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설정에 대해 몇 가지 답변

이정훈   
   조회 6005   추천 7    

네임서버 잡아본지가 어언 6년 전이라 생각나는데로 몇 자 알려드립니다.
답답하신 것 같은데 선수들이 안 나셔서... 은퇴한 저라도... 쿨럭...


1. 네임서버는 각각의 conf 화일에 들어가서 설정한다.
맞습니다. 다만 conf 수정 끝나면 named 데몬을 리셋하셔야겠지요.

2. 1,2차로 네임서버를 잡는 이유
네임서버의 경우 Primary와 Secondary를 잡는 이유는 네임서버의 중요도 때문이지요.
도메인 등록할 때도 근본적으로 1,2차 네임 서버를 잡게 하구요.
대부분 중소규모의 네임서버는 2차를 안돌립니다. 2차 네임서버를 튜닝해서 상호 캐슁이나 이런 부분에 문제가 없게 해야 하는데 사실 그런 작업이 쉽지 않습니다. ISP 수준이라면 당연히 해야 하지만... 예전에 인터넷 대란의 아픔도 좋은 예가 되죠. 2차 네임서버는 그냥 eth1 정도로 잡아 주고 설정 안하면 1차에서 resolving은 끝나죠. 공부하는 수준이거나 ISP가 아닌 회사의 기본 네임서버 수준이면 잡지 않아도 됩니다.


3. 네임 서버를 잡는 맥

1) ROOT DNS의 설정
전 세계적으로 ROOT가 되는 DNS가 있습니다. root.cache 화일인가... ftp등을 통해 오픈되어 있는 화일이 있으니 받아오시면 되구요.

2) .rev의 설정
ftp나 보안 요구로 인해 IP zone과 NAME을 뒤집는 과정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건 꼭 하셔야 ftp나 https 등의 문제가 없습니다.

3) resolv.conf는 도메인을 resolving하는 기본화일이니까 도메인명과 돌아갈 네임서버 주소등(자기 자신)을 기재하죠. 아주 간단한 포맷입니다.

4) zone화일은 마침 PC에 남아 있었네요. CNAME하고 MX는 확실히 공부하고 만드셔야 함다. (보안상 글자 몇 개 지웠습니다.)

===========================================================================
wcom zone file
===========================================================================
@      IN      SOA     ns.wcom.co.kr. root.ns.wcom.co.kr. (
                        961222  ;Serial
                        43200   ;Refresh (12h)
                        1800    ;Retry (30min)
                        302400  ;Expire (7d)
                        43200)  ;Minimum (12h)
;
; domain
        IN      NS      ns.wcom.co.kr.
        IN      A       203.238.222.22

;host information
;
localhost               IN              A               127.0.0.1

wcom.co.kr            IN              A               203.238.222.24  
                      IN              A               203.238.222.22  
wcom.co.kr.           IN              MX      0       203.238.222.22.
$ORIGIN                 nowcom.co.kr.
wuri                 IN              A               203.238.222.24
jang                 IN              CNAME           wuri
irc                     IN              CNAME        wuri
=======================================후략====================================


5. 기타 유의사항
네임서버를 등록하고 이것이 제대로 동작하는 확인할때는 nslookup을 쓰죠. 단, Name server는 세계적인 DNS 간의 캐슁이 생기므로 완전히 잘돌아가는게 확인되려면 한 3-4일은 소요됩니다.
내가 네임서버를 잘 잡았는지 확실히 확인하려면 일주일 후 쯤 뭐 미국의 대한 unix 계정 같은데서 nslookup 해보면 되겠죠.

사실 공부하다 안 나오는 얘기나 좀 잡아드리려 했는데 더 복잡해진 건 아닌가 싶네요.
분명히 요즘에는 리눅서도 많고 CSA 같은 분들도 많으니까.. 자료 찾아보면 쉬울 겁니다.

Good luck~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4755/5727
2014-05   5250708   정은준1
2015-12   1775784   백메가
2006-04   7926   김희진
2006-04   5980   강영식
2006-04   5823   오상훈
2006-04   6181   송영오
2006-04   5913   윤영배
2006-04   6122   이문흠
2006-04   8389   이상근
2006-04   5797   이승현
2006-04   5874   최원식
2006-04   6167   박기두
2006-04   6940   박기두
2006-04   6655   박기두
2006-04   6006   이정훈
2006-04   6131   채윤성
2006-04   5911   곽태영
2006-04   5950   박광덕
2006-04   6036   김용수
2006-04   5750   김병우
2006-04   10453   박광덕
2006-04   5980   김병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