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 게시판에 같은 글을 올렸습니다. 스토리지 서버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조회 15128   추천 0    

회사 스토리지 서버 구축을 준비 중입니다.

원하는 구조 그림을 첨부했습니다.

스토리스 서버를 나스로 구성 할가 생각중이고요. 나스 보다는 목적은 스토리지 공유 서버 입니다.

편집기는 클라이언트에서 작업된 영상물을 빈번하게 가져다 작업함으로 10G 로 연결 하고 싶습니다.
편집기 역시 스토리지를 큰용량으로 가지고 있어서 나스에서 데이타 복사 해온후 결과를믈 다시 나스로 보관 실킬 예정입니다.

클라이언트 워크스테인션들도 나스부터 소스를 가져와서 작업후 결과물을 다시 나스에 저장 시킬 것이고요.
클라이언트 는 20대 이하  동접은 보통 5명이상 하지는 않는거 같네요. 현제는 내부 FTP망을 이용해서 사용중

원하는 나스의 스토리지 스펙은 일단 읽기 속도가 중요합니다. 큰 영상 파일들을 주고 받음으로 초당 2000MB 이상 읽기가 가능 했으면 합니다.


1. 질문 이런 구성을 나스로 하는데 문제가 있는지요


2. 스토리지 서버 (나스)를 구성 할때 읽기 속도가 2000MB 정도 나올려면 구성을 어떻게 하는게 가성비가 좋을지요

24베이 레이드6 정도로 구성할 생각입니다. 백업은 나스 서버 내부에서 해결 안하고 별도 스토리지에 일정 기간 마다 백업을 할 생각임으로 나스에 그런 공간이나 자원 할당은 생각 안하고 있습니다. 나스는 오로지 작업 할때마다 사용하고 작업이 완료 되면 데이타는 전부 삭제합니다.


몇달씩 작업을 함으로  안정적으로 돌긴 해야 합니다.


 히타치 4TB 나 6TB 하드 24 베이  샤시는 슈퍼마이크로 / CPU는  아직 미정   고속 레이드 임으로 CPU도 좀 좋아야 하는건지 고민 이네요.그리고 레이드 컨트롤러중 24port 로 속도 젤 잘나오는게 필요 합니다. 

 

파이버 채널은 샌 스위치등이 고가 여서 구성 하기 어려울거 같고 가성비로 셋팅을 해야 할거 같습니다.

의견 주시면 감사 하겠어요.
 

박문형 님이 전무가입니다.. 하하하
박문형 2015-12
전 전문가가 아닙니다.

2000MB 꾸준히 나와주는 스토리지 장비는 드물고 가격도 쎕니다..

http://www.accusys.com.tw/products/switch/swf16-v2.html

http://www.accusys.com.tw/products/storage/a12s3-ps.html

http://www.accusys.com.tw/products/storage/a16s3-ps.html

www.accusys.co.kr
아큐시스코리아와 상담해보세요..
박문형 2015-12
스토리지서버를 꾸미는데 CPU와 메모리는 그리 많이 차지 하지 않습니다.

SAS레이드 카드는 아답텍이 7씨리즈로 24체널이 있고 (8씨리즈가 더 좋지만 16체널 밖에 없음)
                            LSI는 캐쉬 달린레이드 카드 신형들은 거의 모두 8체널들입니다.

여기에 맞출려면 보드도 PCI-E 3.0을 지원해야 하며 E5-2620V3 급 이상이면 충분해 보입니다. (메모리는 16-32기가 정도)
     
은서아빠 2015-12
댓글 감사합니다..

Adaptec ASR-72405 RAID Controller : 이 컨트롤러 말씀 하시는건가봐요?

3.5" 히타치 울트라디스크 섹터사이즈 512 Hdd 24개 레이드 구성시 (레이드6) 얼마정도나 속도가 나올지 예측좀 되시나요?
박문형 2015-12
속도를 수치로 보증하라는 것은 쉽지 않기에
(레이드 카드쪽에서는 그런자료 잘 없고 보증도 안합니다. 환경에 따라 틀려지기에)

영상쪽이라 그런 보증이 중요한 것은 알지만 그런것을 다 검증한 장비들은 보통 한가격 하지요..

판매처(수입원)에 기술 자료 요청해보세요..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bmt&sca=&sfl=wr_subject&stx=adaptec&sop=and

여기에서는 요정도가 다입니다..
     
은서아빠 2015-12
24베이 테스트 자료는 구하기가 어렵네요.. 벤더쪽 자료들은 신뢰 하기가 쉽지 않은게 많더군요.. 도움이 되었습니다..
DDAYs 2015-12
하나로 합치면 좋지만, 합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들어갈 것들이 너무 많아 집니다.
차라리.. 개별로 하시는게 더 좋으실 것 같아요..

원활한 시스템 만드시려면 비용이 아마 생각 하시는 것 이상으로 들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파일 서버를 구축 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서버를 잘 굴릴수 있는
관리도 필요하고, 실제 구축해서 테스트 해보기 전에는 정확히 어디가 부족한 설계인지 알기도 어렵고..
이래저래 큰 난관이 많을거라 예상이 됩니다.
더욱이 대용량을 로컬 스토리지 처럼 사용하려는 경우.. 더욱 어려울 거라 생각 됩니다.

투자비용을 생각 하면 클라우드도 생각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AWS 세미나 가봤더니, 랜더팜을 클라우드화 하더군요..
규모가 작은 회사가 많은 하드웨어 비용을 필요할때는 클라우드가 오히려 답일 수도 있으니
잘 한번 검토 해보셔요..
김진규 2015-12
일단 랜카드 처리량이 20GBbps가 안되지 않나요?
인텔 10G랜카드 최대 처리량이 8Gbps로 알고 있습니다만
ruaths 2015-12
원하시는 SATA나 SAS 디스크에 RAID6로는 그런 성능이 나올 수 없습니다.

네트워크도 문제가 있지만 저대로 구성하게 되면 가장 문제되는건 스토리지 성능이네요. 1500 IOPS 정도로 20Gbps 면 IO size도 말도 안되구요.
     
은서아빠 2015-12
어느 정도 까지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파일하나 크기 8MB 이상 되는것들 읽고 쓴다고 가성 하고 3.5" 하드 24개 레이드 했을 경우 가능 한 최대 읽기 속도가 얼마 정도 일가요?

어떤 레이드 카드를 사용 하면 그정도 나올까요 ? CPU 성능은 얼마 정도일대 가능 한지 등이 궁금합니다
조현호 2016-01
영상 프로덕션에서 일해본 적이 있고 스토리지를 조립해서 편집에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우선 영상소스가 어떤것인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HD영상이 소니MPEG2 기준으로 보통 20Mbps 정도입니다.
(아마 캐논 5D의 MPEG4도 25Mbps 정도로 알고있습니다.)

멀티캠 편집이라면 좀 복잡해지지만
일반적인 영상편집이라면 보통 영상을 1트랙 쓰고 장면효과 줄 때 가끔 2~3트랙을 쓸겁니다
그러니 대충 평균 1트랙을 쓴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충 이런 기준으로 생각하고 조언을 드리자면...

기가랜을 쓰면 이론적으로는 5명이 편집이 가능합니다만
실제로는 4명정도 실시간 편집이 가능합니다.
기가랜이 처음 나왔을때는 이론상의 50%도 성능이 안나왔지만 몇년후부터는 리얼텍 같은것도 90%이상 잘 나와줍니다.

스토리지 서버단에서 2포트 티밍구성을 하신다면 넉넉히 8명은 동시편집이 가능하게 됩니다. 티밍을 지원하는 허브와 세팅이 필요하지만 윈도서버2012R2 에서는 일반 스위칭 허브를 써도 자동으로 로드밸런싱이 됩니다.

Raid는 별로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Raid5든 Raid6이든 간에 읽기는 하드수에 비례해서 적당히 늘어납니다.
요즘 4TB하드가 내주는 160M, 외주도 80M정도 나옵니다.
Raid0 기준으로 2개만 묶어도 5명 편집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실제로는 5명이 각기 다른 영상파일을 읽기 때문에 액세스타임으로 인해 전송속도 하락이 있지만 그리 심각하지 않습니다.
스토리지서버에 메모리를 16기가 이상 넣으시면 적당히 서버에서 캐시도 잘 돌아가기 때문에 더더욱 레이드성능은 신경안쓰셔도 됩니다.

영상 스토리지를 써보니 쓰기는 거의 쓸 일이 없습니다.
편집하며 수시로 저장을 해도 파일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고 프로젝트만 저장하니까요. 마지막에 렌더링걸고 최종파일 뽑을때도 저장위치를 편집PC 하드로 하면 됩니다.

결국 제가 추천하는 구성은 스토리지서버는 4테라 HDD로 필요한 용량만큼 Raid5(혹은6)으로 묶으시고 CPU는 싼거 쓰시고 메모리를 16기가 이상으로 맞춰주시면 되겠습니다. (윈도서버 기준으로 메모리를 많으 꼽을수록 알아서 레이드 읽기캐시 용도로 사용됩니다.) 랜은 10G 필요없구요. 기가랜으로 2포트 티밍으로 묶어주시면 됩니다.
스위치는 LACP지원이면 좋겠고 아니어도 상관없습니다.
편집PC는 CPU만 좋은거 쓰시면 되고, 필히 SSD를 써주시고 프리뷰렌더링 임시폴더를 자기 SSD로 경로지정해주시는 정도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픽카드는 내장도 별 문제 없고요. 4K, H264코덱을 쓰는 원본의 가속이나 에프터이펙트 쓸거 아니면 그래픽카드 좋은거 쓸 필요가 없습니다.

참... 쓰기작업 없더라도 UPS 꼭 쓰시는게 좋습니다.
조현호 2016-01
위에 말씀하신 분들도 다 맞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영상편집의 경우에는 생각보다 단순했습니다.
그냥 부딪혀보시면 의외로 쉽게 풀립니다.
카메라 기종, 영상화질과 포멧, 5명이 동시에 어떤 작업들을 하는지 상세히게 알려주시면 좀 더 도움을 드릴 수 있을것 같습니다.
epowergate 2016-01
어떻게 해도 원하는 성능 나오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제 만들어 놓으면 그렇저럭 돌아갑니다.
NLE가 WS에서 Cacheing을 하기 때문에 생각만큼 큰 IO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생각하시는 구성으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구성 파트에 돈 아끼지 마세요. 나중에 후회하고 1~2일 까먹으면 인건비도 나오지 않습니다.
특히 Network, Storage Server, 10G NIC에 아끼지 마세요.

DISK는 무조건 Enterprise 급 (5년 AS되는 물건들)으로 하세요.


제목Page 30/56
2014-05   5269031   정은준1
2015-12   1794110   백메가
2015-12   26937   Pinocchio
2015-12   18474   정도사
2015-12   19751   카운티
2015-12   15755   쫑쫑쫑
2015-12   14459   바보바보
2015-12   14287   JSYoon
2015-12   14343   디스토리
2015-12   14233   나우니스
2015-12   18344   thisway
2015-12   13040   이민우
2015-12   15129   은서아빠
2015-12   8228   신현준
2015-12   13573   justin1
2015-12   12654   김현린
2015-12   15435   DoubleSH
2015-12   10863   푸하히
2015-12   10562   태지여
2015-11   13673   Gleam
2015-11   13580   캔위드
2015-11   12708   캔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