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4396 |
25 |
2015-12
1774396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9107 |
0 |
2014-05
5249107
1 정은준1
|
71414 |
파워용량 질문드려요 (4) |
FullMoon |
2016-12 |
4036 |
0 |
2016-12
4036
1 FullMoon
|
71413 |
이런 문의 드려도 될런지 모르겠네요 비디오 관련 좀 여쭤보려 합니다. (5) |
강승우입니다 |
2016-12 |
4775 |
0 |
2016-12
4775
1 강승우입니다
|
71412 |
홈 네트워크 구성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12) |
86김태영 |
2016-12 |
7157 |
0 |
2016-12
7157
1 86김태영
|
71411 |
6900k 시퓨 구매 질문좀 드릴게요 (2) |
oohsung |
2016-12 |
4119 |
0 |
2016-12
4119
1 oohsung
|
71410 |
e5 1650 직구할까합니다. (10) |
이하나 |
2016-12 |
4501 |
0 |
2016-12
4501
1 이하나
|
71409 |
nvme ssd 아직 시기상조인가요? (22) |
tidd |
2016-12 |
7701 |
0 |
2016-12
7701
1 tidd
|
71408 |
이거 수리할만한 업체있을까요? (7) |
jang |
2016-12 |
4167 |
1 |
2016-12
4167
1 jang
|
71407 |
윈도우7 홈 프리미엄 원격데스크톱 연결 오류 (4) |
누굴까 |
2016-12 |
6986 |
0 |
2016-12
6986
1 누굴까
|
71406 |
차량 이야기가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22) |
주황별 |
2016-12 |
6042 |
0 |
2016-12
6042
1 주황별
|
71405 |
제가 이해하는 PCI Exprss lane 이 맞나요? (4) |
임진욱 |
2016-12 |
5380 |
0 |
2016-12
5380
1 임진욱
|
71404 |
안녕하세요. win10 블루스크린관련 (9) |
JAYON |
2016-12 |
8492 |
0 |
2016-12
8492
1 JAYON
|
71403 |
2pin led 연장케이블이라는거로 스피커연결해도 될까요? (5) |
김건우 |
2016-12 |
4620 |
0 |
2016-12
4620
1 김건우
|
71402 |
일정회수이상 패킷이 들어오면 차단하는 윈도우용 방화벽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6) |
케리스 |
2016-12 |
7052 |
0 |
2016-12
7052
1 케리스
|
71401 |
컴퓨터 견적 도움 요청 드립니다. (21) |
달릴까 |
2016-12 |
6495 |
0 |
2016-12
6495
1 달릴까
|
71400 |
[로지텍 하모니 스마트] 리모콘으로 IR(적외선) 출력이 가능한지요 ? |
전설속의미… |
2016-12 |
5760 |
0 |
2016-12
5760
1 전설속의미…
|
71399 |
윈도우7 프로k oem 소프트웨어 (4) |
2CPU최주희 |
2016-12 |
5147 |
0 |
2016-12
5147
1 2CPU최주희
|
71398 |
공유기와 랜선의 호환성 문의 (7) |
waney |
2016-12 |
7441 |
1 |
2016-12
7441
1 waney
|
71397 |
플로피디스크 질문 (8) |
AplPEC |
2016-12 |
6779 |
0 |
2016-12
6779
1 AplPEC
|
71396 |
7600gs 질문 (8) |
AplPEC |
2016-12 |
5348 |
1 |
2016-12
5348
1 AplPEC
|
71395 |
부팅 시 0xc0000001 에러 (8) |
야베스 |
2016-12 |
13790 |
0 |
2016-12
13790
1 야베스
|
사용하실 보드의 블럭다이어그램과 보드 사진을 보고 잘 판독해야 합니다.
중간에 PCI-e 스윗치 칩이나 버퍼칩이 있으면 딜레이가 생긴다고 봐야죠..
현재 임진욱님이 걱정하신 부분의 배속 문제의 병목은 걱정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사용하실 확장 카드들이 고성능 네트웍(100Gbps) 또는 고대역대 확장 장비라면.. 현재는 그러한 확장 카드 그 자체에서도 프로세싱 관리 능력이 있으며, 무난히 운영의 프로세싱 문제 없습니다.
물론 이 역시도 고성능 하이엔드 연산기와 같은 이야기이구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함에 있어 님의(그래픽, SATA, 일반적인 확장카드) 걱정은 없으셔도 됩니다.
선행 사용자들의 버그이슈가 있다면.. 당연 그것은 버그이며, 이들 장비는 배제하시면 되겠습니다.
또 생각해야 할 부분은 DMI입니다. 아무리 칩셋에서 20레인을 배분해준다고 한들 이들은 CPU와 DMI로 통신할 수 밖에 없기에 이 부분의 대역폭을 넘어버리면 당연히 병목현상이 생기게 됩니다. 눈에 보이는 PCI 익스프레스 슬롯 이외에도 네트워크 어댑터나 오디오 기능, 시리얼 ATA, USB 등 다양한 장치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http://2cpu.co.kr/QnA/555127?&sfl=wr_subject&stx=lane&sop=and를 참조하시고
http://dlcdnet.asus.com/pub/ASUS/mb/socket1151/P10S_WS/Manual/E11165_P10S_WS_UM_WEB.pdf 169p 보시면 PCIe 3,4번 슬롯은 DMI를 통한 C236의 제어를 받지만, PCI-e 1,2번 슬롯은 CPU 직결입니다. MB 구성도가 같다면 PCI-e 1,2번은 칩셋에 관계없이 동일한 대역폭을 지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