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회전 축에 뭔가를 고정하는 방법 문의

   조회 20205   추천 0    

안녕하세요 2CPU회원여러분,

 

얼마전에 소형 송풍기를 하나 구입을 했습니다. 송풍기의 모터에 블레이드가 달려있는데 블레이드가 모터축에 어떻게 고정이 되는가 유심히 살펴보니 블레이드와 축이 고정이 되는 부분에 구멍을 내서 렌치볼트(?) 같은걸 적당히 박아서 볼트가 축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을 만큼의 두께로 잘 고정이 되어있더라구요...

 

 

여기서 궁금한것이 그... 렌치볼트 같은걸 뭐라고 부르며, 축에 나사탭을 낼때 일반 드릴가지고서는 어려운지 궁금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현호01 2011-02
세트스크류를 말씀하시는가 보군요.
머리가 보이지 않고 구멍에 삽입되는 형식인가요? 그럼 세트스크류입니다
탭핑나사는 수작업에는 보통 핸드탭을 사용하게 되는데 얼마하지 않습니다.
일반 드릴기리로 구멍을 먼저 뚫고 핸드탭으로 나사산을 내면 됩니다.
보물섬 2011-02
3파이 볼트는 2.8파이로 탭을 내야 합니다  3파이라고 3파이로 내면 헛돕니다

4파이 자리면 3.8파이로 탭을 내는 그런식입니다
     
임민규 2011-02
피치만큼 작게 내는 건 맞습니다만 말씀하신 구멍이 너무 크네요.
M3의 경우 피치 0.5라서 보통 2.6파이로 구멍을 냅니다.
더기 2011-02
통상적인 명칭은 "무두렌치볼트"라고 합니다.

참조규격, http://www.ckbolt.co.kr/product_8.htm

판매처, http://www.eleparts.co.kr/front/productlist.php?code=012017007001

보통 태핑머신을 이용하는 것을 권합니다만 정, 역회전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전동드라이버로도 가능은 합니다.
일정한 저회전속도(토크위주)로 피치를 따라 자연스럽게 누르면서 흔들리지 않게 작업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탭은 3개 한 세트로 된 것을 구입하고 1번 탭 부터 3번 탭 순차적으로 작업하셔야 정확한 탭핑작업이 가능합니다. 탭 끝의 경사가 완만한 것이 1번 탭이고 최초 작업 시 정확한 수직 탭 경로의 가이드 역활을 합니다.
정은준1 2011-02
답변을 주신 회원님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역시 2CPU
Set Screw, 또는 멈춤나사라고 합니다.

축에 회전체의 동력장치(클러치, 기어, 풀리) 등을 탈거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은 셋 스크류를 이용하거나, 축 자체에 나사를 만들어서 너트(탈거 방지용 로크 너트)로 고정하는 방법, 분할 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셋 스크류는 고정용입니다. 동력 전달용의 키처럼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셋 스크류는 KS 규격품입니다. 시중에 가시면 KS 규격집이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하셔서 참고하시면 도움되시겠습니다. 후다닥...
문경석 2011-02
Set Screw 는 그냥 구멍뚫어서 박기만한다고 고정되지않습니다.
축자체에도 Set Screw 가 고정될수있도록 가공을 해야합니다.(평평하게 깍던지,스크류 위치를잡아주던지)
둥근 축에 그냥 셋 스크류를 박으면 아무리 잘조아도 둥글기때문에 미끄러지면서 헛돕니다
가령저가나 조잡한 모터 들같은경우 축에 작업을 안해주어서 헛돌고 축이 헛돌면서 축자체가 상하는경우가많습니다
셋스크류를 사용하시려면 축에도 무조건 작업을 해야합니다..
문경석 2011-02
아그리고 셋스크류는 위에적은거처럼 축에 구멍이나 탭을 내는게아닙니다..
축에 위치만잡아서 살짝 가공만하고 pully 만 탭을내어서 축을 꽉 잡아주는 용도입니다..
축자체에 구멍뚫어서 고정하는방식은 pin 방식이구요 그냥 구멍만뚫어서 핀박고 따로 셋스크류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
김승룡 2011-02
문경석님께서 말씀하시는 방법을 추천합니다.
안형곤 2011-02
저는 저 볼트를 스터드 볼트라고 알고 있는데요..
(자동차에 실린더헤드쪽에 매니홀드와 연결할때 주로 씁니다. )


QnA
제목Page 3918/5725
2015-12   1768922   백메가
2014-05   5243592   정은준1
2011-02   7619   심바트
2011-02   14664   FreeBSD
2011-02   8707   우야노
2011-02   9965   정병곤
2011-02   20206   정은준1
2011-02   8193   Larry
2011-02   11022   정지혁
2011-02   7107   미녀와확고…
2011-02   6851   신관악산
2011-02   8610   dragoune
2011-02   6792   임진욱
2011-02   11111   마이코코
2011-02   7171   검은콩
2011-02   8134   강한성
2011-02   7305   the촌놈
2011-02   9055   민준호
2011-02   7945   백승철
2011-02   8786   웨비
2011-02   9019   이충욱blue
2011-02   6370   임덕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