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드 5 를 위한 최적의 벤더 제품이 있을까요?

김주현   
   조회 20622   추천 0    

레이드 5를 위한 환경 과 필요한 장비 는 어떤게 있을지 궁금 합니다.

현제 저는 일반적인 메인보드 상의 레이드 0 (시한폭탄) 을 주로 사용 하고 있고

시스템 오프를 하지 않는 그냥 저장소 개념의 상태로 사용중입니다.

(정전되면 폭탄 터지거나 안터지거나...)


점점 고용량의 데이터를 만지다보니

레이드 0 같은 시한폭탄은 더이상 손을 대지 못하고 있습니다.


레이드를  0 해도 별 문제 없겠지 같은 흐리멍텅한 생각을 자주하는 저로선

(그러다 얼마전에 싸그리 말아 먹긴했지만... ㅠㅠ)

레이드 5 를 위한 공부도 지금 하고자 생각 중입니다.

(얼핏 읽어보고 들어보니.. 안정적이다라는 말들이 많아...)


구성하는대만 해도 시간 소요도 클것이고.. 만들어 두면 좋을거라는 생각 뿐..


인터넷 상에 돌아다니는 글들 읽어 보아도.. 장비에 대한 글은 거의 없고 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만...

사타 는 이제 슬슬 나스에만 넣을 생각이고

사스로 백업 서버를 운영하고자 하는대

벤더 제품중 가장 안정적인 것이 어떤건지

잘 아시는 분계신다면 실례를 무릅쓰고 힌트라도 부탁드립니다.

조립 서버도 나름 좋긴하겠지만.. 그래도 벤더 제품 특유의 안정성을 좋아하다보니...

....

송주환 2018-05
데이터 종류와 용량이 어떻게 되시는지요
     
김주현 2018-05
주로 오토캐드 저장 파일 및 영상 파일이 주를 이룹니다
용량은 최대 한계선 까지 잡을 생각입니다.
현제 사타 사용 시 6테라 x 12개를 2개씩 묶어서 사용했습니다.
다 채운건 아니지만서도.. 레이드 0 의 무서움을 한번더 느껴서..
정말로 갈아타볼 생각입니다 흑흑..
          
송주환 2018-05
콜드 데이터고 아카이빙 용도이시라면 레이드보단 별도의 백업 매체를 운용하시는 게 맞습니다.
               
김주현 2018-05
흠.. 그럼 고용량 HDD 구매해서
 미러 식으로 하면 괜찬을가요?
                    
송주환 2018-05
작업 환경은 RAID6이나 1+0으로 유지하시고, 백업은 LTO 구매하셔서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최대 72테라면.. 중복 백업본까지 감안하면 144TB + a이므로.
     
김주현 2018-05
24시간 풀로 사용 할것이고
UPS 는 따로 가지고 있습니다.
3년동안 정전 딱 한번 당해본거 빼곤..
배터리는 주기적으로 교체중입니다..;;
박문형 2018-05
레이드 장비는

외장 독립형 장비와

내장 레이드 카드형의 스토리지 서버가 있고

벤더 제품에서 찾는다면 벤더의 스토리지 기술영업쪽을 찾아 상담하시기 바라며

외장 독립형 장비는 벤더든 조립브랜드든  개인이 사용하기에는 상당히 비쌉니다..

지정된 벤더 업체가 있으신지요??
     
김주현 2018-05
일단.. 델... (델이 원수 이긴하나.. 쿨러빼곤 좋아서.. ㅡ.ㅡ;;;)
제 담당자는 지금 휴가 중이라고 전화도 안받아서.. 허허허
          
박문형 2018-05
DELL 은 외장 독립형 장비가 EMC 제품이 OEM으로 들어 있습니다..

EMC는 개인이 사용하는 장비가 아닙니다만 최소 억단위 부터 가격이 시작될 것입니다..

돈으로 시작해서 돈으로 끝나는 장비라고 봐야죠..


어쨌던 담당자가 있으면 담당자랑 상의하는게 재일 좋습니다..


http://www.dell.com/kr/business/p/disk-arrays

요쯤에서 생각을 시작하면 되는데 EMC는 저 4개의 스토리지 어래이군에서 재일 비싼 첫번째이고

두번째나 세번째 등급의 어레이에서 제품 선정이나 상담을 하시면 될 듯합니다..
     
김주현 2018-05
비용은 그다지 크게 생각 안합니다...
데이터가 우선이라...
          
박문형 2018-05
그리고 아무리 좋은 레이드 장비라도 신이 만든 것이 아니기에 고장이나거나 데이터가 날라가는 일이 발생하며

재대로 하려면 백업장비나 이중화(같은 장비 두개 놓고 노가다 카피를 하더라도)를 해야 합니다..
박문형 2018-05
조립 스토리지 서버로는 다음 제품이 많이 사용됩니다..

슈퍼마이크로가 그나마 재일 안정적이며 대학교 랩실등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http://www.2cpu.co.kr/hardware_2014/36546?&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http://www.2cpu.co.kr/hardware_2014/36560?&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http://www.2cpu.co.kr/hardware_2014/37935?&sfl=wr_name%2C1&stx=%B9%DA%B9%AE%C7%FC&sop=and


레이드 카드는 조립제품으로는 아답텍과 LSI 제품이 존재합니다..
     
김주현 2018-05
음.. 일단.. 따로 백업 장비를 생각 해야겠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신이 만든 장비도 실수는 할터이니..
그걸 방지하기위해 백업준비는 기본이라 생각이 들게 됬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
박문형 2018-05
데이터는 3군데만 독립적으로 카피해두면 데이터 망실되는 비율이 굉장히 줄어든다고 합니다..


개인이 쓰긴 무리지만 영상 장비쪽 솔류션으로 이런 것도 있습니다..

http://www.accusys.com.tw/ExaSAN/SW16-G3/

국내에 지사가 있고 견적/제품 공급 가능합니다..
하림 2018-05
SMB의 스토리지 서버만 보면 조립은 프리나스, 구매는 시놀로지라 생각해요.
elkiselee 2018-05
레이드 5도 레이드0 만큼 위험하고요

저 처럼 게으른 사람은 레이드 1이 마지노선 인것 같습니다

금액의 문제로 대용량 자료들은 레이드 6을 쓰긴 합니다
anti2cpu 2018-05
레이드 10으로 두대이상 조립해서 쓰는건 생각해보셨나요?
전 레이드0으로 2~3대를 가동합니다
오펠 2018-05
시놀로지 DS2415+ 추천합니다
디스크 12개 들어가니까 레이드6로 10개 잡구요 1개 핫스왑 걸고 1개 SSD 캐쉬셋팅
정품이라 주기적으로 자동 패치되고 각종 로그들 다 남고 이메일 셋팅해주면 장애 발생시 이메일 날아오고
UPS도 지원하니 연결해두면 전원 로그도 날아오고..
동일한거 한대 더 구축해서 집이나 다른 사무실에 놓고 클라우드 백업 걸어두면 자동동기화 하고..
NAS같은게 한번 설정하면 한참쓰기때문에 셋팅값 잊어 먹고 다시 고생하고 하느니 정품으로 한방에 가세요
김골뱅 2018-06
저라면 시놀 두대사서 1대는 저장, 나머지 한대는 저장한 데이터의 백업 용으로 쓰겠습니다.


제목Page 20/56
2014-05   5234452   정은준1
2015-12   1760777   백메가
2018-06   16729   우럭아왜우럭
2018-06   16709   회상2
2018-06   19235   영산회상
2018-05   22287   isahsi
2018-05   25545   gentoo
2018-05   23729   착하게살자2
2018-05   20623   김주현
2018-05   17663   김주현
2018-04   17945   죠슈아
2018-04   15740   이희주
2018-04   10905   isahsi
2018-04   16608   송주환
2018-04   10952   철이님
2018-04   8835   자울자울
2018-04   10108   TLaJ3KtYGr
2018-04   10852   애니악
2018-04   12314   나노큐브
2018-04   11856   야상곡
2018-04   11204   분출수
2018-04   10698   빨간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