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레이턴시 관련..

최마루   
   조회 11418   추천 0    

안녕하세요?
USB 오디오 장치를 사용중에 문제가 생겨서 검색해봤습니다.
[ http://blog.naver.com/utopia_11?Redirect=Log&logNo=70047122373 ]
검색 후 이런 프로그램의 존재를 알고 실행해보았습니다.

첨부한 사진은 하나는 세컨으로 사용중인 지오드 NX 1750+nForce2 에서의 결과이고
(메인보드에 CPU,램,IDE하드,PS/2 방식의 마우스와 키보드만 연결.)
하나는 e6600+p45 의 결과입니다.
(그래픽 카드 포함 에드온 카드가 3개연결 돼어있고 USB마우스 만 연결되어있습니다.)

처참한 결과를 보여주는게 메인 컴퓨터인데요.

이거 좀 잡을 방법 없을까요?

나름 비싸게 주고 구입한 USB장치가 높은 레이턴시덕분에 무용지물이 되가고있는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정녕 하나씩 제거해가면서 노가다를 해야하나요? 훌쩍
--------------------------------------------------------------------------------
추가 정보입니다.
OS : Windows Xp Sp3
CPU : Intel Core 2 Duo E6600
Mainboard : Gigabyte EP45-UD3R
Ram : 2GB*4
VGA : Radeon?? 4850

Soundcard : Maya 5.1 Mk-II POS
ADDON? : FusionHDTV 5 PCI

입니다. 흐음 일단 장치관리자에서 사운드 카드 사용안함하면 레이턴시 최소값이 지오드 머신정도로 내려갑니다만
최대값은 그자리인듯해요. 퓨전HDTV 사용안함, ATI HDMI용 드라이버 도 사용안함 해도 그대로입니다.
USB장치 마우스 빼고 전부 재거(마우스 재거해도) 레이턴시 변화는 없네요.
훌쩍..
일단 어디부터 뜯어봐야할까요/
----------------------------------------
추가 사항입니다.
그래픽 카드 제외하고 카드형식으로 추가된 카드및 USB장치(마우스 포함) 사용안함으로 했는데, 레이턴시는 계속 안드로메다까지 뛰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鮮于鈞 2009-06
뻘건 작대기 여러개 나오는 콤퓨타가 음향 재생에 문제가 있나요?
오재호 2009-06
레이턴시가 저 난리라면, 대역폭 부족이나 전원부족 같아보이는데요. 혹시 유전원 허브에 연결해보셨는지요?
최마루 2009-06
두분 답변 고맙습니다.

성우균님//
네 그래프가 저렇게 치솟으면 녹음 및 재생시 잡읍이 들어가거나 랙이 걸립니다.
물론 오디오 장치의 레이턴시를 높여서(한 16ms) 사용하면 지장이 없으나, 소리가 밀려서 싱크(?)가 안맞는 상황에 치닫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제 두달치 월급을 부은 그 기기는 쓸모가 없어져버립니다. 훌쩍
일반적으로 TV나 게임은 큰 문제가 없는데 레코딩을 하면 그 조금의 차이가 너무 크게 다가오네요.

오재호님//USB 포트에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아도 저렇게 난리를 칩니다.
물론 양호해지긴 하는데,,(빨간색은 안보임) 그래도 노란색까지는 자주 튀네요.
유전원 허브도 있으나, USB장치에 연결하지 않은상태에서 레이턴시가 이상하다면 유전원 허브에 연결해도 큰 의미가 없을거 같습니다. 그래도 집에가서 한번 테스트 해볼게요.

----------------------------------------------------------------------------------
일단 시간이 나면 누드 상태로 테스트 해봐야겠습니다.
鮮于鈞 2009-06
ICH10(R)에서의 병목 같습니다.

PCI / USB 장치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점검해보세요.
오재호 2009-06
아 제가 말씀드린건 애초에 메인보드에서 USB쪽으로 인가하는 전원이 부족할수도 있으니 (보드 설계 미스라거나 불량이라거나) 일종의 가능성이기는 하지만 유전원 허브를 말씀드린겁니다.

선우균님의 말씀도 일리가 있네요.
최마루 2009-06
두분 다시한번 답변 고맙습니다.

시간나면 누드로 테스트하면서 USB 유전원 허브도 이용해봐야겠네요.

흐음, 제가 글을 잘 못 쓴거 같네요. USB에 아무 장치가 연결되지 않아도 레이턴시가 노란색까지 자주 튑니다.
연결을 하면 할수록 튀는 빈도는 높아지는거 같구요.

컴퓨터 본체가 꺼내기 힘든곳에 놓고 쓰는게 참 마음이 아프네요.
김용수ak 2009-06
답변은 아니지만 덕분에 재미있는 프로그램 하나 알았네요. 저도 체크 중입니다.
평균 100정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
최마루 2009-06
PCI 모든 장치 제거, 마우스 키보드 제외 모든 외장장치 제거,
풀뱅크에서 2뱅크 사용, 바이오스에서 온보드 된 대다수의 장치를 사용안함으로 설정했는데 만족할 만한 결과가 안나오네요. 보드문제인듯하군요..
이번엔 OS를 교체해보고 테스트해보겠습니다 훌쩍
최마루 2009-06
네트워크 사용시 평균 6500을 찍는군요.
이부분도 정검해봐야겠네요.
이비오 2009-06
답글썻더니 님글이 지워졌네요. 방금 지우셨던글 답글입니다.

전 "q9400,4기가,ZOTAC Geforce 9300-ITX WiFi,지포스9600 그린버전LP, 시게이트1.5테라,외장 레이드1.5T x2,인텔SSD(80기가-메인하드), 노트북DVD(사타->USB변환), 히로이찌 200와트"로 사용중입니다.

지금 대용량 하드 카피중인데 그와중에 체크해본 결과 500및으로 나오고 다른거 체크하거나 사용하면 1000 이하까지 나오는군요... 현제 제가 쿼드 모니터 사용중인데 상당히 만족스럽습니다. 내장 9300 그래픽칩셋 정말 쓸만합니다. 전 다중모니터에 피직스 가속까지 쓰는데 딜레이 없습니다.(메인은 9600그린으로) 다만 내장그래픽 칩셋을 사용하면 칩셋온도가 좀 올라간다는겁니다. 미니케이스로 쓰면 70도 까지 오르더군요. 칩셋 쿨링따로 생각하시는게 좋습니다.
최마루 2009-06
죄송합니다. 정보를 좀 더 스스로 모은뒤 글을 올릴려고 지웠습니다.
그리고 답변 고맙습니다.


QnA
제목Page 4164/5725
2014-05   5243674   정은준1
2015-12   1769013   백메가
2009-06   6933   aerosmith
2009-06   14857   푸릉이
2009-06   7794   푸릉이
2009-06   13059   이승엽
2009-06   7177   오기석
2009-06   9415   이인호
2009-06   33131   곽순현
2009-06   6215   프랴
2009-06   7852   서울l승용
2009-06   6714   땅콩껍데기
2009-06   17357   박동섭
2009-06   11419   최마루
2009-06   6882   박재영
2009-06   9770   이기육
2009-06   5918   하이퍼웍스
2009-06   13517   05
2009-06   6895   컴센스
2009-06   10057   정재훈
2009-06   9894   정희섭
2009-06   8374   최마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