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장치에서 RAM으로 데이터 전송시 메인보드가 어느정도 속도까지 지원하나요?

무아   
   조회 6085   추천 0    

외부장치는 USB2.0 포트 6개나 PCI 슬롯을 통한 IEEE1394 인터페이스 6개가 될 겁니다.
외부장치 1개당 20Mbytes/sec ( = 160Mbps ) 속도로 데이터를 보내주고 이런 외부 장치가 6개가 물릴 겁니다.
이렇게 전송된 데이터는 HDD나 SSD 같은 기억장치로는 보내지 않고 오직 보드의 메인메모리와 CPU에서 처리하고 그냥 버립니다.

6개의 외부장치가 보내는 데이터량을 보면 960 Mbps 나 되는 엄청난 양인데 이걸 받아줄 수 있는 
메인보드가 있을까요?

2개의 USB 2.0 외부장치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Windows7 Home, P5 일반 데탑용 보드, VisualStudio2008 C++ 를 써서 시스템을 구현하고 안정적으로 돌아가기는 하는데 6개로 늘리라고 하네요...

메인보드 3장을 넣고 1개의 시스템인 것처럼 만들어 볼까 생각도 들지만
1장의 메인보드로 위와 같은 일을 할 수 있는 전송 대역폭 좋고 8Core CPU 쓸 수 있는 메인보드가 있으면 추천 부탁합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더기 2011-04
현재 가동중인 컴퓨터의 규격을 알려주시면 더 정확한 검토가 가능할 것으로 봅니다.

- 6x 20MByte 랜덤데이터의 수수를 위한 외부 인터페이스는 IEEE1394를 권합니다.
USB와는 통신 프로토콜이 기본적으로 다르고 유사 어플리케이션으로 볼 수 있는 멀티미디어 계통의 솔루션, 제품, 사용실적에서 우위에 있습니다.

- 마더보드와의 연결 인터페이스는 PCI가 아닌 PCI-e형식의 제품을 권합니다.
대역을 공유하는 PCI형식보다는 포인트 to 포인트 형식의 PCI-e방식이 구조적으로 각 독립적인 대역을 보장하는 장점을 들 수 있습니다.

http://blog.danawa.com/prod/?prod_c=695013&cate_c1=862&cate_c2=886&cate_c3=1031&cate_c4=0
1394b(800Mbps)에 1x PCI-Express 규격의 제품입니다. 1394a 규격의 제품도 있습니다.

- 마더보드는 X58칩셋의 워크스테이션 보드나 55xx칩셋을 적용한 서버보드를 적용하면 상기대역은 충족합니다.
메모리 요구량 및 현재 가동중인 컴퓨터의 구성 하드웨어 성능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겠습니다.
박동권 2011-04
조언 감사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QnA
제목Page 3886/5723
2015-12   1760692   백메가
2014-05   5234340   정은준1
2011-04   6808   유종철
2011-04   10606   마이코코
2011-04   7671   여주이상돈
2011-04   8120   obawang
2011-04   7494   2CPU최주희
2011-04   10014   ati2evxx
2011-04   15968   우야노
2011-04   6551   방o효o문
2011-04   5877   정진수
2011-04   12814   스카이
2011-04   9621   마이코코
2011-04   8964   NiteFlite9
2011-04   7131   유종철
2011-04   7171   장동건2014
2011-04   6086   무아
2011-04   6018   김윤술
2011-04   10504   시나브로
2011-04   13898   방o효o문
2011-04   15165   스카이
2011-04   6705   그래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