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RAID시 가장 적절한 백업 방법은?

   조회 5644   추천 0    

개인적으로 오랜 숙원 사업인 개인서버 구입에 앞서 몇가지 확인할께 있는데..

 

그중 한가지가 구성도 작업이었고 ... 이건 여러 회원님들의 조언에 해결을 보는 것 같고..

 

백업이 관건인데..

 

일단 N40L 에 작업을 가정시

 

기본 C 에는 OS 및 기본적인 업무서식이나 관련 자료 적재할 것이고

 

D 는 기본적으로 사라져도 크게 데미지가 없는 자료들을 나열 할까 합니다.

 

간혹 D 도 일부 자료는 백업이 필요하나...

 

이제 관건은 백업입니다.

 

아마 하드 사망 원인이 다른분들 처럼 과도한 사용량으로 인한 사망은 없을 것 같고

 

정전이나 기타 전기적 원인에 의한 증상이 있다면 있겠죠..

 

가장 안전하게 백업하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1번..나라면 그냥 3rd 베이에 HDD 하나 꼽아 한다..

 

2번..혹시 전기적 원인이 문제된다면 1번은 불안정하다

 

USB 외장이나 e-SATA로 연결해서 외장 하드로 백업 받는다..

 

음~~ 그리고 번외로... 실시간 동기화 백업은 어떻게 하는게 가장 효과적인가요?

 

여러번 질문만 올려서 죄송할 따름이네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뚜뚜 2012-09
가장 안전한것은 광디스크>블루레이>DVD시디>CD시디>단일 하드 순입니다.
자기테이프는 모르겠어요. 큰용량에 비해서 백업할때 속도가 느리는게 단점입니다.
     
성투불패 2012-09
아.. 감사합니다.. 하지만.. 가격부담이 일단 크고.. N40L에겐 너무 과한^^
          
뚜뚜 2012-09
광디스크는 좀 비쌉니다. 블루레이 드라이브와 블루레이 디스크로 추천합니다.
               
성투불패 2012-09
근데.. 실시간 동기화 백업이 관건이라서요..
뚜뚜 2012-09
블루레이 가격이 좀 부담스러우면 DVD레코더가 좋습니다.

동기화" 이라는게 모르겠지만 백업할때부터 파일검사 해야지요.
저도 DVD 백업하고 나서 파일검사(주로 FTP검사)를 해왔습니다.
그 과정해서 에러나서 다시 백업했지요.
파일검사를 또 하고나서 이상없으면 보관합니다.
     
성투불패 2012-09
아... 동기화 백업은 실시간 백업 입니다.

신규 또는 수정되는 데이터만 백업하는게 동기화 백업입니다. ^^;
LovelyJubbly 2012-09
레이드없이 실시간 백업하려면 번거롭기도 하고 컴퓨터 자원도 먹습니다.

사실 엄청 중요한 디비서버데이터가 아니고 그냥 작은 사무실에 데이터 백업용이면
그냥 남는 베이에 하드 하나 장착하시고 싱크토이로
아침 출근 전, 점심식사시간, 새벽에 싱크하게 만드는 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새벽에 한번 싱크하는 것도 충분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정말 중요한 데이터라면 자기 컴퓨터나
메일로도 백업 하는게 일반적이라)
     
성투불패 2012-09
데이터가 이미지나 영상 파일이 아닌...

엑셀이나 한글 문서따위의 신규 생성이나 수정으로 인한 동기화라 트래픽 량은 크지 않습니다.
박문형 2012-09
독립된 다른 컴퓨터에 여유 하드 더 달고 백업 전용 유틸리티를 셋팅하여 네트워크로 백업하는 것입니다.
이것도 돈이 꽤 들지요.

정 안되면 하드만 하나 더 사서 백업 하세요.

독립된 다른 컴퓨터를 왜 이야기 하느냐 하면 사용 시스템이 하드 외에 전원이나 다른 것의 고장
혹은 복합 고장일시에는 독립된 다른 컴퓨터가 재일 안전합니다.
     
성투불패 2012-09
그렇죠.. 간지런곳 긁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장 안정성 퀄리티 높은게 네트워크 백업이죠??

데이터 이동 안정성이야 로컬이 높지만..  파손에 따른 안정성이 네트워크겠죠?

S 에 일부 데이터를 C1 이 파일서버로 이용하며 그걸 역으로 S 의 데이터를 C1의 별도의 HDD에 백업이라...

만약 사용환경이 S는 24시간 켜져있고 C1은 업무시간 외에 꺼진다면...

C2가 업무시간 외에 접속해서 S의 내용을 수정시킨다면 실시간 백업은 Out 되는건데..

그럼 NAS 로 네트워크 백업이 답이겠네요.. 감사합니다.
딸기베리 2012-09
미디어 백업이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쉽지가 않고 비용소모가 크며 시간이 오래 소요가 됩니다.
저의 경우 외장하드로 시간마다 자동으로 백업 받습니다.
seagate 외장하드라서 기본제공 S/W 중에 시간 마다 백업이 되는 게 있습니다.
거기다가 변경된 파일만 찾아서 백업해주니 아주 편리하며 관리역시 윈도우에서 쉽게 되어 편리합니다.
하드 디스크 통채로 백업을 하신다면 VHD 를 만들어 자주 복사해주는 방식으로 하셔도 디스크 전체 백업할때 유리 합니다.
     
성투불패 2012-09
WOW 너무 크게 보셨네요..^^;

통 백업은 고스트를 이용하는 편이라..^^;
변선주 2012-09
저랑 비슷한 용량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 메인컴에 별도의 하드를 추가 장착하여 TrueImage 로 실시간 백업을
NAS 로는 1주일에 3번씩 GoodSync 를 사용하여 백업합니다. 싱크토이는 프리웨어에 딱 필요한 정도만 백업이 되는 프로그램이죠.

제일 효과적인 방법이라기보다는 데이터 복구 비용에 얼마를 써도 아깝지 않느냐가 투자비용의 관건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성투불패 2012-09
아.. NAS.. NAS.. 가 있었네요..^^;
왕초 2012-09
rsync 가 답인듯....
     
성투불패 2012-09
감사합니다. 아르싱크에 대해서도 알아봐야겠군요..
박성만 2012-09
말씀하시는 거 보니 실시간 백업이 필요하지만 용량이 크진 않다는 건데요

저 같은 경우는 그냥 집에 메인 웍스를 제외하면 다 2008 R2 (이번에 2012로 다 바꿨습니다만 같습니다)

깔고 active directory 세팅한 다음에 DFS (분산파일 시스템)을 씁니다

이 넘의 장점은

1) 각 컴에 분산된 파일과 폴더를 마치 하나의 폴더에 모여 있는 것처럼 인식시켜서 중앙 관리가 가능하다

2)  DFS backup을 이용하면 특정 폴더 및 하드를 실시간 백업할 수 있다

는 점인데요

2가지 다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심 폴더를 지정해 놓으면 이 폴더의 파일이 바뀌면 나머지 컴의 백업 폴더가 실시간으로 백업합니다

 아니면....

syncback 등의 프로그램으로 바로바로 동기화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성투불패 2012-09
오~~ 획기적인 방법이네요.. DFS 에 대해서 더 알아봐야겠군요. 감사합니다.
jake 2012-09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지만, 참고하시라고 적어 드립니다.

제가 회사에 구성해 놓은 방법은, 우선 파일서버는 CENTOS를 사용하고요, 윈도우XP, 윈도우7 컴퓨터들이 파일서버의 파일들을 작업합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파일서버가 죽었을 경우, 빠른 파일 복원이 관건이라,
파일서버(CENTOS)에 추가 HDD를 장착하고, VMWARE를 사용하여 XP 설치해서, 추가 장착한 HDD를 통채로 XP에 할당하고 (NTFS), 거기에 백업을 받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파일 동기화 프로그램은,  SyncBackSE라는 프로그램 입니다.
몇년동안 사용해 왔는데, 안정적이고 좋습니다. (몇년 전에 구입한 프로그램인데, 가격도 저렴하고, 아직도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이를 VMWARE의 XP(혹은 WIN7)에 설치하고, 1일, 7일, 30일 단위로 백업을 합니다.(스케쥴러를 통해서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SyncBackSE는 원본과 백업본을 비교해서, 변경된 파일만 작업을 해서, 시간이 빠릅니다.
원본 파일들 크기가 100기가, 400기가 정도 되는데, 하루 하루 변환되는 파일들은 그리 많지 않아서, 백업시간은 짧습니다. 10~20분 내외정도. 7일, 30일 주기의 백업은, 일요일에 하도록 해두었고요.

이러면 파일서버가 고장이 나도, 그냥 NTFS로 저장된 백업 디스크를 빼서, XP나 WIN7이 설치된 아무 컴터에 물려서 공유시키면 되거든요.
     
성투불패 2012-09
감사합니다.. OS 변경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
노하석 2012-09
저는 홈서버에 3테라 하드 1개 달려있고 사용하는 메인컴에 3테라 하드 1개 달려있습니다. 동기화 프로그램은 allway sync 를 사용합니다. 실시간 백업설정하고 사용하며 실제로 메인컴에서 사용시에도 외부에서 데이터 불러오지 안아도 되니까 편합니다.
첨에는 메인과 서버를 하드 3개씩레이드0으로 사용했는데 쓸데 없는 것들 정리하니까 3테라 하드 하나면 정리 가능하더군요
용량 모자라시면 요즘은 4테라도 나오니 이렇게 가시면 편하실것입니다
DFS가 좋지만 이건 액티브 디렉토리가 구성되어있어야하고, 윈도우 서버간에만 가능하고 윈도우7과 서버간에는 불가능합니다. 실제 개인이 적용하기는 쉽지 않더군요. 해보니까 역시 심플이스 베스트였습니다.


QnA
제목Page 3635/5731
2014-05   5267650   정은준1
2015-12   1792644   백메가
2012-09   14567   월하가연
2012-09   5378   월하가연
2012-09   5645   성투불패
2012-09   5943   무아
2012-09   21591   민사장
2012-09   8985   AKA지니
2012-09   11837   홍상훈
2012-09   6726   song05
2012-09   5666   김지환1
2012-09   8629   박성만
2012-09   5289   FreeBSD
2012-09   5745   trinetra
2012-09   6503   원주멋진덩치
2012-09   4780   성투불패
2012-09   5244   성투불패
2012-09   5006   블루영상
2012-09   5666   AKA지니
2012-09   5242   2CPU최주희
2012-09   4465   차평석
2012-09   7679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