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모임에서 사용할 자작 NAS 사양 조언부탁드립니다.

cyan   
   조회 8817   추천 0    

안녕하세요.


영화를 좋아하는 친분있는 사람 10명 정도가 모이는 모임이 있습니다.

이 분들이랑 같이 사용할 계획으로 중요자료 클라우드 백업 및 멀티미디어용으로 10명 정도가 사용할 NAS 사양 조언 부탁드립니다.


1. 10명 정도의 동시 사용.

- 사용인원이 특정시간(주로 저녁대)에 몰려서 전체 사용인원은 많지않지만 10명 정도가 동시에 접속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멀티미디어

- 다들 영화광이라 최소 1080p 소스 정도의 영화를 동시에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녀들에게 핸드폰 미러링 등으로  TV, 빔프로젝트 등을 통해 미디어를 보여주기 때문에 동시에 트랜스코딩이 들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컴맹들이라 세세한 설정등을 하지 못하며,  이 기기 저 기기 등으로 접속하게 되므로 다양한 기기에서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트랜스코딩 설정이 중요합니다. PLEX 미디어 서버를 설치하여 서비스할 계획입니다.

- 영화를 많이 보다 보니 충분한 HDD 용량이 필요하여 최소 4TB 8베이 이상을 사용하여 충분한 용량을 갖추려고 합니다.


3. 중요자료 백업

-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통해 중요자료를 백업하면서 사용하려고 합니다.


4. 서버랙 사용

- NAS 거치는 랙마운트용 케이스를 활용해서 서버랙에 거치하여 사무실 한켠에서 운영하려고 합니다.

- 외부는 기가비트랜으로 인터넷이 연결됩니다.

- 내부는 스위치허브를 사용해 link aggregation 이나 Teaming을 구성해서 대역폭을 증가시킬 계획입니다.


5. OS는 XPEnology로 구성

- 사용자들이 컴맹이라 FTP 접속도 어려워하여 사용자환경이 편한 걸 찾다보니 헤놀로지가 제일 나은 것 같았습니다.

- 현재 한달째 임시로 저사양으로 서버를 구성하여 사용해보고 있는 상태인데 만족합니다.



현재 위와 같은 계획으로 하드웨어 사양을 알아보고 있는데 여기저기 하드웨어를 고르다 보니 NAS용이 아니라 꼭 성능좋은 PC를 골라놓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문의드립니다.




그냥 막 눈에 보이는 대로 고르다보니 이렇게 되었습니다. 비용만 높고 하드웨어간에 궁합이 맞는 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3~4년전에 개인PC 조립해본게 마지막이라 감도 다 잃었습니다.

중간에 있는 SSD는 캐시용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제 사용처에 적당한 정도의 수준인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조언해주신 분들게 미리 감사드립니다.

This, too, shall pass.....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현재 두 가지(정품, 비정품)를 모두 운영해본 경험에서 보면...
중요자료이면서 공동으로 사용하신다면...위 금액이면...정품을 구매하시 것이 좋을듯합니다.
비정품은 가만히 두고 사용해도...자료 날릴 위험 몇번 경험했습니다.
독박쓰면...ㅠㅠ
     
cyan 2016-08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아무래도 공용으로 쓰다보니 안정성 부분에서 저도 걱정이 안되는 건 아닌데요. 가만히 두고 사용하면 괜찮지않을까 생각했는데.. 혹시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생기셨는지 알려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하드디스크 정보가 사라지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하드디스크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어떠한 자잘한 문제가 발생하거나 발생하려고 하는 기미만 보여도...
심장이 벌렁벌렁합니다.

이점이 가장 큰 문제 였던거 같습니다. 작은 이상한 점이 발생하기라도 하면...
비정품이라 그런가..내가 선택을 잘 못했나...이런..자책을 하게되고....제발 아니길 바라고....머리털 빠지고..등등..
               
cyan 2016-08
하드디스크 정보가 사라지다니 아주 심각한 문제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충분히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승현1 2016-08
기성품 나스가 좋아보이긴 합니다

절대성능으로 조립이 우월하지만 안정성에선 솔직히 비교가 안됩니다
     
cyan 2016-08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혹시 기성품 나스 중에서 어느 정도 급으로 가야 저 정도를 커버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본체만 500만원이나 하는 시놀로지 3615xs 급도  CPU가 i3 성능이라 5명 정도의 동시 트랜스코딩을 감당할 수 있을지 잘 몰라서 문의드립니다.

사실은 활용처가 나스라기 보다는 미디어 서버에 가까워서 차라리 리눅스+ 플렉스 서버로 완전히 넘어갈까 싶기도 합니다. 
다만 시놀 DSM의 UI가 너무 편하게 만들어져있고, 클라우드 스테이션 같은 몇몇 앱이 자료백업으로 활용시에 굉장히 사용이 편해서 맘에 들구요.
리눅스+플렉스 서버 조합의 안정성과 비교했을때 헤놀로지를 설치한 서버의 안정성이 특별히 더 떨어질 것 같지도 않아서 고민이네요.
NGC 2016-08
동시 트랜스코딩 10명분이라면...
일반 기성품 나스로는 절대적으로 무리이고..
5700T 로 peak time에 원할하게 동작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실시간 트랜스코딩은 컴퓨팅파워를 많이 소모한다는 것이지요
그렇다고 Xeon 18코어를 2socket으로 때려박는다고 하면 가격대비 너무 비효율적이니
재생기기에서 재생되지 않아서 서버쪽에서 transcoding이 일어나지 않게  적당히 조절된 source를 play할수 있게 가이드 해주시는것이
최적으로 보여집니다.
요즘 스마트폰등의 재생기기등은 일반적인 h264영상은 잘 재생시킬수 있습니다.
     
cyan 2016-08
정성어린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말씀대로 일단 이정도 사양으로 갖추고, 최대한 트랜스코딩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스를 조절하거나 메뉴얼을 적절히 만들어서 가이드하는 형태로 교육시키는 것이 맞겠네요.
이 컴맹 양반들이 컴퓨터는 잘 모르면서 화질욕심은 또 있어서 ㅋㅋㅋ  모든 것을 다 만족시킬 수 는 없겠죠. 적당히 타협해야겠습니다.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나비 2016-08
아이폰만 아니라면

안드로이드폰은 mx플레이어 조합으로 그대로 그냥 플레이하는게 낫지 않을까요?
     
cyan 2016-08
네. 조언감사드립니다.
사용자측의 하드웨어와 플레이어등을 일정한 수준으로 맞추기가 쉽지않고, 핸드폰(아이폰, 안드), 아이패드, 노트북, 넷북, 데탑 등 너무 다양해서 가능하면 서버측에서 서비스의 유동폭을 늘려 최대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려는 취지였습니다.  이 사람들이 이것저것 시간 나면 닥치는 대로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라... 게다가 저도 나이가 있다보니 사람들 잡고 일일히 하나씩 가르쳐주면서 알려주기가 힘들고 귀찮아서.. ㅎㅎ
딸기대장 2016-08
ftp로 해서 그냥 실시간 연결로 해서 사용하세요.
한두명정도면 몰라도 10명 트렌스코딩은 무리일 것 같고...
안드의 경우 dice플레이어 나, es익스+MX 플레이어도 괜찮을 듯 합니다.
PC로 연결하는 것은 팟플레이어에서 지원될껍니다.
     
cyan 2016-08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저도 10명 동시 트랜스코딩을 바라는 건 아니지만 5명 정도는 트랜스코딩이 들어가도 버틸 수 있는 사양이었으면 해서 글 올렸습니다.
모임분들에게 하나하나 플레이어 설정을 알려주기 보다는 돈을 더 뜯어내서 하드웨어 사양을 올리는게 제가 좀더 편할 수 있는 길이라.. ㅎㅎ
아무튼 조언 감사드립니다.
김제연 2016-08
실시간 트랜스 코딩으로 접근하지마시고 .. 하드 용량에 제한이 없으시면.. 그때그때 인코딩을 해놓고 파일 전송 만으로 다이렉트로 보는게 더 낫다보 봅니다. .
그럼 cpu 는 i3도 넘칠것이구요 / 메모리도 크게 필요 없구요.
     
cyan 2016-08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역시 하드웨어에서 지원 어려운 부분은 노가다로 채우는 수 밖에는 없을 듯 하네요. ㅎㅎ
병따개님 2016-08
10명이 동시에 보기에는 네트워크 대역폭 문제도 있을 거같네요.
기가랜이라도 하루 100기가쓰면 100M급으로 속도가 제한되는데
문제 없이 모든 속도를 영화보는데 사용된다 하더라도 1명당 10Mbps만 사용할수 있겠네요.
트랜스코딩 최고 옵션도 20Mbps 라고 나오더라구요.
모두가 원본을 보는건 무리고 트랜스코딩으로 해결은 되겠습니다만 최고 화질로 보기는 무리가 아닐지...

그리고 최신 plex에서는 실시간 트랜스코딩 말고도 미리 트랜스코딩하여 저장할수있는 기능이 생겼어요.
하드용량이 충분하면 미리 트랜스코딩해서 저장해 놀수있고 뭘볼지 미리 생각해둬서 해둘수도 있긴하겠네요.

그리고 시놀리지도 구매후 cpu만 따로 사서 업글이 가능하다고 본거같은데 이건 확실하게는 모르겠네요...
     
cyan 2016-08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기가랜 대역폭 내에서는 그래도 하드웨어로는 밀리지않게 최대한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사양을 찾는게 목표입니다. 그래도 어쨌든 땅파서 돈이 나오는 건 아니니 타협은 필요하겠네요.

초기에 많이 볼 영화는 몇가지 버전으로 소스확보하고 차후 정리하면서 가는 것도 말씀대로 한가지 방법일 수는 있겠네요.

저도 그렇게 업글하는 걸 보긴 했습니다만 위험도 대비 소득은 별로 없을 거 같아서 생각진 않았는데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땡구 2016-08
경험상 트랜스코팅은 재생 시작 또는 구간 이동 시 CPU 자원을 급격하게(99% 이상) 소모합니다.
재생 시작 또는 구간이동 후 약간의 시간이 지나면 CPU사용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제가 운용중인 시스템은 Xpenology 사양 i3-6100, 4g ram 입니다.
트랜스코딩 동시 5개 테스트결과 재생 시작후 약 1분의 시간이 지난후에 리소스 사용량은 CPU 92% RAM 30% 입니다.
(재생 시 끊김 현상없었습니다.)

Passmark 점수로 따지면 i3 6100은 5473점 i7 6700은 9978점으로 약 2배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최소 i7 6700을 선택하신다면 10명 내외의 동시 트랜스코딩은 무리없을것으로 보여집니다.
RAM은 8기가 정도 선택하시면 될듯하네요
또한 대역폭의 경우 트랜스코딩 후 화질에 따라 다르지만
HD 720p의 경우 최소 12Mbps, 1080p 영상의 경우 22Mbps 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참고 :http://superuser.com/questions/434532/what-data-transfer-rates-are-needed-or-streaming-hd-1080p-or-720p-video-or-stan)
따라서 이는 쓰고계신 회선속도에 적절히 대입해서 계산하시면 될듯합니다.

또한 선택하신 PC사양 관련하여 순수하게 개인적인 의견을 드리자면
CPU : 최소 i7 6700(단, 저전력제품은 Passmark 점수가 비슷하다면 취향껏)
메인보드 : 필요한 sata 갯수를 만족하는 제품
램 : PC-17000 8기가
쿨러 :  ITX30은 높이가 낮은 쿨러로 일반 케이스에 쓰시기에는 성능이 떨어집니다. 일반번들쿨러 또는 판매순위 상위권의 3만원 전후 쿨러사용을 추천드립니다.
파워 : 400W 이상이면 차고 넘칩니다.

정도로 구성할것 같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cyan 2016-08
경험에서 나온 조언 감사드립니다.
일단 위에 얘기해주신 사양 정도면 기가랜 대역폭내에서는 대역폭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밀리지않는 시스템으로 구성이 가능하겠군요.
직접 해보시고 얘기해주시니 쉽게 감이 오네요.

쿨러는 나스 카페 등에서 ITX30 쿨러를 많이 쓰시길래 담아본건데 아마 좁은 나스용 케이스에 더 적합한 형태라 많이 사용이 되었나보네요. 랙마운트용 케이스에서는 오히려 말씀하신데로 번들쿨러나 상위권의 쿨러가 더 낫겠네요.

귀중한 시간내어 조언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쿨째즈 2016-08
그런데 요즘 휴대기기들이 동영상 재생능력이 엄청 좋아졌기 때문에

안드로이드에서 DS file과 mx player 설치해서 다이렉트 스트림 하면 트랜스코딩 필요 없고

IOS 기기에서도 Mplayer 니 하는 앱들로 webdav 로 연결해서 재생하면 트랜스코딩 필요 없이 원본 스트리밍으로 재생됩니다.

저는 N54L을 서버로 사용하는데 주변 사람들 그렇게 설정해줘서 사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는데 플렉스나 DS Video로 트랜스코딩하면 cpu 점유율이 거의 끝까지 올라갑니다. 물론 저사양 cpu라 그런것도 있지만

어쨌든 i7을 써도 윗분들 말씀처럼 10명을 동시에 트랜스코딩 하는건 말도 안되고 최대한 원본으로 스트리밍 하게 설정해주는게 보는 사람도 화질 열화 없으니 만족 스럽고 서버도 멀쩡하게 버틸겁니다.

플렉스에서도 다이렉트 스트림 되기도 하구요, dsfile과 mxplayer 조합이나 mplayer 사용법이 플렉스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다만 화려하게 나오지 않을뿐이죠

그외의 기기에서는 kodi 사용하면 될것 같구요


NAS
제목Page 217/308
2014-05   5244766   정은준1
2015-12   1770155   백메가
2016-08   6623   김경환M
2016-08   5837   BJ후늬
2016-08   5332   Neotrans
2016-08   5037   김유중
2016-08   7287   네모선장
2016-08   10188   Acura
2016-08   5942   나비z
2016-08   8818   cyan
2016-08   6704   메가날백
2016-08   9650   wanaud
2016-08   10664   나비z
2016-08   11917   크럭스
2016-08   8468   geniefix
2016-08   5688   NASchobo
2016-08   5417   rosiddl
2016-08   5661   미사카미코토
2016-08   14751   나노큐브
2016-08   4951   고수닷컴
2016-08   5510   김유중
2016-08   4103   Mi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