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l PowerEdge T610을 구입하려고 하는데 어떨까요?

huniz   
   조회 7377   추천 0    

 

현재 일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서버가 필요하게 되어 구입하려고 합니다.

집에서 사용할 것입니다.

 

돈이 없는지라...

찾아보다가 이녀석을 알게되어 직접 보고 왔습니다.

 

개인적인 서버이지만 다른 사람들을 상대로 서비스 해보려고 합니다.

 

용도 : 웹서버 + DB + 파일(웹사이트에서 업로드)

 

가난하다 보니 한대에서 다 돌릴려고 합니다.

Model : Dell T610 중고제품(메이커 보증기간 : 2012년 8월까지) 그나마 별로 사용안한 녀석같더라구요.

CPU : Xeon L5520 2.26 GHz 8MB X 2 (1개당 4코어 8스레드) 전체 8코어 16스레드

Memory : 12GB PC3-10600 ECC

MainBoard : Intel® 5520 Chipset

HDD : 시케이트 3.5" SAS 300Gb (15K RPM) (추가예정)

OS : Cent5.5

DB : Mysql

Network : 일반 200Mbps로 고정아이피 사용.

 

- 이 정도의 사양으로 일일 방문객, 월별 방문객, 동시 접속자수는 어느정도 감당해낼 수 있을까요?

- Xeon CPU가 X시리즈 E시리즈 L시리즈가 있는 것 같은데... 차이가 무엇인가요?

- 일반 인터넷 회선으로 서비스가 가능할까요?

- 전기세 얼마나 나올까요? 

 

2CPU님들의 여러 의견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기타 조언도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조우연 2011-07
1. 요즘에는 동접자수. 명수.로 따지는게 아니라 '세션수'로 측정을 합니다. 왜냐면 서버 설계에 따라 접속자 1명이 과도하게 수백만 세션을 점해버릴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 W/X/E/L 제품간 비교는 아래 링크에서 체크후 비교하시기 바랍니다.
http://ark.intel.com/ProductCollection.aspx?series=39565

3. 일본은 회선정책이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지 모르겠으나. 한국의 경우 가정용 회선으로 서버를 운영할경우. 서비스 이용해 필요한 특정포트(ex. 80)포트를 차단하거나 QoS등으로 트래픽을 차단하고 있습니다.

4. 정확한 소비전력 및 요금은 인스펙터같은 측정장비를 통해 실측한뒤. 일본 전기 요금표에 맞게 곱해서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밖에 http://www.extreme.outervision.com/psucalculatorlite.jsp 사이트에서 가상으로 측정해 볼수 있으나 실제 소비전력과는 차이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결론. 처음부터 14만엔을 투자하여 서버를 구매하기 보다는 월 요금을 지불하고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사용자가 증가하면 그때 서버를 구매해도 늦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사용자가 있을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무턱대고 장비부터 도입하는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되며, 호스팅을 할경우 초기에 들어가는 비용도 적고, 월별로 이용료만 납부하면 되기 때문에. 나중에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이전할때 손해가 적습니다.

또한, 일본도 우리나라 처럼 가정용 회선에 대한 서버 운영을 허용하지 않을것으로 예상되니. 구매전 회선정책에 대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허용하지 않는다면 서버호스팅을 이용하거나 구매한 서버를 IDC에 넣어서 운영하셔야 합니다.

다시 한번 신중하게 판단하고 진행하셨으면 합니다.
     
huniz 2011-07
정말 답변 감사합니다.

세션수는 어떻게 측정을 하는 건가요?

일본에서 고정IP신청하면.
보통 1개짜리.
8개, 16개, 32개, 64개, 이런식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일반적입 웹 서비스(80)  FTP, Telnet등등.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주로 이미지 파일들이 많이 올라올 것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에...
웹 호스팅도 생각했으나 턱없는 용량으로 인해서 포기 했습니다. 용량 증설할 경우 요금이 또 많이 부과 되서...

일본에서의 서버 호스팅은 가능하나 엄청 비쌉니다. 차라리 사는게 났습니다.(운영 환경은 호스팅 쪽이 좋지만..)
그리고 서버를 IDC에 넣는 다는 것은 상상도 못합니다. 개인적으로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한달 요금이 50만원(5만엔 이상)입니다.

CPU를 보니 주로 핀수와 캐쉬 메모리, 클럭, 코어수, 스레드에 따라 종류도 다르고 가격도 천차만별이군요.
저렇게 봐도 L시리즈의 성능을 잘 모르겠네요. X가 좋다는 것은 알겠지만...

그리고 이 서버에 14만엔을 투자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워낙 잘 모르다 보니 정말 죄송합니다.
쭌군 2011-07
뻔한 이야기지만, 코드 및 사용자 이용 흐름에 따라 다릅니다.
아무리 서버가 좋아도, 코드상에서 알고리즘이 이상하고나 DB커넥션 처리가 이상하면 뻗습니다.
또 코드에 문제가 없더라고 서버 설정이 이상하면 또 뻗습니다.

시험적으로 하는 서비스라면, PC기반으로 시작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맥미니나 셔틀같은 베어본 여러대의 구성이 더 좋을수도 있어요.
문광화 2011-07
답해드릴게 없네요. 위에서 너무 상세히 해주셔서.


QnA
제목Page 3842/5725
2014-05   5242947   정은준1
2015-12   1768261   백메가
2011-07   8666   이창준
2011-07   5919   장동건2014
2011-07   6169   방o효o문
2011-07   7868   빡시다
2011-07   6789   백승철
2011-07   7767   이원재K
2011-07   6111   황혼을향해
2011-07   6654   원주멋진덩치
2011-07   16126   윤경식
2011-07   9467   장동건2014
2011-07   6807   예관신규식
2011-07   7378   huniz
2011-07   6334   Larry
2011-07   8039   가빠로구나
2011-07   8187   마이코코
2011-07   8237   인천I베리
2011-07   8561   Sico
2011-07   6820   스카이
2011-07   8917   스카이
2011-07   6756   김주용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