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1525 |
0 |
2014-05
5251525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76518 |
25 |
2015-12
1776518
1 백메가
|
41049 |
[플래시] 마우스 따라서 움직이는 이미지 (5) |
95GSR |
2012-06 |
8820 |
0 |
2012-06
8820
1 95GSR
|
41048 |
SAS 싱글포트 듀얼포트 문의 드립니다. (1) |
후까시짱 |
2012-06 |
6097 |
0 |
2012-06
6097
1 후까시짱
|
41047 |
크롬에서 주소창에 지난 방문 기록 몇개 보이게 하는 버튼 없나요? (4) |
박노성 |
2012-06 |
8379 |
0 |
2012-06
8379
1 박노성
|
41046 |
사진 동영상 파일서버 만들려고 하는데 조언부탁드립니다. (6) |
새로운차원 |
2012-06 |
6202 |
0 |
2012-06
6202
1 새로운차원
|
41045 |
Windows 2000 Server의 트러블. (5) |
김지환1 |
2012-06 |
5331 |
0 |
2012-06
5331
1 김지환1
|
41044 |
유선 키보드 마우스를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동글?이 있을까요?? (5) |
1CPU지창훈 |
2012-06 |
13830 |
0 |
2012-06
13830
1 1CPU지창훈
|
41043 |
areca arc-1220 sata2 8 port raid card 를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BSOD error 가 나… (14) |
느닷 |
2012-06 |
7596 |
0 |
2012-06
7596
1 느닷
|
41042 |
ADAPTEC AVA-1502i 이넘도 50핀 하드로 부팅이되나요 (9) |
2CPU최주희 |
2012-06 |
5999 |
0 |
2012-06
5999
1 2CPU최주희
|
41041 |
서버 용량 증설에 대해서 문의가 있습니다. (4) |
siesta2021 |
2012-06 |
5763 |
0 |
2012-06
5763
1 siesta2021
|
41040 |
윈도우의 '활성 네트워크' 분리에 대해서 여쭈어봅니다. (1) |
황혼을향해 |
2012-06 |
8534 |
0 |
2012-06
8534
1 황혼을향해
|
41039 |
정보통신 기술자 등록을 하려고 하는데요. (2) |
남성룡 |
2012-06 |
10512 |
0 |
2012-06
10512
1 남성룡
|
41038 |
3D 모델링, 렌더링용 컴퓨터를 살려고 합니다. (7) |
demisoda |
2012-06 |
8974 |
0 |
2012-06
8974
1 demisoda
|
41037 |
효율적으로 pc 1대로 여러명이 쓰기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2) |
병맛폰 |
2012-06 |
8591 |
0 |
2012-06
8591
1 병맛폰
|
41036 |
(질문)동축케이블은90도로꺽으면,신호전달이안되게되나요? (6) |
영원한혁신 |
2012-06 |
8652 |
0 |
2012-06
8652
1 영원한혁신
|
41035 |
hyper-v에 사용에 따른 라이센스 문제 어떻게 해결하세요? (5) |
김황중 |
2012-06 |
6212 |
0 |
2012-06
6212
1 김황중
|
41034 |
PCI 타입 사타 컨트롤러 말인대요 (6) |
방o효o문 |
2012-06 |
5836 |
0 |
2012-06
5836
1 방o효o문
|
41033 |
expresscard- 54mm cf 리더기?? (1) |
오성기 |
2012-06 |
4898 |
0 |
2012-06
4898
1 오성기
|
41032 |
이런 젠더 있나요 (2) |
차평석 |
2012-06 |
4727 |
0 |
2012-06
4727
1 차평석
|
41031 |
486 에서 ISA 스카시 카드 연결.. (2) |
2CPU최주희 |
2012-06 |
5128 |
0 |
2012-06
5128
1 2CPU최주희
|
41030 |
486 이나 펜티엄 기종에서 스카시 부팅.. (6) |
2CPU최주희 |
2012-06 |
5367 |
0 |
2012-06
5367
1 2CPU최주희
|
i7씨피유는 싱글용이지 듀얼용이 아니며 그런 보드도 없습니다.
질문 제목을 자세히 쓰시면 전문학원하시는 회원님도 계시니 더 자세한 답변이 달릴겁니다.
소프트웨어 렌더링은 100% cpu빨이기 때문에 극단적인 렌더타임 단축을 생각하신다면 샌디E 최상위 싱글보다는 제온 듀얼로 가는게 더 좋겠지만, 그렇게되면 cpu가격에 듀얼 보드가격, 부가적으로는 전용 샷시나 파워 등등 비용이 급격하게 올라갑니다.
참고로 제온 E3 계열도 듀얼 구성은 안됩니다.(E5부터 듀얼 가능) 요건 그냥 제온 딱지 붙어나온 i7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E5(샌디EP) 아래급 제온들은 듀얼이건 뭐건 i7 3930k 싱글보다 다 쳐지므로 신경 쓰실 것 없구요.
일단 예산이 꽤 있으신 편이라 제온 듀얼도 가능 할 것 같은데, 아무래도 가격대비 효율이... 정말 예산도 넉넉하고 무조건 시간이 우선인 실무라면 모르겠지만 학생이라고 하시니 전반적인 작업의 유형이나 사용 소프트웨어 등을 한번 잘 고려해서 판단하는게 좋을거 같네요.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상당히 광범위 하신데, 일단 쥐포스를 이용한 sli는 게임에서는 몰라도 실제 작업에서는 소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max의 경우에는 제가 사용하지 않는 툴이라 그냥 autodesk faq에서 예전 본 내용인데, quicksilver와 iray에서 gpu 렌더링을 지원하고 일단 sli 구성도 효과가 있다고는 하네요.
전 마야를 사용하는데 참고로 마야에서는 아직까지는 sli의 의미가 없습니다.(모니터 갯수를 늘릴 수 있다는 것 외에는...) 물론 마야에서도 iray for maya로 멘탈레이 iray를 사용할 수는 있으니(max처럼 기본사양은 아님) 실제로 어떨지는 모르겠지만요. 전 이건 안써봐서...
어쨌든 3d 작업을 하는 분들 중에서 쥐포스로 sli를 구성해서 사용한다는 얘기는 거의 못들어 본 듯 합니다.
gpu렌더링이라고 하면 좀 포괄적인데 하드웨어 렌더링이라는 범주로 봤을 때, 이건 속도가 빠른 대신 지원되는 효과나 라이팅&쉐이더, 텍스쳐 사이즈 등 여러가지 면에서 제한 사항이 많습니다. 당연히 결과물도 통상적인 소프트웨어 렌더링과 다르게 나오는 경우가 많구요.
처음부터 어떤 특정한 느낌이나 목적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면, 통상적인 소프트웨어 렌더링을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아직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물론 이건 하시는 작업과 원하시는 결과물의 느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확답은 못하겠네요.
일단 cpu는 싱글로 가실거라면 i7-2세대 3930k(샌디E/ 6코어/ 3.2G),
듀얼로 가실거라면 제온 E5 2620(6코어/ 2.0G)*2, 또는 E5 2630(6코어/ 2.3G)*2 까지는 가능할 것 같습니다.
제온은 코어 갯수는 2배이지만 클럭빨이 2/3 정도 수준이라 실제 성능차이는 생각만큼 나지는 않을 듯 보이네요.
렌더링은 여러가지 변수가 많고 한덩어리 12코어와 6+6코어는 아무래도 좀 다르니까요.
그리고 소프트웨어 렌더링(cpu 렌더링) 시간 단축은 cpu의 클럭을 높이고 갯수를 늘리는게 일단 정답이긴 하지만, 상황에 따라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이건 그냥 사견입니다만 속된말로 주구장창 1년 내내 렌더링만 돌리는 시스템이라면 모를까, 보통 시스템 한대로 모델링부터 렌더링까지(여기에 추가로 컴포지팅까지) 다 하는 경우라면 시퀀스 렌더링이라고 해도 대개 실제 '렌더링'이 차지하는 시간적인 비율은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다는 거죠.
정말로 렌더링 시간이 오래걸린다면 차라리 렌더링 전용 시스템을 따로 만드시는게 좋습니다.
메모리는 다다익선입니다. 적어도 16GB 정도는 달아주시는게 좋죠. 여유가 되면 더 달아주시구요.
그래픽카드도 460정도면 충분히 현역으로 뛰는 카드이니 무난할 듯 보이는데, 실제 뷰포트 작업에서 많이 버벅거리는지요?
그런데 이건 어짜피 쥐포스 계열(directx 계열)이면 더 높은거 달아봐야 사실 거기서 거기입니다. 물론 차이야 있지만 적어도 게임에서만큼의 차이는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460 에서 버벅거릴 정도의 씬이 680 달았다고 날아다니지는 않는다는 거죠.
이건 그냥 예산이 허락하는 한도 내에서 가장 좋은 녀석으로 쓰시면 될 것 같네요.
그리고 뭣보다 다른 것 보다도 먼저 모니터 업글을 추천하고 싶네요.
전 24인치(1920*1200) 듀얼도 좁아보이는데, 23 하나는 꽤 비좁으실 듯 합니다.
보조 모니터 하나만 더 있더라도 실제 작업시에 뷰포트를 정말 넓게 쓰실 수 있지요. 전 이게 정말 엄청난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맥스나 마야처럼 작업시에 뷰포트 외에도 여러가지 옵션창을 띄워놓는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 AE 작업처럼 타임슬라이더를 쭉 늘려놓는 경우에도 더 그럴 듯 싶네요.
개인적으로 다른걸 덜 올리더라도 모니터는 최소 27인치 듀얼을 추천합니다.~
비디오 카드와 모니터에 집중 투자하세요.
27인치급 모니터에 쿼드로 비디오 카드 1장이면 됩니다.(쿼드로 4000이나 600이면 좋은데 가격이 넘사벽인지라)
쿼드로가 안된다면 580에 램 많이 달린 것(3기가 비디오메모리)으로 1장 사용하시고요.
그 다음 돈이 남으면 SSD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12개의 렌더링 박스~~~ 생각만 해도 설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