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2894 |
25 |
2015-12
1772894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7587 |
0 |
2014-05
5247587
1 정은준1
|
38125 |
넷북 질문해 봅니다.(apu) (3) |
콜록콜록 |
2011-08 |
6205 |
0 |
2011-08
6205
1 콜록콜록
|
38124 |
xw 8200 파워와 케이스만 쓰려고 분리하다 지쳤습니다. (2) |
일산보이 |
2011-08 |
7042 |
0 |
2011-08
7042
1 일산보이
|
38123 |
itx로 랜더머신을 만들어 보려 합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3) |
권오준 |
2011-08 |
6102 |
0 |
2011-08
6102
1 권오준
|
38122 |
Dell Perc 6i 사용시 메모리 풀뱅크 인식불가 문제 해결방법 아시는분 있으세요? |
스카이 |
2011-08 |
7517 |
0 |
2011-08
7517
1 스카이
|
38121 |
SSD+HDD 레이드? (3) |
뚜뚜김대원 |
2011-08 |
9816 |
0 |
2011-08
9816
1 뚜뚜김대원
|
38120 |
랜카드가 잘 안붙는 경우... (6) |
굴다리교 |
2011-08 |
6265 |
0 |
2011-08
6265
1 굴다리교
|
38119 |
SATA 포트 순서에 관한 질문입니다~! (5) |
느닷 |
2011-08 |
11064 |
0 |
2011-08
11064
1 느닷
|
38118 |
윈도우7에서 DAT드라이브 사용가능한가요? |
monan |
2011-08 |
6511 |
0 |
2011-08
6511
1 monan
|
38117 |
syncback 긴 경로명 파일 백업 오류 (3) |
landwolf |
2011-08 |
8831 |
0 |
2011-08
8831
1 landwolf
|
38116 |
i7 980x에 관한 질문 (7) |
방o효o문 |
2011-08 |
10583 |
0 |
2011-08
10583
1 방o효o문
|
38115 |
X58보드 부팅불가 문의 (7) |
정은준1 |
2011-08 |
8864 |
0 |
2011-08
8864
1 정은준1
|
38114 |
언매니지드, 스마트, 풀 매니지드 스위치 성능 차이 (5) |
Larry |
2011-08 |
17663 |
0 |
2011-08
17663
1 Larry
|
38113 |
온라인 용량확장은 어떻게 하는 건가요? (4) |
김영석 |
2011-08 |
6159 |
0 |
2011-08
6159
1 김영석
|
38112 |
Z68 보드에서 레이트 컨트롤러 호환성 문의 (5) |
GodokNam |
2011-08 |
6721 |
0 |
2011-08
6721
1 GodokNam
|
38111 |
BR10i 관한 추가 질문 (3) |
방o효o문 |
2011-08 |
6686 |
0 |
2011-08
6686
1 방o효o문
|
38110 |
생전 처음 레이드를 구성해보려고 합니다. (13) |
못생긴애 |
2011-08 |
7170 |
0 |
2011-08
7170
1 못생긴애
|
38109 |
[질문] DDR2 Unbuffered DIMM 이 일반 PC용 램인가요? (2) |
임진욱 |
2011-08 |
7001 |
0 |
2011-08
7001
1 임진욱
|
38108 |
이더뎃 카드 중에서 (4) |
방o효o문 |
2011-08 |
6170 |
0 |
2011-08
6170
1 방o효o문
|
38107 |
[질문] Supermicro X7DB8+ 보드 부팅문제 (5) |
homoludens |
2011-08 |
6709 |
0 |
2011-08
6709
1 homoludens
|
38106 |
파일놀이 대체할 만한 싸이트 좀 없나요? (1) |
소주한병 |
2011-08 |
6236 |
0 |
2011-08
6236
1 소주한병
|
멘보드를 알 수 없으니 가장 특성 덜 타는 걸 쓰셔야 할 거구요
BBU 다시고 8개 다 RAID controller에 달아서 2개는 RAID 1, 나머지는 RAID5로 하시면 되겠네요
연구실에서 쓰실 거면 6805도 좋고 지금 장터에 나와 있는 5805도 아주 좋습니다
저는 얼마 전까지 5805에 15K6 4개는 RAID0 히다치 3T 4개는 RAID5로 한꺼번에 달아서 아주 잘 썼습니다
메인보드는 ASUS P7F-M 입니다.
말씀하신 걸로 사서 해야겠네요 !
디스크의 문제발생시 대처도 문제지만, RAID는 여러 원인으로도 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본 OS는 단일 SSD에
데이터와 프로그램은 RAID구성(5든 6이든 관계는 없습니다만, 반드시 Hot spare 설정하여 쓰세요.)이 좋을 듯 합니다. 물론 OS 디스크는 완벽 설치후 이미지 백업 받으시구요.
아래글 참고하세요.
http://cleep.egloos.com/5146916
http://cleep.egloos.com/4025684
http://cleep.egloos.com/4783511
뭐 RAID 5.6이 아니고 RAID0도 아니고 1이라면 상관 없지 않겠습니까?
저도 RAID 10년 가까이 썼지만 새 HDD에 믿을 만한 RAID controller 쓰고부터는 한 번도 깨지거나 문제 일으키지는 않더라구요
A/S 확실한 하드웨어를 쓴다면 RAID 1은 OS로는 상관 없을 듯 합니다
물론 intel이라면 더 확실하겠죠
아답텍과 하이포인트 수입원인 엔디코에 마음에 드시는 모델이 사용중인 보드와 문제가 없는지
사전 검토하세요.
지금 있는건 400W 짜린데 절대 모자랄거 같아서 파워도 이번에 하나 사려고 합니다.
하드 랙이 많이 있는 케이스도 고르는 중이구요. 케이스가 참 많네요;;
SSD가 비추라면 안전성 때문인가요?
랩터나 이쪽으로도 생각해 봤는데 가격도 비싸고, 그렇다고 오에스밖에 설치 안할껀데 큰 하드 사기도 그래서 선택한거거든요.
SSD는 64GB짜리입니다. 삼성껄 살 예정이구요.
요정도 쓰시면 좋습니다만 역시나 돈이 문제입니다.
깡통과 파워에 돈 백 이상 투자가 되야 하니까요.
그냥 저렴한 하드 사서 끼우시고, RAID-1으로 OS를 구성하시기 보다는 여분 디스크를 준비해 두셨다가 크론디스크를 만드시는게 더 안전합니다. 물론 그렇게 하더라도 OS디스크의 백업은 필수 되겠습니다.
데이터 디스크의 RAID도 홍정의님 말씀대로 핫스페어가 반드시 필요하며, 말씀하신 대로라면 디스크 6개를 사용하여 5개로 RAID-5를 잡고, 핫스페어로 하나를 두는 쪽이 더 안전합니다.
레이드 컨트롤러는 조우연님의 말씀이 진리이니 패스 하겠습니다.
깡통과 파워는 좀전에 장터에서 아주 쿨~~~한 슈마제품 렉케이스를 하나 보았습니다. 그 제품이 사진대로라면 깡통과 파워값만 후덜한 물건입니다.
아직 모르는것이 많아서 배워야 할 단어들이 많이 보이네요
핫스페어라든가 등등..
RAID 1로 설정해서 하드 2개를 OS에 사용하면, 1개가 망가졌을 때, 나머지 한개(똑같이 복사된)를 이용해서 부팅할 수 있는거 아닌가요?
이렇게 사용하는 동안 망가진 하드는 빼버리고 새 하드를 끼워서 다시 RAID 1로 묶여있으니 새 하드가 다시 똑같은 하드가 되는거구요
제가 공부한 바로는 이렇게 알고있어서 OS하드를 RAID 1로 묶으려고 했던건데 아니면 난감하네요…
아 그리고 말씀 안드린게 있는데, 서버지만, 시뮬레이션을 돌릴 때 사용하는 클러스터의 서버이기 때문에,
뭐 사실상 프로그램이라고 깔게 없습니다. 저렴하게 320기가바이트 짜리 하드를 2개 사서 OS를 깔까 합니다.
프로그램이라봐야 리눅스 기본 프로그램에 시뮬레이션이랑 데이타 분석용 프로그램 2개 까는것 뿐이구요.
그리고 나머지 RAID 5로 묶을 하드들은 유저들의 홈폴더로 사용하는데, 시뮬레이션 데이타들이 들어와서 저장돼서요
RAID 5나 6로 묶으면, 1개나 2개가 망가졌을 때, 그것들만 제거하고 교체하는 방식으로 데이타를 보존할 수 있는걸로 알고있는데
제가 잘못알고 있는건가요? 물론 3개 이상 나가면 난감하지만요
이진범님이 장터에 매물 추천해주신건 감사합니다만, 연구비로 사야해서(연구비는 모두 카드 결제해야합니다…) 장터매물은 좀 힘들거같아요
아주 자세히는 나오지 않습니다만,
RAID 디스크가 깨지는 경우,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고 대처방법도 다양합니다만, 제일 중요한 것은
관리자의 능력입니다.
백업 스케줄을 잘짜서 운용하면서, 문제 발생시의 대처방법을 잘 알고 있다면 모르겠습니다만,
처음 운용하시면서 주변의 도움을 받을 상황이 아니시라면 말리고 싶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리눅스 기본 프로그램에 데이타 분석용 프로그램 정도만 설치하신다면, OS는 단일 디스크로 넣고 (디스크 이미지를 백업) 자료는 유저수가 많고 엑세스가 잦거나, 속도가 중요하다면 RAID + Hot spare 로 묶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만일, 엑세스나 유저 수, 속도가 중요치 않은 상황이시라면, 단일 디스크로도 충분합니다.
다만, 말씀드렸듯이 아무리 좋은 시스템이라도 '관리'가 중요합니다. 제 경우 RAID가 깨지면서 Hot spare가 자동 투입됐는데도 모르다가, 다른 디스크가 하나 더 나가면서 큰 문제가 된 경험이 있습니다.
저역시 처음에는 그저 RAID가 좋은 것인줄만 알고, 백업 잘 않받고, 매일매일의 DISK관리에 소홀했다가 직장 그만둘뻔 했습니다. --;
백업만이 살길입니다. ^^
써주신 링크에서 많은걸 배웠습니다!!
핫스페어까지해서 총 7개의 하드를 쓸것같은데, i7씨피유 한개에 램이 4기가 4개짜리가 560W가지고 될런지 모르겠네요;;
케이스도 추천해주신 회사중에서 골랐습니다.
http://blog.danawa.com/prod/?section_m=PC&prod_c=162261&cate_c1=861&cate_c2=879&cate_c3=994&cate_c4=0
정말 모두 감사드립니다!!!
레이드 관리 콘솔에서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관리자에게 메일을 보낼 수 있게끔 설정할 수 있고,
이 메일 계정을 스맛폰으로 연결해 놓으면 문제가 발생되면 바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엔간한 가격의 컨트롤러는 레이드에 문제가 생기면 엄청나게 큰 비프음이 발생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참고로, 설정 초기에 하드 뻑났을 경우를 가정해 복구 테스트 및 연습한답시고 하드 하나 잡아 뺐다가
비프음 때문에 깜짝 놀랐습니다. 메뉴얼 필독해서 비프음 끄는 방법도 숙지해야 겠더군요..
셋팅 전, 셋팅 중, 셋팅 후...계속해서 메뉴얼 보시고, 검색해보시고, 테스트하시면서 안정화 시켜서 잘 쓰시길
바라겠습니다.
여러분들 덕분에 용기가 생겼습니다.
생전 처음 해보는거지만 어찌어찌 잘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