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2365 |
25 |
2015-12
179236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7369 |
0 |
2014-05
5267369
1 정은준1
|
35260 |
대용량 데이터를 고스트 이미지로 떠서 데이터의 이동이 가능할까요? (10) |
정은준1 |
2010-10 |
8557 |
0 |
2010-10
8557
1 정은준1
|
35259 |
북마크관리요령좀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
박 |
2010-10 |
7180 |
0 |
2010-10
7180
1 박
|
35258 |
이건 어떤 케이블 인가요 (3) |
박종호 |
2010-10 |
7911 |
0 |
2010-10
7911
1 박종호
|
35257 |
토랜트에서 인터넷이 끊깁니다.. (3) |
Won낙연 |
2010-10 |
7366 |
0 |
2010-10
7366
1 Won낙연
|
35256 |
원격조정으로 여러대 컴 키는 방법좀 알려주실래요? (4) |
가빠로구나 |
2010-10 |
7748 |
0 |
2010-10
7748
1 가빠로구나
|
35255 |
레이드 컨트롤러에 대한 문의 드립니다. (2) |
김태성 |
2010-10 |
7142 |
0 |
2010-10
7142
1 김태성
|
35254 |
컴퓨터 조립중인데요 해결좀 (6) |
메이트 |
2010-10 |
6519 |
0 |
2010-10
6519
1 메이트
|
35253 |
베란다에 컴퓨터를 놔둬도 될까요? (10) |
김주용s |
2010-10 |
20907 |
0 |
2010-10
20907
1 김주용s
|
35252 |
[질문]충전지를 넣어서 USB기기 충전할수 있는..요런거..!! (6) |
나너우리 |
2010-10 |
7899 |
0 |
2010-10
7899
1 나너우리
|
35251 |
시스템구성 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2) |
need21 |
2010-10 |
6664 |
0 |
2010-10
6664
1 need21
|
35250 |
안녕하세요 MO drive MCP3130AP모델 드라이버 찾습니다... (2) |
유금아 |
2010-10 |
6379 |
0 |
2010-10
6379
1 유금아
|
35249 |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시 필요한 시스템 (2) |
시나브로 |
2010-10 |
7710 |
0 |
2010-10
7710
1 시나브로
|
35248 |
이런 케이블 구할 수 있을까요? (13) |
쿨리스트 |
2010-10 |
7041 |
0 |
2010-10
7041
1 쿨리스트
|
35247 |
NTFS and LVM ?? (2) |
GoodWolf |
2010-10 |
8031 |
0 |
2010-10
8031
1 GoodWolf
|
35246 |
pci-e 그래픽카드 8pin 보조전원 말인데요~ (6) |
정용우 |
2010-10 |
21535 |
0 |
2010-10
21535
1 정용우
|
35245 |
혹 areca 1680 사용하시는 회원님이 계신지요.. (6) |
cb400 |
2010-10 |
8004 |
0 |
2010-10
8004
1 cb400
|
35244 |
areca 레이드 컨트롤러 레이드 설정 한번 보겠습니다. |
무느미 |
2010-10 |
15881 |
0 |
2010-10
15881
1 무느미
|
35243 |
Lan 케이블 유효거리 문의 (14) |
삽질매니아 |
2010-10 |
28693 |
0 |
2010-10
28693
1 삽질매니아
|
35242 |
BR10i SAS/SATA Controller에 사용할 케이블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김병일 |
2010-10 |
8911 |
0 |
2010-10
8911
1 김병일
|
35241 |
ServerRAID-MR10i : BBU 없으면 RAID 레벨제한되는지요? (4) |
김홍길 |
2010-10 |
9997 |
0 |
2010-10
9997
1 김홍길
|
저의 케이스는 이런경우였죠.
위에서 C드라이브 파티션 10G로 잡으라고 한게 화근이였는데 이걸 늘릴려면 레이드 다시 잡아야 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18G짜리 하드 레이드1로 잡고 기존의 C드라이브는 고스트로 이미지 압축시켜서 그대로 풀어버렸습니다. 그냥 머 그대로 올라오고 용량확장도 바로 되었지요.
부팅 드라이브든 데이터 드라이브든 용량이 늘어났다고 해도 기존의 환경 경로만 맞으면 그대로 사용 가능합니다.
(제가 acronis로 이기종간 백업&복원을 해본적이 없어서 "지원한답니다."라고 댓글을 남겼습니다.)
기종 변경때문에 필요한 어플 깔고 설정을 다시 하느라 며칠씩이나 낭비한 적이 있는데 한번 시도해봐야죠.
VHD는 포맷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이미지 파일이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를 OS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로 마운트 시켜서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드웨어가 바뀌거나 업그레이드를 한 후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하는 경우, 아주 편리합니다.
데이터는 그대로 두고 OS가 설치될 이미지 파일만 새로 만들어서 마운트 시킨 후 윈도우만 새로 깔아주면 기존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있던 데이터는 옮길 필요가 없는 것이지요.
설명하신 상황이랑 맞는 해결책인지는 모르겠지만, VHD 사용해보면 분명 매우 편리하고 좋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로 유명한 스누피님 블로그에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http://snpbox.tistory.com/1293
저의 상황은 새로운 PC에 xp설치후에
(저는 단일 하드를 대부분 C, D 로 나눠서 C엔 xp설치, D엔 각종 데이터저장 이렇게 설치를 합니다. )
예전에 쓰던 데이터파일을 새로 설치한 하드의 나눠진 파티션(주로 D드라이브) 담아달라는 분들이 종종 계셔서 고민을 하는데요
이때 예전의 하드를 새 PC에 연결한 다음에 고스트로 이미지 만들고 리부팅 시킨다음에 다시 새PC의 나눠진 파티션(D드라이브)에 이미지를 풀어버리면 어떻게 될까 궁금해집니다.
물론 클론 하면서 사이즈 조정도 메뉴얼로 가능 할 것이고 예전 하드에서 신규 하드로 파티션별 용량만 조정 하시고 클론 하신다음 신규 하드에 OS 파티션을 날려 버리시면 됩니다.
파티션 날리실때는 Acronis 에서 ADD DISK 인가 거기서 조정 하시면 파티션 삭제 포맷 및 Active 까지 지원 됩니다.
그다음엔 충분히 아실겁니다.
윈도우 설치하면 끝!
이미지 떠 내는 것도 시간 입니다. 떠 내서 풀고 하면 시간 소비가 심하므로 DISK Clone 기능을 종종 사용 하는 편 입니다.
음 간혹 Sector-by-sector 도 사용 하기도 하고(이 경우는 원본 하드가 베드 났을경우 씁니다)
BIOS 에서는 인식 돼는데 베드로 인해 인식 안 될경우도 Acronis 에서 Folder 복사로 뽑아 오기도 합니다.
종종 쓰고 있지만 쓰면서도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 합니다.
제가 맨날 쓰는 방법입니다.
다만 레이드로 묶여 있을때는 주의가 필요하지만서도
하나의 하드에 이미지를 풀려고 한다면
뭐 특별히 상관없습니다.
제가 학교에 컴퓨터실 컴 하드들을 모두 같게 만들때 쓰는 방법입니다.
거의 하드끼리 1:1 복사도 하지만
이미지를 떠서 풀기도 하니까요
하드:하드 끼리는 뭐 아주 쉽지요
트루이미지도 좋구요
저는 가볍게 배치파일도 쉬운 고스트가 편하긴 합니다만..
다만 고스트도 이미지 뜰때 파일단위로 뜨고, 복원할때도 파일단위로 복원하는것이니
부트섹터나 시스템파일이 없는 파티션을 굳이 고스트이미지를 생성할 필요가 있을까 싶습니다.
결국 윈도우의 파일복사시 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은 파일시스템의 문제이던가 파일복사하는프로그램의 문제라고 생각해야하지 않을까요?
윈도우에서 파일시스템이야 ntfs/fat 두가지밖에 없으니 복사하는 방법을 바꿔볼 수밖에 없겠습니다.
작은 파일이 많아서 파일에 접근하는 시간이 많이 걸릴때, 차라리 파티션단위로 복제하는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고스트에서도 파티션복제하는 기능이 있던데 써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구요,
유닉스계열에서 사용하는 dd 를 추천합니다.
dd는 파티션을 섹터대섹터로 복제할 수 있어서 깔끔하게 복제 가능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74기가 랩터 복제하는데 15분정도 걸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