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2008 server가 PC용으로 쓸만할까요?

   
   조회 8605   추천 0    

업무용PC라 게임은 전혀 안하구요...

사양은 Intel QC 2.3G / RAM 8GB 입니다.

웹서핑/문서작성/텔넷터미널작업/Vmware,VirtualPC, Hyper-v같은 가상화 환경 사용이 주를 이룹니다.

그중에 어플리케이션들의 호환성 부분이 많이 궁금합니다.

XP에서 사용했던 프로그램들이 100%돌아가길 바라는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80~90%는 돌아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아직 OS는 설치하지 않았는데요, 회원님들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상진 2009-06
어짜피 2008이라고 해도 커널은 비스타랑 같습니다.
서비스팩도 같이 사용하죠
기본적으로 VMWARE 6.0/6.5버전 잘돌아갑니다.
웹서핑도 비스타에서 되는 ACTIVE-X라면 잘되지않을까합니다.
오피스 2003은 잘설치도고 그럭저럭 잘돌아갑니다.
OS에서 제공하는 COMMAND창의 텔넷 클라이언트는 추가로 설치해주면 되거나 별도의 텔넷 프로그램 사용하시면 되죠
뭐 HYPER-V이 2008에서 지원하는것이니 패스


2008쓰면서 문제가 되는것은 백신은 서버용으로 설치하시거나 일부 서버OS지원하는 백신을 구하셔야됩니다.
그리고, 시스템을 건드리는 프로그램들은 안될확률이 높죠
TV프로그램도 안되더군요...(드라이버는 인식하나 프로그램이 안돌더군요..에러내요)
특히 게임은 그다지 안친한거 같더군요.

8기가면 64비트를 사용하실텐데...저두 64비트를 쓰지만, 대부분 업무용 프로그램은 잘돌아갑니다.



결론은
뭐 그냥 업무용으로 사용하신다면 데스크탑 경험(맞나??) 이거 설치하면 업무용으로는 무난히 돌아갑니다.
커널이 비스타라 비스타에서 안도는 프로그램은 2008에서도 오류낼 확률이 높죠

갠적으로 그냥 비스타가 어떨런지..하네요...
HYPER-V가 필요한게 아니라면요...아무래도 서버용 OS라서 업무용으로 쓰기에는 좀 불친절하죠 ^^
제 경험상 xp와 2003간 드라이버 호환성보다 비스타와 2008과의 드라이버 호환성이 더 떨어지더군요.
2003에선 xp용 드라이버를 써도 거의 다 문제가 없었는데 2008은 비스타용 드라이버를 쓰면 좀 문제가 있더군요.
오동작을 한다던가...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던가...등등

VMware는 잘 동작하긴 하지만 Vmware 켤때마다 이벤트뷰어에 에러메시지가 가상머신 숫자만큼 쭉~ 뿌려지는걸 보실겁니다.
가상머신에서 DHCP를 안쓴다는 가정하에 Vmware DHCP 서비스하고 인증서비스 죽이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긴합니다.
뭐 쓰는덴 지장이 없습니다만...제 경우에 노트북에서 테스트했을때 발생했던 문제라 다른 컴퓨터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버츄얼박스 같은 경우 Vmware나 버츄얼PC에 비하여 2008에서 좀 더 문제가 많았습니다.
설치나 가상머신 설치등은 다 되지만 정작 사용하기엔 문제가 좀 있더군요.
그리고 버츄얼박스는 오피스 2007 IME 설치하면 가상머신 설치도 안되고 버츄얼박스 환경설정도 안됩니다.
이거 알아내느라 고생 무지했습니다. 최신버전은 고쳐졌는지 모르겠네요.

프로그램은 대부분 이상없이 돌아갑니다. 정 안되면 호환성으로 실행시키면 거의 문제없이 돌아가긴 하더군요.
다만 그넘의 드라이버 호환성이 그다지 좋질않다는게 좀 문제에요.
     
aerosmith 2009-06
하드웨어에 대한 윈2K8 의 드라이버지원은 정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윈2K8 은 윈XP 나 윈2K3 의 드라이버와 전혀 호환이 안되더군요. 리눅스의 경우에는 한번 드라이버가 나오면 버전이 올라가도 변함없이 쓰던 드라이버 사용하면 되는데... 윈도우는 드라이버가 전혀 호환이 안되니... 정말 짜증나더군요.
푸릉이 2009-06
음.. 단순히 말씀드려서 사용하지 마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특히 비사무용 기기나 전문성이 떨어지는 기기들은 아예 서버용 드라이버 조차 없는 경우도 많고.

호환성도 대단히 떨어집니다. 다른분들이 자세한 이야기 많이 해주셔서 이만 줄입니다.
김동식 2009-06
VMware Server 2.0.1 을 2008에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가상머신 콘솔을 띄우려면 ActiveX를 설치해야 하는데 여기서 설치가 잘 안되더군요.
그래서 다른 XP가 설치된 컴퓨터에서 가상머신 콘솔을 띄워 사용하고 있네요..

그외 많은걸 설치하지는 않았지만 그럭저럭 사용할만 합니다.
김윤술 2009-06
2008을 서버모드로 쓸거면 충분히 남는 자원이죠. 가상머쉰 몇개를 돌리고 터미널 작업으로 사용한다면 괜찮을듯 싶어요. 전 PC로 2008서버로 사용하는데 성능이나 안정성은 상당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2008을 데스크탑모드로 사용하기엔 조금 그렇죠. 2008 서버공부하기엔 좋은 방법일수도 있죠. Hyper-V가 VMware보다 많은 이점이 있기는 합니다만 쓰는 사람마다 방법이 다를수 있으니 데탑모드로는 사용하지 마세요.
정창열 2009-06
제가 2008 server enterprise 32bit를 개인용으로 쓰고 있습니다.

일반 개인용도로요..

cpu : E8400  ,  Ram : 8G , VGA : ATI 3750
mainboard : asus P5E WS Pro(X38)

위의 사양으로 드라이버 설치의 문제점은 아예 없었고...

하드 여분이 있으시면 가상PC가 아닌.  직접 설치해 보시고

직접 확인해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

일반적인 용도로는 별 불편함이 없더군요.

vista 보다는 확실히 가벼워서 저는 만족하고 있습니다...
aerosmith 2009-06
기업용이 아닌 순수한 개인 서버용도로만 사용한다면 충분히 쓸만했습니다. '펜3-800듀얼/1G램/AGP 2X 32M VAG' 대충 요렇게해서 윈2K8 깔아서 업데이트까지 다하고 웹서버를 비롯한 몇개의 서비스를 해본적이 있었는데요 XP보다 비슷하거나 오히려 XP보다 가볍다는 느낌까지 받았습니다. 윈2K3 이랑 비교한다면 같은 종류의 서비스를 사용했을때 윈2K8 이 윈2K3 보다 훨씬 가벼웠습니다.

가상PC는 아무래도 제경우에는 시스템사양이 낮아서 안돌려 봤지만, 가상PC만 빼고 생각한다면 제가 적은 낮은 사양에서도 아주 잘 작동했습니다. 가상 PC외의 어플리케이션들은 winrar 만 깔았기때문에 프로그램호환은 어떻게 말씀 못드리겠습니다.

그리고 구형 컴부품의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드라이버가 없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컴에 장착된 하드웨어들의 윈2K8 소프트웨어 드라이버가 지원되는지부터 알아보셔야 할겁니다. 제 경우에는 구형 컴부품의 경우에 윈2K8 용이라고 된것을 깔아줘도 블루스크린(코어덤프)을 봤었습니다.
2009-06
답변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4160/5724
2015-12   1761281   백메가
2014-05   5234907   정은준1
2009-06   7031   곽은석
2009-06   11244   박창신
2009-06   6858   이상정
2009-06   6193   서동국
2009-06   6609   김두홍
2009-06   6465   정은준1
2009-06   7554   오기석
2009-06   5880   방o효o문
2009-06   6145   준호아빠
2009-06   6543   이기육
2009-06   6263   문양호
2009-06   8544  
2009-06   7392   방o효o문
2009-06   8606  
2009-06   6133   회로쟁이
2009-06   9639   박재영
2009-06   6045   장동건2014
2009-06   6506   Sico
2009-06   9126   일반유저
2009-06   9709   S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