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Server 버전에서 Partition 또는 Disk를 통째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김장우   
   조회 10952   추천 0    

Workstation에서는  Use a physical disk가 있잖아요~
근에 Server 버전에서는 이게 없더라구요~

Server 버전에서 사용할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웍에서 되면 서버에서 될것같은데..

울 2CPU에 전문가들이 많으시니까 질문같지도 않은 질문이겠지만요..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윤술 2009-11
안될거 같은데... 저도 해볼려고 했는데 없더라구요.
Hyper-V 는 된다고 들었습니다.
오강석 2009-11
서버 버전의 V-motion 이나 DRS, HA 등 엔터프라이즈 레벨의 가용성을 구현하려면 DISK 를 다 사용하면 안되어서 지원을 안할 겁니다.
오로지 파일 베이스의 버철디스크만 지원합니다.
실제로 특정 버철머신이 디스크 자원을 다 차지해서 사용한다면 그 버철머신은 동적 이동이 안되겠지요.
동적 이동이 안되면 V-motion 이나 DRS, HA 구현히 힘들죠.
김장우 2009-11
오강성님 말씀처럼 그렇게 대단하게 쓸껀 아니구요.. 구체적으로 하려고하는 작업은
윈도우에 FreeNAS를 가상으로 띄운 다음 물리적인 디스크를 데이타용으로 통째로 쓸라고 하는겁니다.
버철디스크 파티션이나 파일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하기가 쉽지 않을것 같아서요..
디스크를 통때로 쓰면 얘만 띄어다가 다른데 붙여도되고 디스크단위로 복구를 하는게 쉽지 않을까 해서입니다.
그리고 서버도 ESX 도 아니고 그냥 꽁짜 서버버전을 쓰는겁니다.
관리 때문에 서버버전 쓸라고 했는데 안되면 어둠을 이용한 웍스를 써야하나~ 에효~ ^^
김동식 2009-11
윈도우에서 데이터 저장용으로 사용하시려면 네트웍 공유로 처리하시면 해결 가능합니다.
굳이 가상 머신에 물리적인 하드를 붙이지 않아도 호스트에 붙여서 사용하면 전체를 다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네트웍도 그리 느리지는 않습니다.

저도 가상 머신에서 데이터를 다운받아 네트웍으로 공유되어 있는 호스트의 폴더에 데이터를 받습니다.
물론 처리는 가상머신에서 해도 되고, 호스트에서 해도 되기 때문에 참 편하죠^^;
김장우 2009-11
제가 너무 띄엄띄엄 말씀드려서 죄송합니다.
상기 FreeNAS는  물리적으로 구성된 FreeNAS의 백업용으로 사용될 예정이며
원본 FereeNAS는 맥 9.22에서 AFP로 자료를 올립니다. 문제는 이렇게 올린 자료를 SMB로 보면 한글이 몽창 깨져보입니다. 물론 그렇게 해서 복사는 됩니다만 간혹 한글이 더 깨지거나 복사가 안되는 경우가 발생이 됩니다.
그래서 FreeNAS 대 FreeNAS 로 Rsync로 백업을 하려고 하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문제없이 복제가 되더군요.
물론 사본 FreeNAS도 StandBy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유사시 즉각 사용이 가능해야합니다. 그런 이유로 이렇게 구성하려고 합니다.
물리적이 FreeNAS를 구성해도 좋겠지만 가상으로 돌아갈 FreeNAS의 HOST를 다른 백업용으로 재사용하려고 하는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
오강석 2009-11
여기서 서버 버전의 문제는 김장우님 말씀처럼 대단하게 쓰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파일 베이스 버철디스크만 지원하기 때문에 원하시는 목적에 부합이 안되는 거지요.
아마도 워크스테이션 버전이 답일듯 합니다.
鮮于鈞 2009-11
server 2.0  이후(?)부터 삭제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scsi pass through에 대한 언급도 있습니다만...

공인 전문가들께서 시원한 답변을 해 주실 것으로 기대합니다.
localhost 2009-11
전혀 전문가가 아니라 답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써 봅니다.

일단 vmware server이 아니라 esx의 경우라 원하시는 답변이 될지 모르겠네요.

esx에는 물리 디스크를 가상머신에 물릴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rdmp로 검색해보시거나 http://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3443266 를 한번 보세요.

관리툴에서는 이렇게 물리 디스크를 직접 추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콘솔에 접속해서 명령어를 써야 합니다.

제 경우는 esx 에서 rdmp로 설정해서 물리하드 3개를 가상머신에 연결해 쓰고 있는데 아직까지 사용중 문제는 없었습니다. 속도도 그럭저럭 비슷하게 나오는거 같네요.

rdmp는 2TB 용량 제한이 있다고 하는데 그렇게 큰 용량은 안써봐서 잘 모르겠습니다.

esx 버전중 esxi는 무료이니 이걸 써보시는건 어떨까요?

vmware server의 경우는 workstation에서 Use a physical disk로 생성한 가상 디스크 파일을 복사해서 추가하면 될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김장우 2009-11
답변 감사합니다.
esx는 아시다시피 호스트의 OS기능을 사용해야하기때문에 서버버전을 사용해야 할것같습니다.
(esx 설치가능한 H/W도 아니고, 설령 된다해서 윈서버를 올려 쓰기도 좀.. 그렇고.. ^^)
그래서 짐 웍에서 물리디스크를 생성해서 서버에 붙여볼라고 합니다.
웍에서 디스크의 파티션을 잡았는데 디스크 전체가 다 보이더라구요.. 모.. 큰 문제는 아니지만 이제 얘를 띄어다가 서버에 붙여봐야겠습니다. ^^


QnA
제목Page 4112/5724
2014-05   5234527   정은준1
2015-12   1760880   백메가
2009-11   8994   오지랖
2009-11   8021   박동섭
2009-11   6655   문양호
2009-11   8797   일반유저
2009-11   10472   나만없나댕…
2009-11   9580   불무골
2009-11   10210   김건우
2009-11   6686   차평석
2009-11   11530   뚜뚜김대원
2009-11   7907   psj1050
2009-11   6159   나너우리
2009-11   43927   SuperAngel
2009-11   6516   차평석
2009-11   9242   김장우
2009-11   18444   푸릉이
2009-11   11962   이병영
2009-11   7587   다롱이
2009-11   7821   푸릉이
2009-11   13357   김건우
2009-11   7949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