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고언 감사합니다.

박형주   
   조회 14944   추천 17    


우선..저는 1394하구 저가형 편집보드가 있어서.. 그냥 1394를 사용할까 생각중입니다.
여건이 되면 적정선의 편집보드를 구입하면 좋은데.. 학생이라.. 그리 여의치 못하네여.
물론..디지털 편집이 목적이구여... 주로 프리미어와 애프터 이팩트를 사용하려 합니다.
출력부분은 학교장비를 이용할생각이구여.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생각이구여.

추천사항이나 교체할 부분좀 고언해주셨음..^^:





>영상편집에는 3가지 과정이 있다고 봅니다.
>입력, 처리, 출력 이 세가지입니다.
>
>- 입력
>  아주 많은 복잡한 방식을 간단히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디지탈 방식은 IEEE1394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는게 대세이고 아날로그는 저가형으로는 TV수신카드나 VIVO기능이 있는 통합형 비디오 카드를 이용하고 그외에는 중,고가의 별도의 내외장 장비가 필요합니다.
>
>- 처리
>  영상편집을 처리하는데 있어 2가지 큰 범주로 나누면 효과와 편집 위주의 작업과 포맷변환의 작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자는 Source에 다양한 효과와 편집을 가하는 작업으로 S/W와 H/W(편집장비)에 의존성이 높고 후자는 Source를 간단한 편집이나 편집없이 다른 형태로 변화하는 것으로 컴퓨터 성능에 의존한다고 봅니다.
>  편집과 효과 위주의 작업은 편집장비 성능이 절대적이고 그에 따르는 S/W와 시스템 성능이 받쳐주어야 합니다. 요즘 저가형 디지털 편집의 경우 S/W적으로 효과와 편집을 하는데 H/W를 이용한 작업과는 양과 질의 차이가 납니다.
>  포맷변환시 예전에는 MPEG보드 같은 것을 이용했지만 요즘은 너무도 다양한 영상코덱의 출현으로 특정포맷이 아니고는 인코더를 사용하기 보다는 코덱과 CPU, S/W에 의존해서 포맷변환을 합니다.
>
>- 출력
>  전문 작업의 경우 위의 두 작업에 드는 비용보다는 어쩌면 이 작업의 비용이 더 많이 들수 있습니다. 수많은 출력 형태가 존재하고 그에 따르는 장비도 만만치 않습니다. 처리부분의 포맷변환이 이 범주에 들어 갈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저가형이나 개인 작업시에는 디지털 매체(CD, DVD, DV-TAPE 등), 아날로그 매체(Video-Tape 등), 라이브 매체(Web, TV 등)로 출력하는 정도라 봅니다.
>
>
>우선 본인이 작업하려는 동영상 편집이 편집위주인지 포맷변환 위주인지 판단해야 합니다. 편집위주라면 편집장비를 써야하고 디지털인지 아날로그 위주인지 아니면 하이브리드인지를 판단하여 내장이나 외장장비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내장을 쓸경우 AMD듀얼 계열은 피하시고 싱글이나 다른 듀얼을 쓰시면 됩니다. 컴퓨터보다는 편집장비의 성능이 중요하기 때문에 요즘 나오는 높은 클럭의 싱글CPU 컴퓨터도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습니다. 외장을 사용할 경우 선택의 여지가 별로 없습니다. 저가나 보급형의 경우 장비도 별로 없고 더구나 디지털용은 더 없고 성능도 그리 만족할만 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아닌 이상은 쓸게 못 됩니다. 고급형은 단순 장비라기 보단 시스템에 가까우니 개인이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포맷변환 위주인 경우 AMD계열의 빠른 속도가 큰 도움이 됩니다. 듀얼은 기본입니다. 편집장비 없이 S/W를 이용하는 경우 추천 할 수 있습니다. 다만 HDD는 SCSI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IDE는 오래 못 버팁니다.
>
>지금 적어주신 사양은 너무 애매합니다. 포맷변환 위주로 꾸며서 편집장비가 필요없다 해도 디지털 캠코더를 사용한다면 IEEE1394 인터페이스 카드가 아날로그 장비(아날로그 캠, VTR, TV등)를 주로 사용한다면 VIVO기능이 있는 통합 비디오 카드나 TV수신카드 정도를 넣으셔야 합니다. 외장형 USB나 IEEE1394용 편집장비를 이용하신다면 사양 따지실 필요 없구요.
>그리고 편집 위주라면 AMD듀얼은 포기하시고 편집장비에 비용을 투자하시면 됩니다.
>편집과 포맷변환 둘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제대로 영상편집한다는 것이고 제온 듀얼에 사정이 허락하시는 편집장비 사용하시면 됩니다. 비디오카드 보다는 오디오 카드에 조금 더 신경 쓰시고 듀얼 모니터 쓰시는 것도 고려해 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작업용 HDD는 SCSI쓰셔야 하고 백업용 매체를 충분히 준비해 두어야 합니다.
>
>두서없지만 제글을 참조하셔서 어느정도 정리를 하시고 다시 질문해 주시면 다른 분들도 추천 사양을 올려 드릴겁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5709/5725
2014-05   5244562   정은준1
2015-12   1769958   백메가
2002-05   16096   김경락
2002-05   15883   박형주
2002-05   14945   박형주
2002-05   15352   김승일
2002-05   16562   한승목
2002-05   16248   박학준
2002-05   16768   임병기
2002-05   16367   김우성
2002-05   17925   김우택
2002-05   16837   김경락
2002-05   15747   양승원
2002-05   16200   김동희
2002-05   17212   이진희
2002-05   16199   임병기
2002-05   16234   양승원
2002-05   16860   박형주
2002-05   17698   홍준흠
2002-05   17008   김상우
2002-05   20868   김재식
2002-05   16945   장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