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 50 과 raid 6의 차이는 무었인가요?

미수맨   
   조회 29648   추천 0    

인터넷 글 찾아 읽어도 잘 모르겠습니다. 하드 15개를 묶을 경우에 속도는 어느쪽이 빠르고 안정성은 어느쪽이 더 나은지 가르쳐주십시요.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몽몽 2009-05
raid50 - raid5 를 다시 raid0 (stripe)로 묶은 것
raid6 - radi5가 디스크 1개 fail(1 parity)까지만 버티는것에 비해 디스크 2개 fail(dual parity)까지도 버텨줌,

IO성능은  2개이상의 stripe 볼륨을 쓰는 raid50 이 디스크를 더 많이 사용하는 만큼 더 빠르죠
사용되는 디스크 수량과 성능은 tradeoff 관계로 생각하면 됩니다.
배창언 2009-05
레이드의 안전성은 하드한두개 죽어도 데이터가 살아있다죠.

한명한명 사용자가 HDD를 몇개수준에서 이용할때는 고장날 확율이 낮은데 죽어도 정신적 데미지가 크긴 하지만 그냥 운이 안좋았구나하는 빈도로 나타나지만 서버같이 수십~수백개를 이용하면 한개라도 고장날 확율은 더욱 높아지죠. 안에 들어있는 데이터는 가치가 높을수록 보호를 위해 돈을 더욱 들이죠.
레이드는 자동 백업이 아니죠.
단지 그때 그때 하나라도 죽었을때 복구가능하다는거죠.
물론 레이드기능을 이용하면서 관리문제로 날리기도 하죠..
2009-05
어떤 경우이든 레이드이야기나오면 빠지지 않는 것이 백업이죠.

중요한 데이터라면 한카피라도 백업본을 유지하는것이 현명한거죠.
2009-05
RAID 50, 6 두가지 모두 제가 써보지못한 구성이라 말씀드리기 좀 그렇지만 카더라통신의 얘기를 전해드리면 이렇습니다.

성능에대해서는 레이드6의경우 워낙 속도가 안나와서 실무에 쓰는곳이 거의 없다는 얘기가 있구요,

레이드50은 적당한 디스크가용성과 성능으로 디스크 갯수가 많을경우 종종 쓰인다고 하더군요.

가용 디스크용량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레이드50은 3개씩 5세트를 묶으면 가용 용량이 (3-1)*5=10개 가 되구요,

레이드6는 15-2=13개가 되어서 30%의 용량 증가 효과가 있네요.
이호동 2009-05
단순 계산으로 뽑아보면...

예를 들어서, 10개 1테라 하드로 레이드 50, 6을 구성했다면..

속도야 하드 10 개 이상 묶으면 어차피 레이드 카드 전송 대역폭에 걸릴테니 비슷할테고..

총 사용 가능 용량은
50 : 4 테라
6  : 8 테라

하드가 몇개까지 죽어도 데이타가 살아 있을까는..

50 : 운 좋으면 하드 6개가 동시에 죽어도 데이타가 살아 있고,
    운 나쁘면 하드 4개가 동시에 죽으면 데이타가 날아간다.

6 : 운이 좋으나 나쁘나 하드 3개가 동시에 죽으면 데이타가 날아간다.

그 정도 차이...


백업은 다른 장치에 항시 한다고 해도,

사용중인 최신 데이터가 사용중에 운 나쁘게 하드가 죽어서 날아간다면 슬프죠.

개인사용자가 레이드를 0이 아닌 이유로(속도가 아닌) 사용한다면 위의 이유일것 같습니다.


요새 하드가 좋아서 잘 안 죽는다고 쳐도, 혹시라도, 만에 하나라도 죽을경우, 그에 대한 대비겠죠..


관리 문제로 날리는건 레이드만의 문제가 아니라 단일하드를 써도 마찬가지이니까요.

레이드는 소프트웨어적인 문제가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문제에 대해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인 용도로, 요새 하드들은 2-3개가 동시에 죽을 확률은 얼마 안될테고요.

관리를 안해서 하드가 차례차례 죽어 나가도 모르고 있다... 라면.. 문제가 클테지만요.
박문형 2009-05
사용할 용량을 어떻게 정하느냐의 문제가 더 크죠.
실무에서는 RAID6 거의 안 씁니다.
디스크 많이 들어도 용량이 적게 나와도 리빌딩이 빠르고 속도도 나와줘야 한다면
레이드 1+0이나 0+1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페리티 계산을 안하기에 그만큼 빠르죠.
페리티 계산을 하는 RAID 5나 3인 경우 리빌딩시 시간이 1+0보다는 많이 걸립니다.
RAID 6는 두번 페리티 연산을 하므로 하드 2개 고장때 리빌딩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됩니다.

보통 서버의 레이드들은 하드가 하나 고장이 나더라도 계속 부하를 받으면서 리빌딩해야 하기에
하드디스크의 속도는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레이드는 많이 많져봐서 경험이 쌓여야 재대로 쓰는 물건입니다.
바이오스나 펌웨어 바뀌면 거기 따른 기능들도 알아 둬야 합니다.

어떤 장비나 백업은 필수이고요.

요즘은 콘트롤러가 기본의 레이드 레벨보다 기능이나 성능을 개선한 것들이 많이 나옵니다.
RAID 5E , 1E 같은 것들입니다.
무엇이 좋아지는지는 회사마다 다 다르므로 역시 공부를 해두어야 합니다.
박문형 2009-05
저는 개인적으로는 레이드 카드를 사용하지만 레이드 레벨은 안 씁니다.
즉 JBOD상태로 사용합니다만 이유는 그 편이 데이터를 더 오래 보관이 가능해서입니다.
파워쪽만 문제가 안되면 하드의 수명만큼은 사용하기 때문이죠.
2009-05
얼마전에 디스크여덟개를 레이드 묶을 일이 있었는데 레이드5는 속도가 너무 안나와서 1+0으로 바꾼적이있습니다.

용량문제때문에 300기가 SAS에서 1테라 SATA로 바뀌긴 했지만 RPM은 느려도 속도는 훨씬 더 잘나오더군요.

저도 레이드 사용한 경험이 그리 길진않지만 요즘은 거의 레이드1이나 1+0만 쓰게되더군요.

디스크 용량도 충분히 커지고 싸졌으니 웬만해서는 미러만 구성해도 쓸만하고, 가용성이 그리 중요하지않다면 JBOD도 좋더군요.

백업만 어느정도 해주면 JBOD가 속도도 어느정도 나와주고, 용량 낭비도 없고... 괜찮더군요.
장태주 2009-05
RAID는 백업의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방효문 2009-05
개인은 3중 백업 정도가 가장 비용적으로 좋은 수단임에도 레이드에 목을 매는 분들이 지나치게 많은거 같습니다.(광학-외장HDD-내부HDD백업)
전요셉 2009-05
백업만을 목적으로 Raid를 구성할때에...
일정부분 레이드로 하는게 편한면도 있습니다만...
비용문제에 중점을두고 생각한다면 레이드보단 외부하드에 따로 백업을 하는게 효율적인것같습니다.
(수동으로 하나하나 해줘야한다는게 불편한점이긴합니다.)

저가형 컨트롤러 사용시... 재수없으면 레이드가 아예풀려버릴때도 있습니다.
하드교체를 떠나서 안습하게도 리빌드 안될시 무조건 자료날라갑니다...
고가형 컨트롤러 사용시... 비용이 상당합니다.

저 같은 경우 에어컨을안써도 전기요금이 30만원이상나옵니다.
보관중인 자료가 수TB이고 그걸 레이드로 쓰려고 전부 컴퓨터에 달아놓으면...
거의 24시간 가까이 컴퓨터가 켜져있는 저의 환경에서는 전기요금 절대 무시못할수준입니다.

디스크 관리에 있어 퍼포먼스나 목적에 부합하는 볼륨관리기능이 필요한것이 아니라
"단순 백업"이 목적인경우는 Raid 는 장점보다 단점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노하석 2009-05
답변 감사드립니다. 이제 이해가 좀 갑니다.
김진우 2009-05
RAID는 백업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말이 인상적이네요...^^
구라면빨 2009-05
저도 이해가 갑니다 댓글들 감사드립니다
한원준 2009-05
레이드는 볼륨을 어쩔수 없이 크게 잡을때 쓰는 것이고...

장애복구를 위해 그 레벨이 제안되어왔던거죠...

뭐 백업의 대안이 될수 없다가 본질이고 진실 맞습니다...^^;..

그 제안중에 장점을 살려 특정 목적에 사용되었던 예도 부분 있긴 하지만...

뭐 어쩔수 없이 쓴다 라는게 맞는 표현 아닐까 생각합니다...
한성택 2009-06
여러분들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4175/5725
2015-12   1768261   백메가
2014-05   5242947   정은준1
2009-05   5869   잔디
2009-05   12952   박상범
2009-05   5896   aerosmith
2009-05   5858   오어린이
2009-05   13858   정은준1
2009-05   5960   오링
2009-05   5767   김건우
2009-05   6019   박재영
2009-05   5869   최마루
2009-05   15494   이영규
2009-05   13891   김건우
2009-05   13256   일반유저
2009-05   5930   서울l승용
2009-05   6784   이인
2009-05   7418  
2009-05   7237   기영
2009-05   29649   미수맨
2009-05   6502   하이퍼웍스
2009-05   8681   권오준
2009-05   12991   김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