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I SAS 9217-8i 부팅 실패하네요.

   조회 6255   추천 0    

 

기가p67 보드에 it모드로 하드 인식 잘합니다.

재시동을 하니 시동디스크를 못잡습니다.

아마도 sas 콘트롤러에 붙은 하드가 부팅디스크로 잡혀있는데 여기에는 운영체제가 없으므로 부팅실패 하는것 같습니다.

그래서 sas 콘트롤러에 os가 담긴 sata ssd를 연결하니 윈도우 진입창에서 빙글빙글 돌아가기만 하고 윈도우 진입에 실패하고 시스템 복구로 들어갑니다.

재시동으로 가고 계속 이과정이 반복됩니다. 결국은 사진처럼 복구도 못하고 끄라고 합니다.

검색을 좀 해보니 it모드로 되있으면 rom을 심어서 부팅 가능하게 해주어야한다고 하던데 전 그런게 안되있을것 같은데 그렇다면..

os 디스크를 아예 찾지못할 것이고 윈도우창은 구경도 못하는게 맞을것 같은데 전 윈도우창과 빙글돌아가는 장면까지 봤다면 부팅 해주는 어떤 파일이 문제가 되서 그런게 아닐까요?

그럼 그 파일을 넣어주면 부팅 성공하지않을까 싶은데요.

그런데 또 의문이 만일 부팅 파일이 문제라면 sas 컨트롤러가 아닌 보드에 붙여서도 시동이 안되야하는데 아무 문제없이 윈도우 진입이 됩니다.

뭘 어떻해야 할까요?

111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the촌놈 2020-12
SCSI드라이버 설치하듯이 SAS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OS를 설치할 때 SATA는 표준 SATA컨트롤러로 설치할 수 있지만 SAS는 OS에서 드라이버가 없으므로 컨트롤러 드라이버를 설치해야죠. OS가 설치되어 있는 SATA SSD를 붙여도 SAS드라이버 없으니 SAS컨트롤러에 연결하면 부팅을 못하는 것입니다.
     
장동건2014 2020-12
메리크리스마스입니다.
혹시 지난번에 저에게 답글을 주신 링크에...
http://www.2cpu.co.kr/QnA/788364?&page=1
SAS2308 드라이버를 업급하셨는데 일단 보드에 붙인 os ssd에 이 드라이버를 깔고 이것을 sas 컨트롤러에 붙이면 시동이 될까요?
즐거운 성탄입니다.~
          
the촌놈 2020-12
드라이버 깔고 나중에 부팅장치를 선택해주면 될 것도 같지만.... 그렇게 해 본적이 없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설치하는 걸 추천하죠.
               
장동건2014 2020-12
아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최대한 다시 설치는 지양하는 방향으로...
윈도우에 로드된 스토리지 드라이버가 AHCI가 아니라 그럴겁니다. 안전모드 부팅했다가 나와보세요. 그러면 부팅될것입니다.

IDE -> AHCI 전환처럼 AHCI -> RAID 전환이 필요합니다.
     
장동건2014 2020-12
감사합니다. 메리크리스마스~
그런데 AHCI가 아니라면 ssd 의 trim 기능이 제대로 동작할까요?
          
LSI SAS2 HBA(SAS2008/2308)은 TRIM 미지원이고, SAS3 HBA(SAS3008~)부터 지원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장동건2014 2020-12
아 그럼 제대로된 ssd 기능을 구현하려면 최신 컨트롤러가 필요하겠군요.
     
DarknessAng… 2020-12
동감입니다

윈8/10 저런것 만진후 무한 뱅뱅이 돌때 해결책이죠
송상병 2020-12
https://extrememanual.net/33149

여기를 참고해 보시고 진행 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번에 저도 2가지 사례를 위 링크의 방법으로 성공 했는데요.

1. EDIE - AHCI 전환

2. SAS IT Mode - AHCI 전환

에 유용하게 사용하였습니다.
     
장동건2014 2020-12
앗!  한5년2전쯤에 제가 9217-8i를 송상병님께 구매 했습니다.
그냥 hba 용도로 쓸려다가 장터에 slc ssd 가 떠서 이것으로 운영체제 심어서 써볼라고 이 고생입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메리크리스마스~
박문형 2020-12
저는 부팅 하드는 따로 시스템에 직결해둡니다..

그래야 나중에 편해집니다..
     
장동건2014 2020-12
전 일반보드에 sas ssd를 써야하기때문에 이 방법 밖에 없습니다.
          
박문형 2020-12
레이드 안 묶고 쓴다고 하고

아레카 SAS 카드 JBOD 모드 한방이면 모든게 끝납니다..
               
장동건2014 2020-12
예전에 아레카 it모드 안되는[어차피 이건 LSI에서 밖에 안되니...] 구형 아레카 모델 한번 써보고 바로 팔았습니다.
저처럼 사용하면[하드 켜고끄기] 경고음 울려서 안되겠더라구요.
                    
박문형 2020-12
아!! 하드 끄고 켜기는 좀 힘들겠네요..
장동건2014 2020-12
아.. 일단 안전모드에서는 부팅이되는데 원래 윈도우10으로는 부팅이 안됩니다.
IDE, RAID 모드 마찬가지입니다.
레이드 모드에서는 아예 부팅 디스크를 못찾습니다.
     
the촌놈 2020-12
시간낭비 마시고  정석대로 클린설치하세요.
          
장동건2014 2020-12
그런데 클린설치 하면 드라이버가 자동으로 깔리나요?
나중에 드라이버를 깐다고 하면 현재 os디스크에 드라이버 까는것과 다른건가요?
               
the촌놈 2020-12
드라이버를 준비해서 설치디스크 고를 때 지정해줘야죠. 아니면 통합하든가요. 윈xp는 통합이 좋지만 윈10은 필요없죠. usb에 담아서 꼽아주면 되니까요.
                    
장동건2014 2020-12
네 제가 아직 그부분은 지식이 없어서 따로 학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FreeBSD 2020-12
M1015에 SSD 연결해서 윈도우 10 설치하고 잘 썼었는데요.....
FreeBSD도 설치 잘됩니다.....
다만 메인보드는 타이안...수퍼 마이크로의 듀얼 보드였습니다..
데탑용 싱글 보드에선 M1015를 장착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
아참 그리고 M1015는  IT 모드로 펌웨어 입히면 TRIM 지원 잘됩니다...
FreeBSD에서 확인한 겁니다.....
     
장동건2014 2020-12
트림 지원된다니 성공시켜서 써보고 싶습니다.
https://extrememanual.net/33149
위에 링크대로 해봐도 제보드랑 바이오스 화면이 다릅니다.
바이오스 설정을 어떻게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여전히 안전모드로 ahci모드에선 부팅됩니다.
정상 모드에서는 시스템 검사합니다.
          
FreeBSD 2020-12
메인보드를 수퍼마이크로나 타이안의 듀얼 보드로 사용하는게 최선책입니다..
아무것도 손안대고 그냥 슬롯에 장착하고 컴터 켜면 다됩니다...
IT고 IR이고 아무거나 다 되고 문제가 전혀 없습니다....
M1015를 IR 모드에서 레이드로 하드 묶어서도 써보고...
IT 모드로 그냥 컨트롤러로도 써봤습니다....그냥 잘됩니다....자연스럽게요...
메인보드를 듀얼로 하는게 상책입니다..이니면...데탑 보드에서 이거 저거 삽질해보는 수밖에요...
지금도 수퍼마이크로와 타이안 듀얼 보드에 M1015장착해서 4테라 SATA 하드 붙여서 잘 쓰고 있습니다..
               
the촌놈 2020-12
그렇지 않습니다. scsi부터 sas까지 철저하게 일반 싱글보드에서 부팅용으로 사용해 본 바.... 안붙고 문제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지금도 2대의 컴에 sas컨트롤러가 들어가 있고 모두 부팅용입니다. 이전 컴도 평범한 asus p8z67m 이었고요.
          
자동 변경 안되신다면 레지스트리 수정하셔야 됩니다.

https://blog.workinghardinit.work/2018/11/28/moving-from-ahci-to-raid/
               
장동건2014 2020-12
점점 미궁속으로 들어가네요...ㅜㅜ
술이 2020-12
서버나 웍스보드가 아닌이상 부팅디스크로 쓰지말고 확장용으로 써야 안정적입니다. 데스크탑쪽은 이게 호환성을 제공해주지 못하기도 합니다.
     
장동건2014 2020-12
it 모드에서는 옵션롬 용량도 적고해서 비교적 잘붙지않을까요?
          
술이 2020-12
아 저거 레이드카드인줄 알았는데 IT모드였네요. IT모드는 IR모드와 달리 부팅디스크 우선순위 지정 옵션이 없었는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델 H200 은 부팅 0순위 지정안하면 부팅 안되는데...
그런데 어짜피 내장포트가 있는데 그걸 OS 부팅용으로 구성하는게 안정적이긴 합니다. 대부분 IT모드로 소프트레이드풀을 잡고 사용하는데 문제는 IO가 심하면 OS에 영향을 주거든요. 전 항상 콘트롤러와 부팅은 별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IO 부하걸릴때 그때부터 왜 분리시키는지 이해하기 시작할겁니다. 그리고 콘트롤러에 붙은 하드가 배드때문에 멍때리면 그땐 블루스크린 뜨거든요.
               
장동건2014 2020-12
원래 단순 확장용으로 쓰다가 slc ssd가 생기면서 한번 써보고 싶어서요.


QnA
제목Page 871/5723
2014-05   5228111   정은준1
2015-12   1755109   백메가
2020-12   5920   앤드유저
2020-12   3308   도경
2020-12   4692   장동건2014
2020-12   3090   AMD빌런
2020-12   2180   Psychophysi…
2020-12   2950   성기사
2020-12   6400   찬이
2020-12   6256   장동건2014
2020-12   7554   반성만
2020-12   6070   이천풍
2020-12   5921   집구석
2020-12   2694   2CPUI김세훈
2020-12   3767   h4cker
2020-12   3431   알수없는힘
2020-12   3523   블랙
2020-12   6443   김도형
2020-12   6262   fiento
2020-12   3706   캔위드
2020-12   3188   굴렁쇠
2020-12   2123   프로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