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more penta RAID 고수님들 조언 구합니다.

   조회 8320   추천 0    

 

i7 2600, intel DH67BLB3 Media, Windows 7 ultimate 64-bit

사용중이었는데, 메뉴얼대로 연결 후 동봉된 CD로 드라이버

 및 유틸 설치 후에도 전혀 인식을 못합니다.

 

그래서, 주말 동안에 Window XP professional SP3으로 새로

깔고 똑같이 설치했는데도 전혀 인식이 안되네요.

사용한 HDD는 따로 보드에 연결하면 잘되구요...

 

그런데, penta RAID 파워와 PC link LED는 불이 들어오는데

좌측 하단에 HDD 1,2,3,4,5 LED는 불이 들어오지 않는군요.

Win 7, Win XP 둘다 그러네요...원래 그런건가요?

 

eSATA cable도 다른걸로 갈아보고, 보드의 다른 eSATA connect로 바꿔봐도

 증상은 똑같습니다.

화면에 이렇게 뜨네요...

raid controller의 문제인가요? raid는 아직 설정도 못했읍니다.

 

교환을 해야되는 건가요?

혹 써보신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꾸벅...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송재훈 2011-05
잠깐의 검색을 통해 알아본 바로는 H67 칩셋의 경우 Port Mulitiplier 기능이 정상동작하지 않습니다.
JMicron 혹은 SiliconImage 의 일부 칩셋에서만 제대로 지원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용하고 계시는 보드는 JMicron 도 SiliconImage SATA Controller 칩셋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며
Intel H67 칩셋 자체의 SATA 를 통해 구현한 eSATA 로 보입니다.
따라서 위의 SiliconImage 의 유틸리티를 사용할 이유가 전혀 없으며 칩셋에서도 PM 을 제대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여러개를 연결하여도 1번 단일하드 밖에 인식이 안될 것입니다.

Datamore penta RAID 제품의 경우 내부에 SiliconImage Port Mulitiplier 칩을 통해서
eSATA 1개의 포트를 5개의 HDD Bay 로 분배하는데 SATA Controller 가 PM 을 지원할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PM 지원하지 않는 제품의 경우 첫번째 HDD 만 단일하드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RAID 의 경우도 Datamore 제품 자체에는 RAID 기능이 전혀 없으며
Silicon Image Sli3132 등의 칩셋을 통해서 Soft RAID 를 지원할 경우 PM 으로 사용하면서
RAID 로도 활용할 수 있는 겁니다.

초보자이고 처음 사용하시는 거라 쉽게 설명하려 하는데 잘 안되네요.
이해 안되면 또 질문하세요.

요약 & 결론 : 아무튼간에 5 Bay 다 못쓰고 RAID 로도 활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 그림에 있는 Silicon Image S/W 는 보드에 해당 칩이 없으므로 못씁니다.
류형철 2011-05
송재훈님 자상한 답변 감사합니다.
Port multiplier 기능을 전혀 생각지도 못했네요...

그런데, 님 말씀대로 적어도 하나의 HDD는 인식해야 할텐데, 전혀 인식을 못하네요..
이것도 역시 칩셋의 문제인가요?

ASUS P8P67 Pro board로 한대를 더 조립 예정인데, 이 보드는 JMicron controller이네요.
SiliconImage Port Mulitiplier 칩을 사용하는 datamore 제품과 호환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eSATA controller(SiliconImage chipset)를 하나 장만하는게 나을까요?
선철 2011-05
jmicron 칩을 사용한 컨트롤러에서도 다수 정상 동작한다고는 하는 것 같습니다만....PM 자체가 좀 신뢰도가 떨어져서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결론은 테스트 해보시고 안돼면 새빛 에서 제안하는 컨트롤러를 하나 장만 하셔야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제품 자체에 사용되는 컨트롤 칩이 발열에 매우 취약합니다. 특히 HDD가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제품일 경우 칩과 의 거리가 매우 가깝고 HDD에서 발생된 열이 칩을 지나갈 가능성이 많아서 레이드가 풀려 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문쪽에 새로 120mm 팬을 추가 설치하시거나 하는 식으로 내부 컨트롤 칩의 열을 낮춰줄 방법을 찾으셔야 할 지도 모릅니다. 저 같은 경우는 octaraid 였는데, 발열때문에 raid 10이 1달만에 풀리고 그 후로는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켜서 제품 교환까지 생각했다가 칩에 강제 송풍을 하고 나서는 괜찮아졌습니다. 그후로는 4개월째 동작중인데 아직 문제는 없군요.
제품의 raid5성능은 100MBps 이상되는 하드를 사용해도 40-50MBps 나오기가 힘듭니다. riad1 속도는 괜찮더군요.
아무튼 내부 컨트롤 칩의 냉각을 고려하세요. 아니면 어느정도 사용중에 갑자기 하드가 죽어버릴 수 있습니다. (레이드만 풀리는게 아니고 하드가 죽어버리는 것처럼 됩니다. 물론 그 하드 따로 떼어내면 살아나지만, 레이드로는 계속해서 문제를 일으키더군요.
송재훈 2011-05
제품에 따라서 JMicron 제품이 HDD Bay 의 controller 인 경우 간혹 있는 경우가 있는 듯합니다.
다른 얘기인데 USB3.0 to SATA interface 칩의 경우 대부분 JMicron 칩셋이더군요.
JMicron 이 솔직히 SiliconImage 에 비해 못미덥기는 하지만 아주 무시할 수도 없는 듯합니다.

선철님께서 좋은 정보를 주셨는데, 그렇다면 칩의 열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열판 같은것을 사용하는 건 어떨까요?
공유기나 모뎀 등 완제품의 경우에도 제품에 따라서 실제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칩에
방열판이 붙어있는 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기본 쿨링 + 칩에 붙어있는 방열판으로 칩의 열을 배출시키는 것도
좋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Controller 에서 XOR 하드웨어 연산을 통한 하드웨어 RAID 가 아닌
일반 SATA 인터페이스를 위한 Controller 를 통한 소프트웨어 RAID 의 경우 RAID5 는 권장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선철 2011-05
제가 강제송풍에 의한 외부 cooling 을 시도한 것은 컨트롤 칩의 위치가 쿨링핀을 설치하기 난감한 위치에 있기 때문입니다. 칩의 위치가 하드디스크가 장착되는 기판위에 하드디스크 쪽에 있어서 디스크가 설치되고 나면 틈이 1-2mm 정도 밖에 안됩니다. 그러므로 하드디스크가 발열되어 주위로 고온기류가 생성되면, 그속에 퐁당 들어앉아 있는 형태입니다. 궂이 냉각 핀을 하려면 구리판과 연결된 파이프 형태로 기판 뒤쪽으로 돌려줘야 하는데.....고정도 문제고, 열전도 파이프 제작도 좀 난감할 것 같습니다. 잘못하면 하드디스크와 접촉될 우려도 있습니다.
그래서 방법을 고민하다가 레이드 박스 문(타공망 입니다)의 밖에 송풍이 박스 안쪽으로 되도록 120mm 팬을 설치하고 배선은 디스크 사이로 빼서 기판에 연결했습니다. 그리고서는 아무문제 없고, 문제를 한번 일으켰던 HDD도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서 무수한 문제를 일으켰던 - 이렇게 저렇게 테스트 해보느라고. - 는 다른 PC에 설치했습니다.)
류형철 2011-05
선철님, 송재훈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읍니다..


QnA
제목Page 3869/5724
2014-05   5237087   정은준1
2015-12   1762738   백메가
2011-05   8428  
2011-05   36228   2CPU최주희
2011-05   8737   백승철
2011-05   18026   김건우
2011-05   9334   승후니도쿄
2011-05   8226   미수맨
2011-05   10158   불무골
2011-05   7197   박용선
2011-05   11479   이종송1
2011-05   6844   나너우리
2011-05   15602   김윤술
2011-05   6851   일반유저
2011-05   11843   이병한
2011-05   7575   이상헌
2011-05   6593   최시영
2011-05   8288   천상비운
2011-05   9430   김범수83
2011-05   8321   말안하묜직진
2011-05   7207   불무골
2011-05   31681   황혼을향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