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sata ssd 4개 레이드 질문해봅니다.

까르   
   조회 8834   추천 0    

http://m.photoviewer.naver.com/blog?listUrl=https%3A%2F%2Fm.blog.nave… (408)
http://m.photoviewer.naver.com/blog?listUrl=https%3A%2F%2Fm.blog.nave… (363)

MX500 SSD 250GB 4개로 레이드를 하려는데 생짜 초보라 질문해봅니다...

인터넷이 조금씩 검색해본 결과 raid 1+0 이나 0+1로 하는것이

용량은 반으로 줄지만 안정성이 좋다고 해서

Vmware player를 여러개 돌릴때 좋을거같아 질문해봅니다..

(가상웨어 6개 이상을 하려 합니다.)

1. 이런 방식은 소프트웨어로 하나요? 하드웨어로 하나요?

2. 읽기속도나 쓰기속도가 가상웨어 실행할때 체감될 정도로 좋아지나요?

3.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되어서 사용할 수 있나요? 

4. 레이드 말고 NVME ssd 하나로 가상웨어 6개 이상 돌리려하면 프리징 일어나나요?


레이드 0+1 1+0 링크 올려봅니다. 

1 0이면 패리티 계산을 안하기때문에 하드웨어로하든 소프트웨어로하든 성능차이는 거에없을겁니다
안전성차이는 요즘은 스프트도 거에 문제없는것같더라구요

가격이 허락한다면 nvme 를 1로 구성하는것도 나빠보이지않습니다~
ssd4개를 01 10로해봐야 성능은 두개를1로 한거랑 똑같고
이성능은 nvme보다 후달리는성능이라서 차라리 nvme가 더낫다고봅니다
     
까르 2019-03
요즘은 별 차이 없나보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간장게장 2019-03
SSD도 SSD 나름인데요.
MX500이면 상당히 괜찮은 SSD입니다만 기업용이 아닌 일반용 SSD입니다.
일반용 SSD들은 SATA이건 NVMe이건 싱글 데스크탑용으로 만들어진 SSD입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돌린다든지 여러개의 가상머신을 돌린다든지 하는 경우에는 일반용보다는 기업용 SSD가 바람직합니다. 특히 RAID로 묶는 경우에도 그렇습니다.

일반용과 기업용의 차이는 전원이 나갔을 때 캐시 안의 내용을 보호하는 기능이라든지 URE가 발생할 확률이 적다든지 등도 있지만 random write 성능 차이가 큽니다.

일반용 SSD들의 4k write 성능은 대개 10kiops 미만입니다. NVMe SSD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용 NVMe SSD 중에 25kiops 정도 되는 것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 10kiops 미만.(burst 성능이 아니라 sustained 성능을 말함)

기업용들도 4k write 성능은 일반용보다는 좋지만 천차만별입니다.
10kiops 정도로부터 시작하여 200kiops까지 다양합니다. 그리고 optane SSD의 경우에는 500kiops에 이릅니다.

며칠 전에 장터에 HGST 400GB SAS SSD가 나왔었는데요. random write 성능이 70kiops였습니다.
MX500 SSD 8개를 RAID 0으로 묶어도 이것 하나를 당하지 못합니다. 물론 HGST SSD를 raid로 묶으면 성능이 더 좋아지겠지요.


웹서핑 등 보통의 데스크탑 용도로 쓰는 경우에는 일반용이나 기업용이나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용이나 여러개의 가상머신을 돌리는 경우 등에서는 큰 차이가 납니다. random write 성능이 중요합니다. read/write 중에서 read 비중이 많은 경우에도 write가 30% 정도만 되어도 write 성능에 크게 좌우됩니다.

raid로 묶는 것보다 먼저 업무에 적당한 SSD를 고르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느린 SSD 10개를 raid로 묶어도 빠른 SSD 하나를 못당하니까요.
random write 성능 같은 것은 SATA냐 SAS냐 NVMe냐 등의 인터페이스보다는 기본 실력이 중요합니다. 10kiops도 안되는 NVMe도 있고, 50kiops인 SATA도 있고, 200kiops인 SAS도 있습니다. 물론 100kiops 넘는 NVMe도 있습니다.

가장 성능 좋은 SSD는 optane SSD인데 그것은 가격이 매우 비쌉니다. 기업용 NVMe SSD 중에서 인텔 P3600 1.2TB는 상당한 성능입니다.(50kiops) 이거 10개를 raid 0으로 묶어야 optane SSD 하나의 random write 성능이 나옵니다. 일반용 SATA SSD로는 50개를 raid 0으로 묶어도 안나오는 성능이지요.

random write 성능 외에도 순차 읽기 순차 쓰기 random 읽기 등이 있지만, random write 성능이 중요하기에 강조해 보았습니다.

이상은 딴 얘기이고요.

4개를 raid 10으로 묶으면 읽기 속도는 4배 쓰기 속도는 2배로 증가하고 용량은 2배 증가합니다.(예전의 raid로는 읽기 쓰기 모두 2배 증가)
raid 0, 1, 10의 경우에는 software raid도 쓸만 합니다.

4번 질문의 경우 NVMe도 NVMe 나름입니다. 가급적 기업용 NVMe를 선택하시고, 그중에서도 4k write 성능이 좋은 것을 선택하시면 좋습니다. 일반용 NVMe SSD들은 sustained random write 성능(4k)이 10kiops 미만인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용 SSD spec에 나오는 수치는 burst 성능입니다.
     
까르 2019-03
개인이 하기에는 그냥 좋은 SSD하나 다는게 방법이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comefeel82 2019-04
??? 무슨 말을 하는건지 ?
대부분 요즘 나오는 sata ssd 는 100kiops 에 근접 합니다.
mx500만 하더라도 90-95 kiops 인데 무슨 소리인지 ?
10iops ??????
단아 2019-03
1. 이런 방식은 소프트웨어로 하나요? 하드웨어로 하나요?
안정성을 위해서는 하드웨어 방식을 권장합니다.

2. 읽기속도나 쓰기속도가 가상웨어 실행할때 체감될 정도로 좋아지나요?
실행할때 차이는 어디 속도 기준인지 몰라서...

3.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되어서 사용할 수 있나요?
RAID 구성은 1개의 논리볼륨으로 인식됩니다.

4. 레이드 말고 NVME ssd 하나로 가상웨어 6개 이상 돌리려하면 프리징 일어나나요?
프리징이 발생한다 라는건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단순 SSD 만으로 프리징이 일어난다 단정 지을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제목Page 17/56
2014-05   5251207   정은준1
2015-12   1776256   백메가
2019-04   4882   방어진과메기
2019-04   4910   새옹지마아
2019-03   10004   더블로
2019-03   6716   ocm10gr2
2019-03   6486   진이랑께
2019-03   7940   refreshair
2019-03   8022   쉐도우11
2019-03   8835   까르
2019-02   7561   프레지던트
2019-02   7572   올닉스
2019-02   9564   두봉
2019-02   6470   motion
2019-02   7449   올닉스
2019-02   9439   kakei
2019-01   8173   HenryIm
2019-01   7708   kakei
2019-01   7254   일리케
2019-01   7331   YUNCOM
2019-01   9829   epowergate
2019-01   7375   Y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