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실용 조이스틱은 어떤게 좋은가요

   조회 11696   추천 0    

갑자기 트윈코브라에 꽃혀서 조이스틱 하나 알아 보고 잇는데
환타 방식 크라운 방식 있다고 하네요

실사용하시는 분 오락실 느낌과 동일하면서 
내구성 좋은게 어떤건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1-06
제가 예전에 조이스틱좀 여러개 써봤는데요

그중 저렴하면서 쓰만한것이

싸울아비 조이스틱이었습니다.

여러종류의 게임 호환도 되구요

특히 에뮬관련게임 마메같은것에서 좋더군요

"트윈코브라"저도 좋아했었는데요

저는 뭐더라 연두색 무기? 최고로 모아서

그걸로 끝까지 깻던 기억이 나는데요 ^^
쭌군 2011-06
대전 액션 하실게 아니라면 다음 제품을 추천합니다.

유니맥스 액션 조이스틱
http://unimax5.com/sub5/sub5_4.html?DB=sub5_4&Mode=View&Num=110&S=S&target=Board_List&val=0

18500원, 3만원대 제품에 비해, 작다~ (가로길이 30cm는 너무 크다는 아내의 의견에 따라)
전 노랑색 2개 구매해서 아내와 뽀글뽀글 하는데 재미납니다. ^^
조재현 2011-06
흐미 주희님  트윈코브라 끝까지 정말 가셨다는 말인가요?
대단하시다
전 국민학교때부터 했지만 4판이상 넘어본 기억이 없네요
병팔아서 오락실에 쳐박은 돈으로 땅샀으면 재벌이 되었을거 같아요~
정병곤임돠 2011-06
요즘은 어쩐지 모르겠지만...
7~8년 전에 알아볼땐
조이스틱이 크게 두 가지 메커니즘이 있었습니다.

구리접점 방식과 스위치 방식

예전 오락실에서 조이스틱이 잘 안먹힐때
주인장이 간단히 수리하던게 구리접점방식이구요

스틱의 각 방향(8방)에 딸깍거리는 스위치를 달아놓은게(마우스 버튼과 비슷합니다)
스위치방식입니다.


구리접점방식은 대전게임같은 게임에 적합하고요
스위치방식보다 상대적으로 커맨드가 잘 먹힙니다.
비유하자면 아날로그방식이랄까요..

대신 내구성이 많이 떨어집니다.
구리접점이 휜다거나 탄력을 잃으면 분해해서 다시 잡아줘야하는 수고가...


스위치방식은 일단 내구성이 참 좋습니다.
상하좌우, 그리고 각 방향 45도 방향으로 정확하게 움직이는게 가능합니다만
대전격투같은 다양한 커맨드가 들어가야하는경우엔 상당히 불편합니다.
중간에 걸리는게 많고 딸깍거려서 좀 어색하죠..
비유하자면 디지털방식이랄까요^^
연경수 2011-06
다훈전자 제품이 괜찮은거 같습니다.
대신 옛날 오락실 느낌은 가급적 구리접점으로 하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스위치 방식으로 쓰고 있는데 이게 참 이질감이;;
적응되면 괜찮지만 그 과정이 참 힘듭니다.
아현아빠 2011-06
하하 재현님 댓글보고 빵 터졌습니다.
저도 국민학교때 병주우러 다니면서 병팔아서 오락실 갔었죠.. 요즘은 오락실 구경하기 힘들죠..^^

싸울아비가 괜찮은거 같더군요. 무난하고.. 잔고장도 없구요..
고윤철 2011-06
싸울아비가 제일 좋습니다 큼직하니 과격하게 다루어도 잘되고 급할때는 버튼을 손톱으로 갈듯이 누르는거 있죠?
그렇게 해도 잘됩니다.
저는 심심하면 마계촌을 하는데 마계촌 끝판 대장 깨는거 이거 사람이 할짓이 못되는군요 하하.


QnA
제목Page 3861/5727
2014-05   5250742   정은준1
2015-12   1775839   백메가
2011-06   9472   미수맨
2011-06   9982   임종열
2011-06   9008   TSHA
2011-06   8690   일반유저
2011-06   9904   이상열
2011-06   9845   이충욱blue
2011-06   6698   가빠로구나
2011-06   11763   가빠로구나
2011-06   6169   원주멋진덩치
2011-06   8369   13579
2011-06   11697   가빠로구나
2011-06   7638   슬픈잎새
2011-06   7621   이승엽
2011-06   8227   차평석
2011-06   7602   방o효o문
2011-06   6151   장동건2014
2011-06   9459   윤영돈
2011-05   11959   코뿔사냥
2011-05   11328   지름팬더
2011-05   10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