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8922 |
25 |
2015-12
1768922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3592 |
0 |
2014-05
5243592
1 정은준1
|
36152 |
DVD 관련 프로그램 질문 |
심바트 |
2011-02 |
7619 |
0 |
2011-02
7619
1 심바트
|
36151 |
넷북과 노트북의 전력 소모에 관하여.... (1) |
FreeBSD |
2011-02 |
14664 |
0 |
2011-02
14664
1 FreeBSD
|
36150 |
서버용 파워 고장시.. (4) |
우야노 |
2011-02 |
8707 |
0 |
2011-02
8707
1 우야노
|
36149 |
메모리 4G를 꽂았음에도 3.25G밖에 인식을 못하는 놋북인데...64bit (6) |
정병곤 |
2011-02 |
9965 |
0 |
2011-02
9965
1 정병곤
|
36148 |
[기계] 회전 축에 뭔가를 고정하는 방법 문의 (10) |
정은준1 |
2011-02 |
20206 |
0 |
2011-02
20206
1 정은준1
|
36147 |
Python xen 모듈 써보신분 계신가요? 또는 Xen 네트워크에 대해 잘 아시는 분.. (2) |
Larry |
2011-02 |
8193 |
0 |
2011-02
8193
1 Larry
|
36146 |
8포트 스위칭 허브 성능에대한 질문 (8) |
정지혁 |
2011-02 |
11022 |
0 |
2011-02
11022
1 정지혁
|
36145 |
근무하시는 회사에 중국법인이 있으신분? (2) |
미녀와확고… |
2011-02 |
7107 |
0 |
2011-02
7107
1 미녀와확고…
|
36144 |
그래픽 문제인지 드라이버 문제인지 (6) |
신관악산 |
2011-02 |
6851 |
0 |
2011-02
6851
1 신관악산
|
36143 |
XenServer 에서 사용 가능한 레이드 컨트롤러 (4) |
dragoune |
2011-02 |
8610 |
0 |
2011-02
8610
1 dragoune
|
36142 |
자바 SMTP 프로그래밍에 경험이 있으신분 좀 봐주세요. (2) |
임진욱 |
2011-02 |
6792 |
0 |
2011-02
6792
1 임진욱
|
36141 |
제온 E3 1220L 이거 ITX 보드용 맞나요? (6) |
마이코코 |
2011-02 |
11111 |
0 |
2011-02
11111
1 마이코코
|
36140 |
큰일났습니다. 슈퍼마이크로 서버 케이블 절단 관련.. (14) |
검은콩 |
2011-02 |
7171 |
0 |
2011-02
7171
1 검은콩
|
36139 |
ubs 장치 연결시 모니터 떨림현상 (2) |
강한성 |
2011-02 |
8134 |
0 |
2011-02
8134
1 강한성
|
36138 |
정길님이 분양하신 GM965 ITX보드 쿨링은 어떻게들 하시나요? (1) |
the촌놈 |
2011-02 |
7305 |
0 |
2011-02
7305
1 the촌놈
|
36137 |
XW8200에서 Windows XP 64비트 설치중 스카시 레이드 0.가 인식 안됩니다. (2) |
민준호 |
2011-02 |
9055 |
0 |
2011-02
9055
1 민준호
|
36136 |
JS-2000 짐승사용자 봐주세요.^^ 듀얼브라켓관련.. (10) |
백승철 |
2011-02 |
7945 |
0 |
2011-02
7945
1 백승철
|
36135 |
조립 서버 호환성 여부 부탁드리겠습니다. (6) |
웨비 |
2011-02 |
8786 |
0 |
2011-02
8786
1 웨비
|
36134 |
모토로이 롬업 중 켠 후 어떤 키를 눌러야 하나요? (5) |
이충욱blue |
2011-02 |
9019 |
0 |
2011-02
9019
1 이충욱blue
|
36133 |
슬롯8배속 보드가 무엇이 좋은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임덕경 |
2011-02 |
6370 |
0 |
2011-02
6370
1 임덕경
|
머리가 보이지 않고 구멍에 삽입되는 형식인가요? 그럼 세트스크류입니다
탭핑나사는 수작업에는 보통 핸드탭을 사용하게 되는데 얼마하지 않습니다.
일반 드릴기리로 구멍을 먼저 뚫고 핸드탭으로 나사산을 내면 됩니다.
4파이 자리면 3.8파이로 탭을 내는 그런식입니다
M3의 경우 피치 0.5라서 보통 2.6파이로 구멍을 냅니다.
참조규격, http://www.ckbolt.co.kr/product_8.htm
판매처, http://www.eleparts.co.kr/front/productlist.php?code=012017007001
보통 태핑머신을 이용하는 것을 권합니다만 정, 역회전과 속도조절이 가능한 전동드라이버로도 가능은 합니다.
일정한 저회전속도(토크위주)로 피치를 따라 자연스럽게 누르면서 흔들리지 않게 작업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는 탭은 3개 한 세트로 된 것을 구입하고 1번 탭 부터 3번 탭 순차적으로 작업하셔야 정확한 탭핑작업이 가능합니다. 탭 끝의 경사가 완만한 것이 1번 탭이고 최초 작업 시 정확한 수직 탭 경로의 가이드 역활을 합니다.
역시 2CPU
축에 회전체의 동력장치(클러치, 기어, 풀리) 등을 탈거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방법은 셋 스크류를 이용하거나, 축 자체에 나사를 만들어서 너트(탈거 방지용 로크 너트)로 고정하는 방법, 분할 핀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셋 스크류는 고정용입니다. 동력 전달용의 키처럼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리고 셋 스크류는 KS 규격품입니다. 시중에 가시면 KS 규격집이 저렴한(?) 가격에 판매되고 있으니, 하나 구매하셔서 참고하시면 도움되시겠습니다. 후다닥...
축자체에도 Set Screw 가 고정될수있도록 가공을 해야합니다.(평평하게 깍던지,스크류 위치를잡아주던지)
둥근 축에 그냥 셋 스크류를 박으면 아무리 잘조아도 둥글기때문에 미끄러지면서 헛돕니다
가령저가나 조잡한 모터 들같은경우 축에 작업을 안해주어서 헛돌고 축이 헛돌면서 축자체가 상하는경우가많습니다
셋스크류를 사용하시려면 축에도 무조건 작업을 해야합니다..
축에 위치만잡아서 살짝 가공만하고 pully 만 탭을내어서 축을 꽉 잡아주는 용도입니다..
축자체에 구멍뚫어서 고정하는방식은 pin 방식이구요 그냥 구멍만뚫어서 핀박고 따로 셋스크류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
(자동차에 실린더헤드쪽에 매니홀드와 연결할때 주로 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