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 Asus CUSL2-C
Ram : samsung pc133 256+128
CPU : p3-1G(133) 코퍼마인
HDD : 삼성 40G(7200rpm)
OS : w2k-ad server sp 4
인텔패치+어플리케이션 악셀레이터 적용
[ 메모리 읽기 ]
Asus CUSL2-C i815EP 988 MBps
[ 메모리 쓰기 ]
Asus CUSL2-C i815EP 266 MBps
집
M B : Tyan S2507D Tiger 230
Ram : samsung pc133 256+256 ecc/reg
CPU : p3-733*2(133) 코퍼마인
HDD : 삼성 40G(7200rpm)
OS : w2k-ad server sp4
VIA Hyperion 4in1\" v4.51 적용
[ 메모리 읽기 ]
Tyan S2507D Tiger 230 ApolloPro133A/XDP 937 MBps
[ 메모리 쓰기 ]
Tyan S2507D Tiger 230 ApolloPro133A/XDP 171 MBps
측정 소프트웨어 AIDA32 v3.85(한글)
위의 내용대로 입니다. 한대는 제가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PC이고, 듀얼이 바로 집에서 사용하는 컴입니다.
동일한 OS에 거이 흡사한 프로그램 설치와 비슷한 설정의 최적화가 되어 있고. 동일한 회사의 동일 제품의 하드드라이브의 5G 파티션에 OS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추가 하드와 ODD는 우선 중요치 않은것 같아서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에서야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지만.. 동영상 작업을 할때 간혹 보면 회사의 컴이 더 빠르다고 느껴 지던 경우가 많더군요.
그래서 램 벤치마크를 돌렸더니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군요..
맨처음에 측정할때 집에서는 위의 수치보다 한참 더 낮은 결과가 나오더군요.
바이오스에서 ecc기능을 죽이고 측정하니 읽기 성능은 거의 비슷하게 나오는데 쓰기 성능은 많이 떨어지네요.
보드의 성능 차이 때문일까요? 아니면 램의 차이때문일까요?
그것도 아니라면 제가 세팅해줘야 할 것 중에서 뭐하나를 빼먹은것이 있는걸까요?
바이오스 셋업의 경우에도 제가 아는 항목에 한해서는 거의 동일하게 맞춰줬고(물론 동일한 바이오스가 아니기때문에 상이한 면도 있겠지요) 소프트웨어 적인 세팅은 거의 똑같다고 할수 있는데..
아무리 머리를 쥐어 짜도 탁 떠오르는 해답이 없어서.. 2cpu가족들에게 조언을 구합니다.
고클럭 싱글이 저클럭의 듀얼보다 작업속도가 더 빠를 경우가 있다는것은 알고 있지만. 그것의 경우 P4와 P3의 경우에서 그렇다고 생각되는데.. P3 1G와 P3-733*2의 경우라면 듀얼이 조금더 성능이 좋아야 되는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그러나 작업을 해보면 체감속도나 최종 출력속도나 싱글쪽이 더 빠르게 느껴지더군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