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그만 영상업체에서의 가격대성능비 최대 솔루션은 어찌해야될까요?

   조회 5366   추천 0    

조그만 영화VFX 회사에서 근무중이면서 어찌어찌 하드웨어 인프라도 책임지고 있는 1인입니다.

작은 회사라 엔지니어를 따로 둘수 있는 여건이 되질않아 제가 맡고는 있는데

저도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서 ;;;;; 여러분들의 도움을 얻고자 합니다.

 

우선 저희 회사는  QNAP 659 pro+ 라는 6베이짜리 NAS에 

영상과 소스를 저장해놓고 네트워크드라이브로 파일을 땡겨서 직원들이 사용하고 있고

 최근 사람이 늘면서 한계가 조금씩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현재구성

 

NAS : QNAP 659 PRO + 6베이 3테라하드 레이드5 세팅  

스위칭허브 : 3Com Baseline Switch 2928-SFP Plus

 

NAS와 허브는 포트트렁킹으로 랜선 두개가 밸런스RR 옵션으로 연결중.  CAT6  기가망 세팅

 

 

환 경

 

* 하나의 프로젝트 한달작업에 1~2테라 정도의 영상을 서버로 꾸준히 저장함.

 

* 프로젝트 종료후 포트폴리오가 될만한 컷 이외에는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데이터는 대부분 삭제.

 

* 각 개인은 모든 영상파일과 소스를 NAS에 두고 땡겨서 사용하며 작업중에 계속적인 트래픽이  발생함

 

* 렌더팜 부제로 납품이 가까워져서 모두가 렌더링을 걸때면 서버에 상당한 부하 발생

   NAS에서 영상과 소스를 읽고 로컬 cpu로 렌더링해서 NAS로 저장됨.

 

* 추후 영상 렌더링을 위한 렌더팜과 서버를 구입하겠지만 단기예산에 잡혀있지 않음.

  구입하더라도 조금씩 추가 확장하는 방식이 될것으로 판단.

 

* CG작업자이면서 하드웨어인프라를 책임지고 있기때문에 전문지식과 시간할애가 어려움

  매뉴얼적인 서버세팅은 힘듬.

 

평상시 작업중 초당 20~60메가정도의 전체 트래픽 발생

막판에 모두 렌더링시 개인별 20~40메가 초당 트래픽 발생 이때는 버벅임이 심해서

로컬로 파일을 땡겨서 작업하는 경우가 생김

인원은 5명~6명에서 당분간 늘지 않을듯.

 

==============================================================================

 

 

렌더팜구축으로 로컬 컴퓨터와 파일서버간의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대역폭을 확보하는것이 적절해 보입니다만 예산문제로 단시일내에는 힘들것 같고

 

현재 제가 생각중인건

 

추가 확장 랜카드로 10G 듀얼 포트랜카드를 꼽을수 있는  qnap 상위버젼을 사서 허브를 연결시키는 방법을 고민하고

하고 있습니다. 이베이로 사면 이방법이 그나마 좀 싸게 먹히는것 같긴하더라고요

 

암튼 제머리에서 나올수 있는 한계가 여기까지라서 여러분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2-08
http://www.synology.co.kr/

여기 전화 하셔서 기술 상담 받아보세요.


http://www.acrofan.com/ko-kr/commerce/content/20120420/0001030201

2012년 행사
바다거북 2012-08
오~ 이 회사 제품도 좋네요 감사합니다. ^^
1. 예산문제와 기술지원은 상반되어 버릴듯합니다.

2. 파일서버 구성시 4U 샤시에 구성하셔서 메인 스위치간의 전송대역폭을 최대로 구성해주시는 것이 좋을듯합니다. 10G는 아무래도 도입비용이 높으니까요. 쿼드랜 2개로 8Gbps 대역을 LACP로 구성하셔서 스위치와 포트트렁킹을 8포트로 묶어주시고요. 각 PC에 듀얼랜(쿼드랜은 비용과 호환성이 문제될듯) 설치하시면 될듯합니다.

3. 디스크구성은 저장과 작업용으로 분리하셔야할듯합니다. 저장용은 기존 NAS를 이용하고, 작업용은 SSD 256GB * 8 (RAID10) - 1TB를 구성한것입니다 - 정도는 구성하셔야겟네요. 

4. 가능하다면 파일서버에 ISCSI를 이용하여 구성하시면 가격대비 효과가 가장 좋을듯합니다.

5. 위에 말한 내용을 전반적으로 BMT하고, 트러블슈팅할 인원이 관건이긴 하지만, 가장 저렴한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박문형 2012-08
조립 서버등으로 만들면 일일히 다 테스트 하고 시간을 많이 뺏깁니다.
담당하시는 분은 그런 여유는 없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업체를 추천(?)해 드린 것입니다.
만일 시놀러지를 구입하고 회사 등록을 하시면 이래저래 꾸준한 기술 지원을 받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다른 업체를 선택하더라도
견적및 기술 상담은 꼭 받아보세요.


QnA
제목Page 3638/5724
2015-12   1763516   백메가
2014-05   5237787   정은준1
2012-08   6815   이선호
2012-08   5941   민성일
2012-08   5639   하이퍼웍스
2012-08   6227   병맛폰
2012-08   6050   굴다리교
2012-08   5120   예관신규식
2012-08   20896   미수맨
2012-08   6969   유호준
2012-08   8496   윤치열
2012-08   6925   박성만
2012-08   4908   미수맨
2012-08   5367   바다거북
2012-08   5370   안형곤
2012-08   5248   김상우AP
2012-08   6225   2CPU최주희
2012-08   10626   병맛폰
2012-08   7298   iwill
2012-08   6348   이재
2012-08   5963   병맛폰
2012-08   6141   유호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