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용의 그래픽 카드 선택을 문의 합니다

이종원   
   조회 7515   추천 0    

온라인 게임 하는데 있어 라데온 5xxx 와 4xxx 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습니다.

 

5 번대는 dx11 이고 4 번대는 dx10 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만,

 

제가 하는 게임이라곤 마비노기와 던파 (어제 시작했습니다) 정도 입니다.

 

여기 저기서 리뷰는 확인을 하다 보니, 점점 더 헷갈리기 시작 합니다.

 

대략적으로

 

4350=4550 -> 5450 -> 4670 -> 5570 -> 4770 -> 4850=5750 -> 4860 -> 5770 -> 5830 -> 5850 -> 5870 -> 5890 -> 5970

 

의 성능 순서라고 보여 집니다만, 상기의 간략한 온라인 게임을 하는데 있어, 4 번대와 5 번대의 차이가 큰 차이가 있는지요?

 

아마 마비는 dx7-9 사이의 게임이라 생각 됩니다.

 

4 번대는 중고도 저렴하게 많이 풀렸던데, 4 번대 후반 모델을 구매 하는 것이 5 천 번대 동 가격대의 그래픽 카드를 사는 것 보다 잇점이 있는지도 궁금 합니다. 물론 같은 신품이라도 재고 처리라서 그런지 4 천 번대가 더 저렴하더군요.

 

마비노기는 대충 4850 이나 5750 이면 과분할 정도라 들었습니다만 명확한 조언을 얻고 싶어 문의 합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chis 2010-05
일단 게임할때 사용할 해상도가 중요합니다..해상도가 높다면 (모니터가 큰거라면) 그래픽카드도 앵간한걸 써줘야합니다..비슷한 성능이고 비슷한 가격대라면 48xx를 쓸 이유는 솔직히 없다고 봅니다.. 48xx이 전기를 더 먹으니까요..
     
이종원 2010-05
예, 5770 이나 5750 으로 고려해 보겠습니다. ^^
김은식 2010-05
마비노기는 그래픽 카드의 영향을 별로 안 받는 게임입니다.
(.. 오베때부터 지금까지 했다고 하면.. 훼인으로 보시겠지)

CPU가 좋으면 바로 빨라지는 게임이죠 (엔진이 하도 예전거라)
(GPU올릴 비용으로 CPU를 올리면 훨씬 빠릅니다.)


던파는 밀릴정도로 복잡한데를 사냥 안다녀봐서 자세한 답변을 못 드리겠습니다 ^^:
     
이종원 2010-05
저 누렙은 갓 7xxx 대에요, 데헷.

아 물론 클베 유저 입니다.
          
이종원 2010-05
글고 보니 2 차 클베 부터 했군요. 중간에 1 년 반 남짓 쉬긴 했습니다만....
               
김은식 2010-05
워낙 느긋한 게이머라 .

6XXX 대입니다.


레이드 피니시도 한동안 날렸죠.
마비노기만으로 생각하신다면 GPU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Q6600 (노오버) + 7600GT로 레이드몹 피니시 치고 다녔다고 하면 이해가 되시겠지요 ^^:
                    
이종원 2010-05
오!! 전 이전에 사드가 매일 나올때는 너댓번 쳐 본적이 있습니다만, 하프섭이 원체 괴수 잔치잖습니까 ,아하하 .

당시의 전 q6600 노 오버에 1900gt 였습니다. ^^
                         
굴다리교 2010-05
여기 350대 "쪼렙"도 있습니다 (웃음)
요즘은 쉬고 있지만요...

참고로 마비노기의 경우 메모리 대역폭이 높을수록 좋습니다.
직접 테스트해본 결론이 그겁니다. (6800GT vs 8600GT)
                         
이종원 2010-05
오옷~!! 송화식님도 계셨지요!!

결국 256bit 으로 가야 좋은 것이로군요!
송재훈 2010-05
고해상도일때는 오히려 메모리 대역폭이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GPU 의 성능이 조금 낮더라도 높은 메모리 대역폭 제품이 더 좋은 성능을 내기도 합니다.
(이전 세대의 고급형이 최신 세대의 중급형보다 고해상도에서 더 좋은 역전의 현상발생)

1GHz/128bit 의 최신 제품보다 이전세대의 700MHz/256bit 제품이 더 좋을 수도 있단 얘기죠.
요즘 제품들 스펙을 보지 않아서 모르겠습니다만 선택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종원 2010-05
역시 송재훈님의 답변은 제가 놓친 내역을 핀포인트로 잡아 주시는 군요. ^^

감사 드립니다. ^^
김병훈 2010-05
5750이 적당해 보입니다.
무엇보다 4시리즈보다 발열, 온도 및 전력소모가 낮습니다.

as는 그나마 짱짱한 이엠텍이 나을 것 같습니다. evga제품도 유통하는데 무상 as 3년 이더군요.
     
이종원 2010-05
오옷!! 좋은 정보 감사 드립니다

그렇잖아도 5750 과 5770 중에 고심 중이었는데, 원샷에 해결 되었습니다. 꾸벅. ^^
찌단 2010-05
57xx는 성능은 충분한데도 멈칫거리는 현상이 간혹 발생한다고 하더군요.

꼭 ATi의 제품을 고집해야 하는게 아니라면 GTS250이 더 나아보입니다.

GTS250은 워낙 변종이 많은데 레퍼런스클럭은 GPU 738MHz/RAM 2200MHz입니다.
     
이종원 2010-05
250 에 대해서도 알아 보겠습니다

엔당이 메모리 대역폭이 더 높더군요.
멀린 2010-05
다가오는 여름을 대비하신다면, 48xx는 절대 비추입니다.
제작년부터 4870 사용중인데, 에어콘을 아무리 빵빵하게 틀어놔도 방안은 찜통입니다..발열 진짜 죽여줍니다..후.
게다가 한세대 지났다고 급수가 다른 57XX나 55XX한테도 발리려고 하니..
48XX는 월동준비용으로...쿨럭..
     
이종원 2010-05
난로 대신 인겁니까? 이전의 프레스 핫과 앙상블을 이루면....... 후덜덜 하군요.
투시피유 2010-05
하하 대단들 하시네요
아직도 1XXX 2XXX 대 그래픽을 사용하는 저로서는
꿈같은 얘기들이네요

다만 이인봉님 말씀대로 4870 이제품 정말 발열 장난이 아닙니다.

그래픽 카드 주위에 대형 쿨러 달고나서야 안심이 되더군요
     
이종원 2010-05
4 번대는 깨끗히 잊겠습니다, 안녕 라데~~옹!
과거지사 2010-05
4870x2 레퍼 RMA 팩토리 OC버전 사용중입니다.성능은 크파지원겜에서 5870과 앞서거니 뒷거서니 합니다만.(보통 위)
DX11 미지원.(게임에서) 높은 발열.(겨울을 정말 따뜻하게 보냈습니다-이것땜에 이번에 케이스 바꾸는중)
높은 전력소모(페르미 보다 더 먹음)
최고의 장점은 RMA버전이 20장 정도면 구할수 있다는것.
발열은 수냉이나 쿨링 시스템에 따라 조절가능.
하지만 전력소모는...
5천번대의 최대장점인 전력소모가 코어랑 램클럭이 파워플레이시 더 많이 떨어지는것 때문입니다.
풀로드때도 효율이 좋아서 4천번대보다 낮구요.
4770과 4870의 갭보다 5770과 5870의 갭이 더 큽니다.
성능만으로 따지만 5770이 4870보다 높을까 싶네요.
DX9는 높지만 DX10은 낮은게 더 많고..
최고의 가성비+전력으로 생각하면 5750,5770이라고 생각됩니다.
5750은 오버시 5770과 별반 다르지 않고(두개의 리미트치가 비슷) 전력소모도 성능에 비해 얼마 안먹구요.
가성비+전력+성능 으로 보자면 5850.
구형 그래픽카드의 메모리 대역폭 높은 놈이 당시 환경에서 성능이 좋은건 맞지만 전력을 더 많이 먹습니다.
대역폭때문에 19xx번대와 2천번대 카드들이 당시엔 비교되기도 했었습니다.
마비와 던파만 돌리실꺼면 3천번대로도 충분치 않을까 합니다.4천번대는 4670정도?(아이들 전력8w 성능은 3870조금 아래)
     
이종원 2010-05
3 천번대나 4 천대는 이미 단종이라고 해서 가급적 3 년 as 를 노려 볼 생각 중이었습니다.
          
과거지사 2010-05
5천대서 고사양 게임을 안하시거나 옵션 타협을 하시겠다면 5750,5770 이 최고일듯합니다.
전력소모도 아름답구요.


QnA
제목Page 4029/5724
2014-05   5237633   정은준1
2015-12   1763345   백메가
2010-05   7875   블루영상
2010-05   16421   psj1050
2010-05   8564   과거지사
2010-05   9253   가빠로구나
2010-05   11383   참세상맹글기
2010-05   9055   땡감
2010-05   8375   힘내자
2010-05   24768   차평석
2010-05   8798   이병한
2010-05   8153   김윤술
2010-05   15834   굴다리교
2010-05   8798   별빛낭군
2010-05   7583   1번가
2010-05   7613   chis
2010-05   7516   이종원
2010-05   9304   백승철
2010-05   9435   유호준
2010-05   9121   이종원
2010-05   9274   권종일
2010-05   9559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