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소규모 서버(?) 구성할까 합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조회 7251   추천 0    

안녕하십니까?

 

오늘 가입한 따끈 따끈(?) 한 신입 회원 입니다.

 

선배님들의 조언을 여쭤 볼까 해서 QnA 게시판에 글 올립니다.

 

소규모 서비스업을 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업종이라 외근이 잦으며 또한 회계 서무등을 홀로 작업을 거의 하는지라

 

데이터 백업 및 관리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서버라 칭하긴 부끄러울 정도의 구상을 하고 있습니다.

 

일단 개인용 PC는 SSD를 적용하여 속도에 주암점을 두고

 

데이터는 한쪽 PC에 몰아주는 식으로 꾸밀까 합니다.

 

간단한 서류 파일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사진 및 간단한 음악이나 영화정도 적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회사 관련 서류 파일이나 회계 문서등은

 

메인서버 OS 부분과 함께 SSD를 꾸밀것 이며

 

사진 및 영화... 기타 방대한 량의 드라이버는 2개의 HDD를 이용하여 Raid0으로 꾸밀까 합니다.

 

회사 관련 문서나 회계 파일은 별도의 NAS 에 실시간 백업을 돌릴 예정이라

 

Raid0 으로 꾸미는게 성능 극대화를 위해서 필요치 않나 싶어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첫번째 기가비트를 지원하는 유무선 공유기를 필두로

아래에 16~24포트 기가비트 허브를 달고

서버(?)는 기가비트 티밍으로 구성할 예정인데..

허브의 경우 티밍을 지원하는 별도의 허브가 있는건지...

아니면 스위칭 허브는 모두 별도의 절차를 거치지 않고 티밍을 사용가능한지??

 

 

 

두번째!! 개인적인 예상은 공유기에 두 티밍선을 바로 연결한것과

허브에 연결한것과 차이가 없을듯 한데.. 우선순위(?)인 상단의 공유기에 연결하는게 더 빠를까요?

 

 

 

세번째!! 티밍을 적용하면 네트웍 대역폭이 이론상 2Gbps... 그렇다면.. 대략 260메가가 안되는 속도가

나오는데.. 대략 HDD 속도가 최대 150MB 가정한다면.. HDD로 인한 병목현상 해결을 위해 Raid0을 대한으로

생각했는데.. 옳은 생각인건가요?

 

 

 

네번째!! 대부분의 자료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구할 수 있지만. 개인적인 자료는 별도의 백업을 하기 위해서

실시간으로 백업을 할려고 하는데.. (파일이나 폴도가 갱신되면 실시간으로 동기화 시켜 백업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더군요..) 이 경우 NAS로 별도의 네트워킹 백업을 할려고 하는데.. 이보다 더 좋은 대안이 있는지요?

 

 

 

다섯번째!!  OS 는 라이센스를 정식으로 구입하여 쓸 생각입니다. 이경우 걸리는게.. 가격인데..

개인용 PC에서의 차이점은 알겠지만.. 서버로서의 역활로 구입하는거라.. 어느정도 OS별로 트레픽 분산에

차이있는지 감을 못 잡겠습니다. 제가 언급한 내용이 과하게 성능을 요하는게 아니지만.

윈도우7을 기준으로 꾸민다면.. 64비트 각 버전별로 데이터 운용상 차이점이 있을까요?

아니면 XP 64bit가 움직임상 효율에선 더 효율적일까요?

 

 

 

여섯번째!!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시스템을 꾸밀까 합니다. 랙마운트 조립을 생각하고 있는데 어느정도 스펙이

적당할런지요? 욕심낸다면.. 왼만한 급만 나와도 충분히 커버할 거 같은데.. 티밍을 꾸미고 동을 네트웍 상에서

파일공유 위주이다 보니.. 각각 개인별 데이터 보관의 중복도 줄일 수 있고 개인PC 운용하는 부분에서도 더 효율

적일 것 같고... 어느정도 스펙이 적당 할까요? 추천하는 보드나 CPU 레벨정도 부탁드립니다.

주 용도는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중보되는 데이터를 피하고 파일을 공유하거나 백업 갱신 하는게 주 용도며

때에 따라서 외부에서 데이터 접근을 합니다.

아주 가끔씩 이지만... 동영상 원본을 서버에 넣어두고 클라이언트에서 편집 및 인코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타 클라이언트에 큰~ 지연이 없었으면 합니다.

단! 오전 8시 부터 오후 7시 까지만 운영하는 조건이며 24시간 운영하지는 않을 예정입니다.

 

 

일곱번째!! 시스코 카탈리스트 2960을 생각중에 있는데..

비슷한 가격대에서 더 좋은 대안이 있는지요?

 

 

여덟번째!! 서버와 허브 및 CCTV를 한곳으로 몰려고 합니다. 그렇게 하다 보니 렉마운트를 하는게 공간적 효율이

나오지 않을까 해서입니다. 흔히 경비실 같은데 보면 CCTV를 랙 케비넷에 넣어놓는데.. 일반 서버에 사용되는

렉마운트와 동일 규격인가요? 그렇다면.. 맨 아래 소형 UPS 한대... 4U컴퓨터 한대 위에 키보드 선반 그리고 모니터 19" 와이드 선반 그리고 그 위에 DVR 셋톱박스 그리고 그 위에 17"나 19" 와이드 모니터

이렇게 할 생각입니다. (복잡해서 죄송합니다.ㅠㅠ) 이정도 규모라면 어느정도 케비넷이 필요할까요?

 

 

아홉번째!! 제 머릿속 이론에서 나온 부분인데.. 서버로 쓸 PC에 듀얼랜 기가비트 랜카드는 미팅으로 꾸며 내부 네트웍 트래픽을 담당하고... 온보드 기가비트 랜은 FTP 사용시에 활성화 해서 사용이 가능할 것 같은데.. 실제 이렇게 사용 가능한지도 여쭤봅니다.. FTP는 외부에서 요청이 있을시에만 내부에서 개방해 주는 식으로 운용할꺼라서

그렇게 한다면 내부에서 트레픽 효율성이 좋을듯 해서요..

 

 

열번째!! 위에서 언급한 내용이 효율성 있는 부분인가요? 아니면 그냥 돈 지랄하는 생각인지..?? ㅠㅠ 몇년간 업무를 하다보니 딱히 가장 필요한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보관하며 네트웍상 어느 PC에서든 동일한 데이터를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위에 꾸미고 싶어하는 구조외에 다른 대안이 있을까요?

별도의 예산이 있는게 아니라... 개인사업자다 보니 사비로 모든걸 충당하는지라.. 한 10년 넘게 쓴다는 가정하라면

충분한 가격적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되서 입니다.

앞으로 컴퓨터가 얼만큼 더 발전할지 모르겠지만.. 지금 위에 정도 상황을 소화할 정도 시스템이...

크게 무리가 가지 않을듯 한데... 제 생각과 다르게 너무 많은걸 바라는게 아닌지??

 

 

이상입니다.. 선배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2-07
우선 예상되는 데이터의 총 양은 어떠합니까?
작업용 스토리지는 그 양의 대략 2배를 구축해야 하고요.
백업은 따로 생각해야 하고요.

기가랜카드 두개 티밍 묶어 봤자 꾸준하게 200매가씩 날려주지 않습니다.

레이드 레벨 0은 묶여있는 하드중 어느 하나라도 배드 섹터 같은게 나버리면 홀라당 다 날라갑니다.
레이드 레벨 0은 즉 백업용이 아닙니다.

대략 사무실이 어느 동입니까?
인터넷선은 어떤 것을 사용할 예정인가요?

랙마운트 캐비넷은 보통 1.8미터 37U 사용하고요.
조립식 랙이냐 벤더 랙이냐에 따라 가격은 천차만별입니다.
     
성투불패 2012-07
글쎄요. 데이터 량은 실제적으로 얼마인지 실측이 힘든 부분입니다.

레이드0으로 묶은 디스크는 없어져도(?) 될 자료를 넣을껍니다.

말이 이상하지만.. 암튼 쉽게 다시 구할 수도 있는 자료용

그리고 백업은 NAS로 별도로 생각하고 있구요..

NAS에 일정기간 모인 데이터는 CD등의 별도 매체로 백업은 합니다.

단 실시간으로 백업을 받고 싶어서 NAS를 이용한 네트웍 백업을 생각중에 있습니다.

일반적인 소규모 사무실에서 (진짜 사무관련 사무실) 조금 더(?) 데이터 량이 나오지 않을까 예측해봅니다.

뭐 좀 더 써봐야... 클라이언트 한두대가 동영상 감상할 정도가 더 트레픽 나와봤자 정도일껍니다..

이 가정이라면.. 서버 구축이 비용적으로 돈만 차발 차발하는 그냥 개인적 욕심이 되버릴까요? ㅠㅠ
Olorin 2012-07
제가 보기엔... 레이드는 묶지 않으시는게 좋겠습니다.

굳이 묶어야 한다면 중요자료하드와 날아가도 상관없는 하드를 구분하여

중요자료는 Raid 1 / 날아가도 상관없는건 그냥 쓰시는게 좋을것 같다라고 의견드려봅니다.

기가비트 티밍해도... 위에 박문형님이 선술하셨듯이... 별 의미없고요...

단순 파일서버 목적이면 그냥 윈7 프로페셔널 싸게 구하셔서 단순 파일서버로 사용하시기엔 무난할겁니다.

다만 그 파일서버가 AirVideo 같은 실시간 인코딩후 스트리밍을 담당한다면...(이건 제가 그렇게 씁니다)

어느정도 CPU성능도 따라와야 할것 같습니다. 단순 파일서버엔 i3 2100T모델정도로도 충분히 제 역할 할것같고요.
회사 관련 문서나 회계 파일이 홀로 사용하실 것이면 그냥 파일서버로 처리가 될터인데...

보통 같이 사용하지 않나요?

협업 기능이 문제되어 해당 파일이 오피스로 되어 있으시면 차라리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서비스중인 office 356로 사용하시는 것은 어떨지요?

http://www.microsoft.com/ko-kr/office365/what-is-office365.aspx

해당 서비스 관련 포스팅도 많으니 한번 검토해 보세요^^
박문형 2012-07
시스코 카탈리스트 2960이면 10/100 기반 스윗치에 업링크만 기가 아닌가요?

시스코장비는 그냥 달아서 되는게 아니고 시스코 언어를 알아서 셋팅을 완벽하게 해야 재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아는데..
박문형 2012-07
여기 하드웨어 란에 박창신님이 보유하신 시스템 만큼만 구비하시면 두고 두고 사용하겠지만
대략 전체 가격이 그랜져 가격정도 들어갔답니다.

제가 보기에는 중고랙에 1U나 2U 시스템 3대 정도만 두시면 충분히 사용하시리라 봅니다.
NAS도 사실 필요 없는 것이 윈도우즈 기반이면 피씨나 서버 한대 더두고 백업소프트웨어 좋은 것 구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격대 성능비가 좋습니다.
LovelyJubbly 2012-07
NAS로 실제 서버 데이터를 실시간 백업한다는 거 생각보다 힘들고 퍼포먼스도 안나옵니다.
가격대 성능비로 완전히 꽝입니다.

위에 박문형님이 말씀하신 것 처럼 이왕 직접 이것 저것 구축하기로 하신 거면 그냥 윈도우기반에
저렴한 서버하나 두고 구축 하시는 게 비용 및 성능이 훨씬 뛰어 납니다.

NAS가 편리하긴 하지만 비슷한 가격의 일반 컴퓨터만큼의 성능을 기대 하시면 안됩니다.
마이코코 2012-07
PC 서버 추천,,,
10년을 쓰겠다고 생각되시겠지만 사람 마음이란 간사한 것입니다.
기술 발전속도도 눈부시게 빠르고...
어지간한 기본 개념은 있으신 것 같으나 시간이 나실 것 같지 않으니 빅 타워형 케이스에 PC 베이스 또는 엔트리 서버 베이스로 설치 및 유지보수 용역을 의뢰하시는 것도...


http://cafe.naver.com/nascafe/
영원한혁신 2012-11
...
좋은 정보/팁TIP 입니다...!~
..


QnA
제목Page 3654/5724
2014-05   5237377   정은준1
2015-12   1763041   백메가
2012-07   6739   구명서
2012-07   5387   지랭이
2012-07   9249   오성기
2012-07   5896   2CPU최주희
2012-07   6506   김건우
2012-07   9696   병맛폰
2012-07   11688   다롱이
2012-07   6031   우편물
2012-07   5329   박재석
2012-07   7252   성투불패
2012-07   5446   성투불패
2012-07   5945   신우섭
2012-07   20431   서현석
2012-07   7586   동림골
2012-07   7152   임종열
2012-07   7826   서현석
2012-07   18374   2CPU최주희
2012-07   7290   마이코코
2012-07   9202  
2012-07   5915   근성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