느려서 방송에 사용을 할 수가 없어서요..
왜 굳이 윈도우냐면 다음팟이 rtmp 프로토콜을 이용한 방송송출을 지원을 안합니다.
그래서 다른 플랫폼은 rtmp 송출해주면 되는데
다음팟 방송만 따로 다음팟 플레이어로 직접 송출해야 합니다.
마음같아선 PCI-E 하나 뽑고 거기에 그래픽카드 달고 싶긴 합니다만..
원래 공유기 기능을 가장 메인으로 생각했던 거라서..
퍼티 또는 SSH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xl dmesg 에서 VT-D 를 확인하거나
xl dmesg | grep -e VT 를 입력하시면 확인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