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세티 프리미어 디젤차 의견을 구해봅니다.

무느미   
   조회 18770   추천 0    

차를 새로 구매하려고 합니다. 기존차는 경차 모닝이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알아본 차는 1.6 시리즈 차량입니다.

 

현대 - 아반테

기아 - 포르테

대우 - 라세티

더 이상의 선택권은 없더군요.

하지만 라세티는 1.8과 디젤 2.0의 선택권이 더 있습니다.

저는 2.0 이라고 해서 가격차가 많이 날줄 알았는데, 2천3백정도면 되더군요. 최고 등급에 vdc와 사이드 커튼에어백 포함한 가격으로요. 결론적으로 다른차와 3백만원도만 차이 납니다.

 

세개 차량을 각각 영업소에서 구경(시승X)해본 봐로는

라세티가 문짝의 두께나 샷시의 무게등이 다른 차에 비해서 많이 무겁더군요.

본넷 뚜껑도 두손으로 들어야 되더군요.

안정성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연비등이 떨어질것임을 예상하였습니다.

실제 여러곳을 검색해 보니, 그러하더군요.

추가적으로 옵션 선택이 요즘 추세에 맞지않게 뒤떨어집니다.

 

라세티 1.6 모델은 차무게에 비해서 1.6 엔진이 너무 힘이 부족해서 잘 안나간다는 게 일반적인 평이더군요.

그래서 라세티는 1.8과 2.0 디젤 모델을 추천하더군요.

 

라세티 디젤 2.0이 가족을 태우고 다니는데는 적합하겠다 싶었는데,

(안전하고, 잘나가는 특성이 잘 되어 있지 않나 싶습니다.)

 

주위에서는 다들 추천하지 않더군요.

대표적인 비추천 의견이 디젤차의 진동과 소음

그리고 "그 가격이면, k5나 소나타 하위옵션을 사겠다."라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국내 차량은 힘이 좋을 려면, 무조건 덩치가 커지는 게 공식화된것 같습니다.

저는 컴팩트한 사이즈에 강한 엔진이 더 좋지 않은가 하는 생각인데요.

(힘도 좋고, 컴팩트하니 연비도 좋을것 같고...

가족이 있어서 4도어까지 포기할수는 없으니, 쿱 차량은 제외대상입니다.)

 

연비 참고

포르테 16.5    1.6GID 오토

아벤테 16.5    1.6GID 오토

라세티 13      가솔린 1.6 오토

라세티 13.7    가솔린 1.8 오토

라세티 15.9    디젤 2.0 오토

제조사 기준 연비입니다.

 

대표적인 비추천 의견이 정말 맞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물론 그러한 것이 개인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GM대우의 라세티 디젤 시승차량이 대전에는 한군데도 없습니다.

라세티 디젤차는 80%가 수출이고, 20%는 국내 주문제작이며, 전문차량 사이트에도 시승차까지 제공이 없더군요.

국내주문은 예약이 밀려 있다고 영업사원이 그러던데, 반대론자(?)의 의견에 의하면,

"얼마나 안나가길래 제작한것도 없냐?" 고 그러네요.

제 기준으로는 라세티 디젤 2.0은 상당히 매력적인 기종인데,

실제 판매량과 주위의 선호도, 시승차등 실상은 매우 저조해서 제가 무엇인가 잘못 보고 있나? 하는 의구심까지 들고 있습니다.

 

이번에 구매하면 오래 타야 되서 더욱 고민이 되네요.

그냥 보기에 내구성은 대우차가 좋아 보이던데...

요즘 이것 때문에 머리가 다 아프네요.

 

결론

1. 라프 2011 디젤차의 소음과 진동이 정말 심한지요?

2. 라프 디젤을 사는 것보다 k5나 소나타 같은 준형차의 최하 등급를 구매하는게 더 좋은 판단일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타임킬러 2010-12
캬... 예전에 라프티를 사려고 대우차대리점에 들린적이 있었죠.
영맨은 별로 반기지는 않더군요. 저한테 실내가 좀 좁아 구입하지는 않았습니다.
대신 NF 소나타 트랜스폼-현재 당연히 단종이구요, YF는 디젤이 아예없는듯-를 샀습니다.

디젤승용차를 타는 입장에서 보자면 그다지 나쁠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의 디젤이 아니라는 것을 저도 대전에 사니 한 번 보여드리고 싶네요.
토크빨(^^;)이 좋아서 고속도로에서도 꽤(?) 잘 나간다고 합니다.
작은 차체에 2.0의 엔진이 들어가서 그렇겠죠.

만 3년정도 되는 차지만 소음, 진동 생각보다 심하지 않습니다.
왜? 화물차가 아닌 승용차라서요.
다들하는 언더코팅하면 더 좋겠죠.
선철 2010-12
대우차의 경우 주 대상이 수출이고, 수출이 잘되고 내수가 안돼는 차량의 경우 내수와 수출의 가격차가 좀 있는 것 같습니다. (ex 윈스톰 맥스) 뭐랄까.... 안팔면 이득... 이런 분위기가 좀 있다고나 할까요?

제가 둔해서 그런지 도대체 얼마나 진동이 심하길래 디젤차는 못탄다는 이야기가 나오나 싶긴합니다. (제 현재는 20년된 디젤)

결과적으로 디젤의 진동과 소음이 아무렇지도 않으신분은 디젤의 혜택을 보시는거고 (고연비, 높은 토크, 낮은 유류비), 절대 못참으시는 분은 조용한 가솔린으로 가시는 겁니다.

한번 렌트를 해서 타보시는건 어떨까요? 가족이 한번 놀러가시는 겁니다. 렌트해서. 그리고 가족의 의견을 들으시는 거죠.
한원준 2010-12
디젤 직분사엔진은 초반 토크가 좋습니다... 경유가격도 저렴하고요...

초반토크가 좋은건 압축비가 높아서 그렇습니다... 그래서 고 RPM으로 올라가는건 디젤엔진에도 좋지 않죠..

디젤에 동반하는 문제입니다... 다만 언덕길에서 밀어붙이는건 동급 가솔린보다 월등합니다...

진동,소음은 뭐 4세대 압전인젝터니... 무슨 최신기술을 쓴다고 해도 높은 압축비에서 오는 물리적 진동의 갭은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디젤에는 터보차져가 있기 때문에 냉간, 열간시 아이들을 유지하는게 중요합니다...

관리 좀 신경쓰면.. 연비 좋고... 연료가격도 상대적으로 좋은 디젤도 괜찮다고 봅니다...

요즘 가솔린 직분사 기술이 쓰인 GDI엔진 완성도에 대한건 화재사건도 있었고 지켜봐야 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문흠님

저희 학원 놀러오시면 언제든지 라세티 디젤 시승시켜 드립니다.

디젤 승용에 대해 몇몇 분들이 상당히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는데, 예전에 저 역시도 그랬습니다.

디젤은 덜덜거리고 시끄럽고 무겁고... 등등등...


작년까지 LPi(뉴 카렌스)와 가솔린(SM7)를 몰다가 올해 전부 다 디젤차량(라프 디젤, 스포티지-R)으로 바껐습니다.

결론은 매우 만족합니다.


라프 디젤은 2010년식이라 최근 출시된 2011년식처럼 배기가스 부분이 좀더 세련되지는 못했지만, 레어한 수동 변속기 모델이라 만족합니다.

현대 기아처럼 피에조 인젝터가 적용되지 못했고 수동 변속기의 기어비가 약간 병맛이지만 연비 좋고 무엇보다고 제가 경험한 그 어떤 국산차보다 핸들링이 예술입니다.

스포티지-R은 뭐 알다시피 현대-기아의 R엔진은 역시 최고! 라는 소리가 나올정도로 힘이 장사입니다. 마감이나 감성 품질이 이전에 타건 SM7보다 떨어지지만 저는 그런거 별로 신경 안쓰는 타입이라 그다지 문제되지 않네요.

MDPS(모터 드라이브 파워 스티어링)이 매우 거슬리지만 주차할때는 손가락 하나로도 핸들을 돌릴 정도로 가벼워서 주차할때는 좋더군요.

18인치 휠에 광폭타이어에... VDC도 들어있고... 깡통 옵션이지만 있을 것은 다 있더군요.

무엇보다도 디젤 차종으로 바꾸고 나니 연료비가 너무 절약되서 행복합니다.

그리고 요즈음 차량들 디젤 엔진은 이전 세대의 엔진보다 비교적 조용합니다.
이현호K 2010-12
차체가 묵직허니 2.0정도 되어야 잘 나갈것 같네요.

저도 내년쯤에 단종안되고 계속나오면 질러 볼까 생각중입니다.

사람마다 취향이 다 다르긴 하겠지만, 저는 튼실한게 마음에 듭니다.

2.0 으로 지르세요.대우브랜드가 약해서 그러긴 하지만,

십자 마크로 선택해서 붙이면 뭐 시보레 크루즈가 되는거죠.^^
전형훈 2010-12
2011 년식 라프디 엔진유로5로 바뀌고 달구지소리 많이 없어졌습니다
다들 2011년식 좋아졌다고 극찬(?)을 합니다..
저는 2010년식을 탑니다만.. 라프디 강력 추천 합니다..
100Km 이상부터는 휘발유 차량보다 소음이 더 없습니다,, 이건 라프디를 타본사람들의 공통적인 대답입니다..

저도 2011년식으로 바꾸고 싶습니다.,,
그리고 유로5 차량부터는 환경부담금이 전혀 없습니다,,
유로4는 5년간 면제입니다,,,
정희섭 2010-12
현대는 생산일자 잘 보셔야됩니다
최근엔 공장인근 공고생들 데려다가 차량 조립 시키더군요 ^^;
김남성 2010-12
라프 디젤...오너들 만족감이야 좋지만 사실 그 가격주고 타야한다면 갸우뚱 하게 되는 차죠..

저라면 안삽니다.
1. 요즘 디젤은 예전의 경운기 엔진과는 다릅니다. 하지만 디젤은 디젤입니다. 연식이 늘어갈수록 늘어나는 진동과 소음은 어쩔 수 없죠. 그러나 관리여하에 따라서 그 차이는 천차만별입니다. 특히 겨울을 어떻게 지냈느냐에 따라서 차이가 점점 커지는 것 같더군요.

2.온가족이 함께 이용하는 시간이 많다면 저는 중형 하위옵션이 낫다고 봅니다. 특히 장거리 운전이 많다면 더더욱 중형차량이 낫습니다. 이건 아마도 모닝을 운용하셨기 때문에 소나타를 시승해 보시면 그 차이를 금방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우야노 2010-12
무슨차를 사든. 이차는 내차다..라고 필이 오지 않으면 어느 누가 권해도 후회합니다.
맘 먹은차 구매하시는게 정답입니다.
저.. 실연비 4km/L 나온차 .. 그냥 운전합니다. 즐기자고 있는 것이니까요.
(50리터 만땅 넣어서 220km 탄...)
     
김정중 2010-12
혹시 SM7 RE35인가요...???
홍인성 2010-12
디젤차는 관리 정말 중요합니다.. 좋은 엔진에 관리까지 해준다면.. 승용안부럽습니다..
방음도 손수 한다면 1~2만원으로 충분한 효과 냅니다... 차에 애정쏟으시면.. 저렴하게 잘 탈수있습니다..

라프 디젤 환경세 면제되서 전 보증금빠지면 살려고 합니다. 예전 뉴코튜닝 잘되서 매매상이 바로 가져갔습니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자기꺼는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김동범 2010-12
저희 회사사람들과 얘기해본 바로는... 라프가 튼튼하다고 합니다. 대우차량들이 전통적으로 쇳덩어리들이라고 하더라구요. 물론 기름도 약간 더 먹겠지만...

포르테 시리즈는 철판이 얇다고 들었습니다. 오죽하면 '휴지테'라는 별명도 있죠.

아반떼는 그냥 무난무난....

회사사람들 말 들어보면 디젤이 오히려 선호도가 높습니다. 다들 디젤차량 사고 싶어합니다. (특히 골프 같은 차량)

전 포르테쿱 1.6 타고 있습니다. 아직 20대이고 혼자 타고 다닐거라 그냥 쿠페 모델 샀습니다. 저도 살때 2천 조금 넘게 들었습니다만 사실 그돈에 조금만 보태면 YF나 K5깡통차 정도는 가능했었긴합니다만 무리해서 중형차 깡통 살바에는 그냥 풀옵 넣고 준중형 사자라는 생각으로 샀습니다. 세단에 비해 조용하지도 않고 서스도 딱딱하지만 뭐 어떻습니까. 그런거 못 견딜꺼였으면 애초부터 돈 많이 모아서 비싼 세단 사던가 외제차를 샀어야한다고 보구요.

그런데 결정적으로 누구나 다 그렇듯 자기 맘에 드는거 사야한다고 봅니다. 차가 뭐 한두푼 하는 것도 아니고 맘 내킬때 막 바꿀수도 없을 것이고... 남에 말 듣고 샀다가 나중에 맘에 안들면 누구도 책임 안 져주니 그냥 본인 맘에 드는게 최고인것 같습니다.
곤충학자 2010-12
차라는게 크기도 중요하지만, 원하는 만큼 달려주는것도 중요하죠. 제가 지금 차 한대 새로 산다면
무조건 2011년식 라프디로 할겁니다.  그런데 새 엔진 들어간 라프디는 이제 수동이 안 나온다는게
좀 아쉽긴 하네요. 대우차는 내수용과 수출용을 차별하지 않고 똑같이 만든다는 점도 맘에 들구요.

차라는게 취향이긴 하죠. 한국에선 물컹하고 조용한 차가 일반적이라 디젤차가 인기 없을 수도 있는거구요.
저는 완전히 반대의 취향이라... 엔진소리 안 들리면 답답하고, 물컹하면 불안하고 그래요.
200마력 30토크 정도가 딱 제 수준입니다.

그리고 소형 터보엔진이 세계적인 추세가 될것 같더군요. 미국에서 파는 라세티는 가솔린 1.4 터보
들어갑니다. F1 엔진도 이제 터보로 바뀐다죠. 80년대 F1용 터보 엔진은 1.5리터로 본선 셋팅 900마력,
예선전 셋팅 1500마력도 뽑아냈읍니다.
블루모션 2010-12
라프디가 진리죠^^

우리나라는 좀 과시욕이 강하고 차에대한 문화가 부족해서 그돈이면 중형차 즉 SM5 혹은 소나타나 k5산다고 말하는 문화가 많지만 적당한 차체에 강력한 힘을 가지고 좋은 핸들링으로 재미있게 탈수 잇는 차가 좋아라고 말하고 또 사서 즐기는 유럽스타일을 즐기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요즘엔 평범한 월급쟁이가 골프나 BMW 120D같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차보단 자기가 즐길수 있는 차를 사는 사람도 많아지더라구요

라프가 벤츠와 bmw를 능가하는 충돌안정성을 가지고 핸들링도 푸조와 맞먹는다고 합니다 용접만 하는게아니라 차체에 구조접착제가 발라져있고 스팟용접도 더 촘촘하며 안정성에선 최고등급입니다
유럽.중국/호주등에서 최고안전등급을 받았고 캐나다에선 올해의 차로 선정되기도 했죠

GM유럽의 주력차종이고 우리나라에서 만드는것뿐이라 단지 대우마크를 달고 나왔다고 평가절하되어서 싸게 파는겁니다 이제 시보레 마크 달고 나오면 가격 올라갈거라 생각됩니다

저도 좀 특이한 성격이라 소나타나 k5 이런건 별고 관심도 안가는데 라프디는 참 가지고 싶더군요 특히 11년형은 엔진이 바뀌어서 더 조용해지고 출력도 쎄졌습니다
네이버라세티 카페가 젤 큰것같으니 가입해서 1달동안 글들 다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거에요

하지만 님 말대로 차체가 좀 무거워서 1.6은 힘들고 .8이나 디젤이 더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바꾸고 싶은 맘이 굴뚝이라 매일 눈팅만 하는데 라프디 산사람들 다 만족하더군요
힘이면 힘 연비면 연비. 어설픈 하이브리드보단 훨씬 좋다고 생각됩니다
이해하면 2010-12
80키로 이상의 속도에서는 오히려 디젤이 더 조용합니다.
2천 알피엠대에서 100키로 정속주행하는 느낌은 정말로 조용함 그 자체.
20만 키로 탄 소나타 2.0 디젤을 2대 정도 보았는데.. 지금이라도 중고 사고 싶더라구요..
윤치열 2010-12
http://www.autoview.co.kr/content/autoview_road.asp?news_section=auto_view&pageshow=2

오토뷰가시면, 아반떼와 포르테 그리고 라프에 대한 시승기가 있습니다.
오토뷰의 김PD 주관적인 부분이 있지만, 나름 선택하시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문병기 2010-12
가족 태우고 다니는 차는 안전성과 크기를 가장 크게 고려해야 되겠죠. 라프디가 아무리 잘 나왔어도 준중형이고, 제 기준으로는 가족 태우고 다니기 좋은 차로 준중형을 선택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3인 가족에게 같은 돈 내고 라프디랑 소나타랑 둘 중에 어느 택시 탈거냐고 물어보면?? 답은 정해져 있죠.^^
이문흠 2010-12
많은 의견 감사합니다.

가족들이 같이 타더라도 이제 겨우 1살 반짜리 아들래미와, 갓난 아이라서 뒷자석에 큰 배려를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이 녀셕들이 커진다면, 그때는 라프디같은 차량을 살수 없겠죠.
그래서 이번에 사고, 다음 차는 준형으로 가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많은 의견을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넘버99 2010-12
저도 요즘 라프에 관심이 많은데 내년 후반부에나 구매 하려고 합니다.
1.8 이나 디젤중에 하나 고르려고 하는데 결국 사고 싶은거 사는게 답인거 같네요
아직 미혼인지라 저한테 딱일듯 하네요.
저도 작년에 라프 vs 아반때 vs 포르테 vs NSM3선택에 무지하게 갈등이었습니다.
취향은 소음에 민감한 편이라 결국 NSM3를 선택했습니다.. 라프.. 멋집니다.. 밟는데로 나가주는... 반면 sm3 밟는데로는 나가주지는 않습니다. 대신 큰 실내공간과 조용함이라는 잇점이 있습니다. 전 이것땜시 구매를 결정했지만 스포티한 주행감을 원한다면 라프가 답입니다. 거기에 주행거리가 많다면 라프디가 답이지요..
타임킬러 2010-12
승용디젤 번개라도 해야 할 분위기군요... ^^;
김상목 2010-12
저도 라프 1.8 알아보긴했는데 영맨할이 30빼곤 없더군요.
김두홍 2010-12
준준형차를 구입하신다면
라프디가 답입니다!
차량샷시 전체적인 바란스가 제일좋죠..
오토조인스의 차량전문가 김pd도 칭찬을 많이 했던 찹니다.
기아 뉴프라이드 디젤 1.5 운행중입니다.

디젤이 유지비는 확실히 들 먹습니다.

요즘 경유값도 올라다고 하지만, 저같은 경우 100km/만원 정도되더군요.

40리터 만땅하면 600km 운행됩니다.(업무상 고속도로도 쫌 달려줍니다.)

소음은 그냥 워크스테이션 쓴다고 생각하고 삽니다. ^^


QnA
제목Page 3944/5725
2015-12   1769366   백메가
2014-05   5243969   정은준1
2010-12   9753   땡감
2010-12   7612   심바트
2010-12   8047   레인보우7
2010-12   8188   일반유저
2010-12   17771   마이코코
2010-12   10072   양창권
2010-12   7923   보물섬
2010-12   13879   머라카는데
2010-12   8277   쭌군
2010-12   13869   김건우
2010-12   7720   최원시익
2010-12   18771   무느미
2010-12   6850   보물섬
2010-12   10087   6k2goq
2010-12   8545   디자인랩스
2010-12   7178   임성환
2010-12   7887   선철
2010-12   8954   Uknow
2010-12   9933   2SHyunStyle
2010-12   9804   로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