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7087 |
0 |
2014-05
5237087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2738 |
25 |
2015-12
1762738
1 백메가
|
37110 |
약국에 사용할 컴퓨터 추천 부탁드립니다. (24) |
박 |
2011-05 |
8428 |
0 |
2011-05
8428
1 박
|
37109 |
대용량 첨부시 메일별 용량 한계가 얼마인가요 (7) |
2CPU최주희 |
2011-05 |
36228 |
0 |
2011-05
36228
1 2CPU최주희
|
37108 |
JS-2000 에 HDD 낑구는거 구합니다.밑에 사진참고해주세요~^^ (10) |
백승철 |
2011-05 |
8737 |
0 |
2011-05
8737
1 백승철
|
37107 |
케이스전면단자오디오포트가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네요... (8) |
김건우 |
2011-05 |
18026 |
0 |
2011-05
18026
1 김건우
|
37106 |
3M emi shielding tape 구입 가능 할까요 (2) |
승후니도쿄 |
2011-05 |
9334 |
0 |
2011-05
9334
1 승후니도쿄
|
37105 |
혹시 이런 다운 증상 경험해 보셨나요? (4) |
미수맨 |
2011-05 |
8226 |
0 |
2011-05
8226
1 미수맨
|
37104 |
컴퓨터 속도향상에~~ (9) |
불무골 |
2011-05 |
10158 |
0 |
2011-05
10158
1 불무골
|
37103 |
일반적으로 웹싸이트나 메신저등이 ip주소말고 mac같은 정보도 수집하나요? (3) |
박용선 |
2011-05 |
7197 |
0 |
2011-05
7197
1 박용선
|
37102 |
amd e350 vs atom330 ? (8) |
이종송1 |
2011-05 |
11479 |
0 |
2011-05
11479
1 이종송1
|
37101 |
[질문] 오래도록 방치한 CRT모니터는 (13) |
나너우리 |
2011-05 |
6844 |
0 |
2011-05
6844
1 나너우리
|
37100 |
컴퓨터 먼지 청소를 위한 콤프레샤 (2) |
김윤술 |
2011-05 |
15602 |
0 |
2011-05
15602
1 김윤술
|
37099 |
[질문] 샌디브릿지 관련 초보틱한 질문 하나 (3) |
일반유저 |
2011-05 |
6851 |
0 |
2011-05
6851
1 일반유저
|
37098 |
AMD 보드셋과 SSD 궁합문의(ACHI 지원문제) (2) |
이병한 |
2011-05 |
11843 |
0 |
2011-05
11843
1 이병한
|
37097 |
[질문] 중고 노트북 구입 질문입니다. (5) |
이상헌 |
2011-05 |
7575 |
0 |
2011-05
7575
1 이상헌
|
37096 |
제가 애프터이펙트를 사용할려구하니.깔리지가 않는군요 ..왜 그런지 알고싶습니다. (3) |
최시영 |
2011-05 |
6593 |
0 |
2011-05
6593
1 최시영
|
37095 |
IBM Serve RAID M5015 펌웨어 업후 에러 메시지 출력. |
천상비운 |
2011-05 |
8288 |
0 |
2011-05
8288
1 천상비운
|
37094 |
메인급 이상 쿼드로로 맥스 써보신분 계신가요? (7) |
김범수83 |
2011-05 |
9430 |
0 |
2011-05
9430
1 김범수83
|
37093 |
datamore penta RAID 고수님들 조언 구합니다. (6) |
말안하묜직진 |
2011-05 |
8321 |
0 |
2011-05
8321
1 말안하묜직진
|
37092 |
포토샵 프로그램?? (7) |
불무골 |
2011-05 |
7207 |
0 |
2011-05
7207
1 불무골
|
37091 |
하드디스크 I/O 장치 오류 피해가는법?? (3) |
황혼을향해 |
2011-05 |
31681 |
0 |
2011-05
31681
1 황혼을향해
|
JMicron 혹은 SiliconImage 의 일부 칩셋에서만 제대로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용하고 계시는 보드는 JMicron 도 SiliconImage SATA Controller 칩셋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며
Intel H67 칩셋 자체의 SATA 를 통해 구현한 eSATA 로 보입니다.
따라서 위의 SiliconImage 의 유틸리티를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칩셋에서도 PM 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여러개를 연결하여도 1번 단일하드 밖에 인식이 안될 것입니다.
Datamore penta RAID 제품의 경우 내부에 SiliconImage Port Mulitiplier 칩을 통해서
eSATA 1개의 포트를 5개의 HDD Bay 로 분배하는데 SATA Controller 가 PM 을 지원할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PM 지원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 첫번째 HDD 만 단일하드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RAID 의 경우도 Datamore 제품 자체에는 RAID 기능이 전혀 없으며
Silicon Image Sli3132 등의 칩셋을 통해서 Soft RAID 를 지원할 경우 PM 으로 사용하면서
RAID 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겁니다.
초보자이고 처음 사용하시는 거라 쉽게 설명하려 하는데 잘 안되네요.
이해 안되면 또 질문하세요.
요약 & 결론 : 아무튼간에 5 Bay 다 못쓰고 RAID 로도 활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 그림에 있는 Silicon Image S/W 는 보드에 해당 칩이 없으므로 못씁니다.
Port multiplier 기능을 전혀 생각지도 못했네요...
그런데, 님 말씀대로 적어도 하나의 HDD는 인식해야 할텐데, 전혀 인식을 못하네요..
이것도 역시 칩셋의 문제인가요?
ASUS P8P67 Pro board로 한대를 더 조립 예정인데, 이 보드는 JMicron controller이네요.
SiliconImage Port Mulitiplier 칩을 사용하는 datamore 제품과 호환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eSATA controller(SiliconImage chipset)를 하나 장만하는게 나을까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제품 자체에 사용되는 컨트롤 칩이 발열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HDD가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제품일 경우 칩과 의 거리가 매우 가깝고 HDD에서 발생된 열이 칩을 지나갈 가능성이 많아서 레이드가 풀려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쪽에 새로 120mm 팬을 추가 설치하시거나 하는 식으로 내부 컨트롤 칩의 열을 낮춰줄 방법을 찾으셔야 할 지도 모릅니다. 저 같은 경우는 octaraid 였는데, 발열때문에 raid 10이 1달만에 풀리고 그 후로는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켜서 제품 교환까지 생각했다가 칩에 강제 송풍을 하고 나서는 괜찮아졌습니다. 그후로는 4개월째 동작중인데 아직 문제는 없군요.
제품의 raid5성능은 100MBps 이상되는 하드를 사용해도 40-50MBps 나오기가 힘듭니다. riad1 속도는 괜찮더군요.
아무튼 내부 컨트롤 칩의 냉각을 고려하세요. 아니면 어느정도 사용중에 갑자기 하드가 죽어버릴 수 있습니다. (레이드만 풀리는게 아니고 하드가 죽어버리는 것처럼 됩니다. 물론 그 하드 따로 떼어내면 살아나지만, 레이드로는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더군요.
다른 얘기인데 USB3.0 to SATA interface 칩의 경우 대부분 JMicron 칩셋이더군요.
JMicron 이 솔직히 SiliconImage 에 비해 못미덥기는 하지만 아주 무시할 수도 없는 듯합니다.
선철님께서 좋은 정보를 주셨는데, 그렇다면 칩의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판 같은것을 사용하는 건 어떨까요?
공유기나 모뎀 등 완제품의 경우에도 제품에 따라서 실제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칩에
방열판이 붙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기본 쿨링 + 칩에 붙어있는 방열판으로 칩의 열을 배출시키는 것도
좋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Controller 에서 XOR 하드웨어 연산을 통한 하드웨어 RAID 가 아닌
일반 SATA 인터페이스를 위한 Controller 를 통한 소프트웨어 RAID 의 경우 RAID5 는 권장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방법을 고민하다가 레이드 박스 문(타공망 입니다)의 밖에 송풍이 박스 안쪽으로 되도록 120mm 팬을 설치하고 배선은 디스크 사이로 빼서 기판에 연결했습니다. 그리고서는 아무문제 없고, 문제를 한번 일으켰던 HDD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무수한 문제를 일으켰던 - 이렇게 저렇게 테스트 해보느라고. - 는 다른 PC에 설치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