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셋팅은 아니지만 그냥 ...

송중섭   
   조회 10526   추천 12    

메뉴얼에 나와있는것은 아니지만 어디선가 긁어서 놓은것에 있네요. 그냥 참고로 읽어주시고, 램 속도 셋팅하는것은 민감하죠. 설정하다가 안되면 CMOS지우고, 램도 뺐다가 끼었다가.. 휴. 아무튼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 SDRAM Configuration (By SPD): 램의 타이밍을 맞추는 곳으로, 램 속도에 맞는 시간을 선택 기본값은 SPD(Serial Presence Detec)인데, 이것은 대응 클럭, CAS 레이턴시 등 메모리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일종의 ROM이므로 이를 토대로 할 것을 결정한다.

2. SDRAM CAS Latency Time (2T): .SD램의 CAS(Column Address Stobe)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메모리의 열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신호. 즉, CAS에서 데이터를 출력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클럭수를 의미한다. SD램에서 바이오스 설정 가능한 것으로는 메인보드의 칩셋과 동작모드. 액세스 속도, 클럭 주파수 등이 있다.

3. SDRAM RAS to CAS Delay (3T): 행방향 액세스(Row Access Strobe)에서 열방향 액세스(CAS)로 전환하는 데 걸리는 클럭 사이클의 합계 RAS에서 CAS로 변환하는데 걸리는 클럭 사이클의 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작을수록 좋지만 에러가 생기면 시간을 늘려 주면 된다.

4. SDRAM RAS Percharge Time: 데이터를 읽어낸 후 SD램을 다시 액티브한 상태로 해서 RAS를 설정할 수 있을 때까지 필요한 클럭수를 나타낸다. 물론 수치가 낮은 쪽이 고속이다.
DRAM의 리프레쉬를 위해 전하를 충분히 충전하기 위한 시간을 지정하는 항목이다.
RAS(Row Address Strobe) 신호에 할당된 CPU 클럭의 수를 선택해야 하는데, 이 클럭은 작을수록 좋으므로 가장 작은 3을 선택하면 된다. 만약 3을 선택했을 때 문제가 생긴다면 4로 늘려주면 된다.
 
5. DRAM Date Intergrity Mode: 일반적인 64비트 DIMM을 사용할 경우에는 Non-ECC로, 에러 보정 기능이 있는 72비트 DIMM을 사용할 경우에는 ECC로 설정. ECC 동안 단일 비트의 검출과 다중 비트 에러, 단일 비트에러의 회복을 허용하는 DRAM ECC의 사용 여부를 결정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5501/5730
2014-05   5267310   정은준1
2015-12   1792264   백메가
2003-05   11731   김건우
2003-05   10868   손재훈
2003-05   10527   송중섭
2003-05   8703   윤대옥
2003-05   10248   이경환
2003-05   9139   이창묵
2003-05   11093   이영식
2003-05   10599   임준석
2003-05   10561   김영기
2003-05   9993   김영기
2003-05   11216   송중섭
2003-05   8881   고현묵
2003-05   10278   손재훈
2003-05   10934   이중희
2003-05   11142   박이웅
2003-05   11046   한창호
2003-05   11235   손승연
2003-05   10852   한창호
2003-05   11539   이승현
2003-05   11123   박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