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 기가비트랜에 대한 욕심때문에...

손갑빈   
   조회 5827   추천 0    

새집으로 이사 가게 되었습니다. 지금 두군데서 왔다갔다 합니다. 지은지 8년 정도인데 혼자 사시는 할머니가 집을 아주 깨끗하게 사용해서 금방 지은 집 같습니다. 물론 외벽도 다시 칠하고 도배도 했습니다만 깜박하고 도배 하기 전 랜선을 점검한다는 것을 못했습니다. 저도 욕심이 나서 cat6으로 할 까.... 하고 생각하는데 도배도 새로했고 다시 내부 공사를 하기가 꺼러집니다. 배우는 입장에서 한 번 도전해보고 싶고... 아니면 무선으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이 나을지... 전문가가도 아니고 경험도 없고 해서 망설여 집니다. 광랜은 미리 들어와 있습니다. 실내 배선을 유선으로 하는 것이 그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참고로 전자기기들을 좀 사용하는 편입니다. 서버도 사용할 예정입니다.

 

밑에 김승룡님 글을 보고 저도 욕심이 나서...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선더퓨리 2012-11
cat5e 도 기가비트 속도나오지 않나요? 집안에서만 사용한다면

허브나 공유기만 기가비트용으로 사용하고

기존 케이블이 8가닥 다 연결되어 있다면 기가비트 속도 나올겁니다.
마왕 2012-11
서버 사용하면서 무선으로 연결하는 것은 어불 성설이죠.
     
딱장가오리 2012-11
서버는 무선공유기 유선 포트(기가비트)에 물릴 생각이 있습니다. 아니면 기가비트스위치허브를 사서 물릴지 목하 고민 중입니다. 연구를 좀 해야될 문제입니다. 무선AP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CAT5e만 되어도 가정에선 충분히 속도 나옵니다. 보통은 설치기사님들이 요비선등을 가지고 다닙니다. 배선이 없거나 불량이 의심스럽다면 A/S 신청 후 교체의뢰를 해도 됩니다.물론 소정의 수고비는 드려야겠죠. 서버라고 꼭 무선은 안된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무선은 성능이 들쭉날쭉 합니다. 주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일정한 성능을 보장받기 어려우니 쓰지 말라고 하는 것이지요. 802.11ac 공유기와 랜카드라면 무선으로 수십MB/s 뽑을 수 있습니다. 사실 작은방의 NAS와 거실의 미디어PC가 100Mbps 회선으로 물려 있어서 이런 구성으로 바꿀까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만 IPTV용 공유기 상단이나 하단에 또 공유기를 써야 하는 구조라서 망설이고 있지만요.
에스티스 2012-11
CAT5e로도 1Gbps 완벽하게 뽑아줍니다. 단 노이즈가 많은 환경(저희집;;)이라면 쉴드처리된 CAT7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가끔가다 처음 설비시에 4가닥으로만 세팅된 집이 있는데, 이부분만 아니라면 실사용하셔도 괜찮을듯합니다 :)
     
영원한혁신 2012-11
...
이선호님,,,  좋은 정보/팁TIP 입니다...
...
딱장가오리 2012-11
김성국님, 진영철님, 김주영님, 이선호님, 조언 정말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3600/5724
2014-05   5237142   정은준1
2015-12   1762817   백메가
2012-11   5828   손갑빈
2012-11   6302   2CPU최주희
2012-11   7485   2CPU최주희
2012-11   6072   Larry
2012-11   5404   윤치열
2012-11   5298   Won낙연
2012-11   6756   Println
2012-11   5927   진요한
2012-11   13193   병맛폰
2012-11   5709   일반유저
2012-11   5886   분당김동수
2012-11   6131   김윤술
2012-11   5312   김건우
2012-11   7547   김건우
2012-11   6876   박재석
2012-11   6134   리카라바
2012-11   8777   이종현oph
2012-11   5218   장동건2014
2012-11   7751   박성만
2012-11   7165   AKA지니