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2008 R2에서의 가상메모리

마네   
   조회 15315   추천 0    

HP Microserver - RAM 8GB 입니다. SSD는 없고 전부 HDD고요.

APMSETUP 통한 웹서버, QloudMedia Server, AirVideo Server, Subsonic Server를 돌리고 있습니다.

메모리 누수 방지를 위해 하루 한 번씩 이들 서비스를 껐다 켜곤 합니다.

원래 RAM이 4GB였는데 이번에 8GB로 증설했는데,

이런 서버의 경우에 가상메모리를 어떻게 설정해주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까요?

윈도우에서 권장하는 페이징 파일 크기는 뭔가 믿을만한 게 못되서..

경험적인 여러분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정희섭 2011-07
리눅스에서 Brink 게임서버, Apache PHP Mysql Subversion, wine+uTorrent RSS 돌리는데 swap 안쓰더라구요.
실시간 트랜스코딩 서버들이 있으니 장담은 못드리겠는데, 일단 가상 메모리 없이 써보시고 부족하다고 징징대는 로그 뜨면 조금 늘려 잡으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8기가 절대 작지 않은 양입니다 ^^;
김윤술 2011-07
최대메모리가 물리메모리의 두배요. 최소는 적게 잡더라도 서버에 가상메모리 설정안하는건 바람직하지 않아요. 동시 쓰레드가 많아지면 전부 메모리에 올라가는데 가상메모리 없이 운영이 될거라는 생각은 처음부터 생각을 하지 마세요.
     
마네 2011-07
음 그렇다면 MAX를 16GB로 잡아야 하는건가요..?
nilnilnil 2011-07
아...동시 쓰레드가 페이징 파일로 들어가요???
가상 메모리=페이징 파일인가요??
몰랐던 사실을 알게되네요..아흠..음..
     
김윤술 2011-07
출력은 전부 메모리에서 처리하는데요 운영체제에서 메모리를 사용하는 구조는 커널단 유저단으로 구분이 됩니다. 64비트로 넘어오면서 제한적인게 없는데 동시에 서버가 많은 출력을 해야될 경우가 많고 기본적은 커널단 메모리가 점유하는것도 있고 이런걸 일일이 다 고민할수가 없자나요?
원래 하드 용량만큼 메모리가 있으면 고민할게 없다?라고 말하지만 그렇게 될일은 없자나요. SQL 같은것도 메모리 한번먹으면 서비스 재시작 해주지 않으면 뱉을 생각을 안합니다. DB같은건 메모리를 많이 활용하니까 그에대한 가상 메모리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하드 액세스를 안하고 메모리에서 처리하게끔 가상메모리 없게 만들어놓구 블루스크린이 뜨면 어떻게 덤프분석을 할려는지요?
그리고 윈도우에서 권장하는 페이지파일을 믿을만한게 못되면 문제가 되면 전부 제품탓 하실건가요.
MS제품은 MS가 권고하는데로 해야 문제가 없습니다. 다른제품은 권고데로 잘하면서 유난히 MS제품만 되는데로 굴려먹는다고 교육받을때 강사가 말하더랍니다.
          
nilnilnil 2011-07
저는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가 윈도우에서 잡는 페이징 파일이 같은건지...몰랐던 거라서요.접
윈도우 가상메모리=윈도우 페이징 파일....
각각 프로그램 마다 아니..개발할때 저장장치를 메모리처럼 쓰기 위해서 메모리맵을 쓸텐데
이게 제한이 32/64 비트 운영체제 제한범위 안에서 쓸수 있는데..
이게 윈도우즈 페이징 파일 크기랑 틀리지 않나 해서요..
ned3y2k 2011-07
최소 1.5 최대 3배가 아마 기본 값이지요? 기존 가상메모리를 가지고 계산하시면 식은 나올듯 합니다.

그다음 가상메모리가 부족하여 퍼포먼스에 이상이 발새아혀였을때는 시스템 자원 프로파일링 해서 Max값 측정뒤 값을 넣는게 좋은 방법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방효문 2011-07
다른 엉뚱한 질문 드립니다 개인용 PC인대 메모리를 24GB 풀뱅크로 채웠습니다. 그렇지만 게인용 PC작업 외에 웹 서버라던지 테스트 서버라던지 등등을 (OS종류는 가리지 않습니다.) vmware 웍스 버전으로 굴리고 있습니다.

이때 가상 메모리를 꼭 2배정도는 잡아주어야 할가요? 서버 기동은 하지만 어디까지나 개인용 혹은 테스트 용도긴한대말이죠.
배경호 2011-07
윈도우즈 커널의 매커니즘 상, 메모리에 여유가 있어도 페이징은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운영적인 측면에서는

1. 서버의 경우에는 최소 메모리와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파일을 설정하여야 블루스크린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덤프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서버상의 어플리케이션 (SQL, Exchange 등)에 따라서 페이지파일의 크기를 늘려야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2. PC의 경우에는 메모리의 여유가 있으면 페이지파일 크기를 작게 잡아도 무방합니다. 간혹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상메모리가 부족하다라는 메세지를 받으면 조금 씩 늘리셔도 무방합니다. 굳이 페이지파일 크기를 메모리의 1.5배 ~ 3배까지 설정 할 이유는 없습니다.

3. 이것저것 귀찮으시면 그냥 '기본설정'으로 사용하셔도 됩니다.^^

평균적으로 장착되는 메모리의 용량이 커지면서 '페이지파일 사이즈 크기는 메모리 크기의 1.5배 ~ 3배'라는 공식은 옛말이 되었다라는게 저의 생각입니다. 다만 장애분석을 위한 메모리덤프가 필요한 서버라면 페이지 파일의 크기는 최소한 장착된 메모리 크기보다 커야 한다는 것만 유의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QnA
제목Page 3839/5727
2015-12   1778137   백메가
2014-05   5253182   정은준1
2011-07   5981   Larry
2011-07   9077   미수맨
2011-07   10641   신관악산
2011-07   6618   불무골
2011-07   7088   song05
2011-07   12424   가빠로구나
2011-07   7176   장동건2014
2011-07   7335   이창준
2011-07   6140   방o효o문
2011-07   7333   분당김동수
2011-07   6718   가빠로구나
2011-07   8033   백승철
2011-07   15316   마네
2011-07   10186   nilnilnil
2011-07   8829   스카이
2011-07   7081   일반유저
2011-07   6339   Lucifer
2011-07   6782   서울l승용
2011-07   15893   달광이
2011-07   8011   이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